서브메뉴
검색
문화연구의 핵심 개념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132 - [교보 전자책]
문화연구의 핵심 개념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132 - [교보 전자책]
- 자료유형
- 전자책
- 04036758
- ISBN
- 9791130401621 04300 : \14110
- DDC
- 306.4-21
- 청구기호
- 080 커37 132
- 저자명
- 정재철
- 서명/저자
- 문화연구의 핵심 개념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132 - [교보 전자책] / 정재철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교보전자책)
- 형태사항
- 전자책 1책 : 천연색
- 총서명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주기사항
-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주기사항
- 권차번호는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목록에 서명순으로 임의 부여하였음.
- 원본주기
- 원본 .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시스템정보
- 접근방법: 서울예술대학교 교보 전자책
- 기타형태저록
- 문화연구의 핵심 개념. 9791130401621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원문정보보기
- 가격
- \14110
- Control Number
- sacl:99017
- 책소개
-
문화연구는 1980년대 이후 영국 좌파 사회주의 입장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면서 정통 마르크스주의 노선에 수정을 가하기 시작한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자들은 그동안의 문화연구가 대중문화 현상과 행위에 대한 설명을 역사, 정치경제학 맥락에서 설명적 이론을 정립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해 왔다. 이 책은 문화연구가 마르크스주의의 기본 가정들을 수정해 온 연구들을 이해하기 위해 핵심 개념을 정리했다.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텍스트’ ‘담론’ ‘접합’ ‘능동적 수용자’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문화정치’는 예제를 포함해 종합적으로 풀어 썼다. 또한 ‘탈식민주의’는 전통적인 연구 분야 확장에 필요한 논의들을 소개하기 위해, ‘문화연구의 연구 영역’은 문화연구의 전체 영역을 파악하려고 포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