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Seowon :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es : Korean culture series . 2
Sommaire Infos
Seowon :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es : Korean culture series . 2
자료유형  
 단행본
 
0015784546
ISBN  
9781565912182
ISBN  
1565912187 (hardcover)
ISBN  
1565912195 (pbk.)
언어부호  
본문언어 - eng, 요약문언어 - kor
DDC  
720/.95195-22
청구기호  
700.95A H9121 2
저자명  
Yi, Sang-hae , 1948-
서명/저자  
Seowon :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es : Korean culture series . 2 / by Lee Sang-hae. ; translated by Sem Vemeersch
발행사항  
Elizabeth, NJ : Hollym, 2005
형태사항  
201 p. : ill. (some col.), map ; 25 cm.
총서명  
Korean culture series ; 2
주기사항  
Korean traditional art
주기사항  
한국전통예술
주기사항  
"Planning, management, and financial support provided by [the] Korea Foundation"--T.p. verso.
서지주기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p. 169-173) and index.
초록/해제  
요약: This book provides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the private institutions, which were dedicated to higher learning that eventually emerged at the forefront of Neo-Confucianism in Korea.It examines in detail the various roles that these unique institutions played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hile also paying much attention to their noteworthy architecture. A look at the private institutions that were dedicated to higher learning, the same ones that eventually became the crowning glory of Neo-Confucianism, Seowon examines the role these schools had on society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hile also taking a closer look at their architecture.
초록/해제  
요약: 본 서적은 한국 고등 사학교육의 메카였던 서원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서원은 후일 신유교주의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조선 왕조 (1392-1910)에서 서원이 갖는 독특하고 다양한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주목할 만한 서원 건축물에 대해서도 조명한다.이 책의 구성은 1. 한국의 서원개관 2. 성리학적 세계관과 서원건축 3. 서원 및 건물의 명칭과 성리학의 반영 4. 서원이 설립되는 장소 5. 서원의 기능 6. 서원건축의 특성 7. 서원을 구성하는 공간, 건물 및 시설물 8. 서원건축 실례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원은 조선시대 유생(儒生)들의 유교적 이념을 행위적 실천을 통하여 체화(體化)하는 교육 및 종교공간으로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건축양식으로서의 예술적,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조화, 상생으로 자연친 화적인 건축의 배경까지 포괄하는 총체적인 개념이다. 본 서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서원이 지어지는 역사적 과정과 그것이 갖는 건축적 특성과 이념적 배경에 대해서 설 명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함께 전국에 산재한 모범적인 서원 8곳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담고 있다.
일반주제명  
Vernacular architecture Korea (South)
일반주제명  
School buildings Korea (South) History
일반주제명  
Confucian shrines Korea (South) History
일반주제명  
Private schools Korea History
키워드  
art korea
기타저자  
Korea Foundation.
기타저자  
이상해
기타저자  
Vemeersch, Sem
기타저자  
한국국제교류재단
가격  
\19800
Control Number  
sacl:97441
책소개  
본 서적은 한국 고등 사학교육의 메카였던 서원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서원은 후일 신유교주의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조선 왕조 (1392-1910)에서 서원이 갖는 독특하고 다양한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주목할 만한 서원 건축물에 대해서도 조명한다.
이 책의 구성은 1. 한국의 서원개관 2. 성리학적 세계관과 서원건축 3. 서원 및 건물의 명칭과 성리학의 반영 4. 서원이 설립되는 장소 5. 서원의 기능 6. 서원건축의 특성 7. 서원을 구성하는 공간, 건물 및 시설물 8. 서원건축 실례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원은 조선시대 유생(儒生)들의 유교적 이념을 행위적 실천을 통하여 체화(體化)하는 교육 및 종교공간으로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건축양식으로서의 예술적,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조화, 상생으로 자연친 화적인 건축의 배경까지 포괄하는 총체적인 개념이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My Folder
  • Demande Première utilisation
Matériel
Reg No. Call No. emplacement Status Lend Info
E0016342 700.95A H9121 2 전시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Les réservations sont disponibles dans le livre d'emprunt. Pour faire des réservations, S'il vous plaît cliquer sur le bouton de réservati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