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간사 = 3
▶ 머리말 = 5
▶ 1부 다큐멘터리 제작론
▶ 1장 서론 = 17
▶ 1. 다큐멘터리의 세계 = 17
▶ 1) 21세기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 17
▶ 2)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경향 = 19
▶ 2. 다큐멘터리의 개념과 정의 = 22
▶ 1) 다큐멘터리는 어떤 프로그램인가? = 22
▶ 2) 다큐멘터리의 10 Key Word = 26
▶ 3) 로버트 플레허티와 북극의 나누크 = 27
▶ 4) 존 그리어슨과 유망선(流網船, Drifters) = 28
▶ 5) NHK의 Silk Road = 30
▶ 6) 다이렉트 시네마와 시네마 베리테 = 35
▶ 2장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 38
▶ 1. TV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범위 = 38
▶ 1) 시사프로그램 = 38
▶ 2) 정통 다큐멘터리의 장르들 = 40
▶ 3)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사회적 영향력 = 49
▶ 4) 최근 다큐멘터리의 경향 = 50
▶ 2. BBC의 견해 = 51
▶ 3장 TV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제작론 = 57
▶ 1. 제작의 전제(前提) = 57
▶ 1) 다큐멘터리와 불혹(不惑) = 57
▶ 2) 수제품(手製品)에 대한 권유(勸誘) = 59
▶ 2.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제작진행 단계 = 64
▶ 1) TV 프로그램 제작의 개념 = 64
▶ 2) 제작진행 단계 = 66
▶ 3) 프로덕션의 3단계 = 68
▶ 3. 다큐멘터리 기획 = 70
▶ 1) TV 프로그램 기획의 일반론 = 70
▶ 2) 다큐멘터리의 기획 = 74
▶ 3) 서구형(西歐型) 기획 = 75
▶ 4) 기획과 제작 간의 책임 소재 = 77
▶ 4장 제작진행 단계 각론(各論) = 80
▶ 1. 프리 프로덕션(기획∼기획안 작성) = 80
▶ 1) 기획 = 80
▶ 2) 주제 결정 = 98
▶ 3) 자료 조사 = 102
▶ 4) 현지답사(hunting) = 104
▶ 5) 기획안 작성 = 106
▶ 2. 메인 프로덕션(촬영 콘티뉴이티 작성∼야외 촬영) = 111
▶ 1) 촬영 콘티뉴이티(continuity) 작성 = 111
▶ 2) 야외 촬영 = 115
▶ 3. 포스트 프로덕션(프리뷰∼완제품 제작) = 145
▶ 1) 프리뷰, 촬영 화면에 대한 예찰 = 146
▶ 2) 구성안 작성 = 148
▶ 3) 야외 촬영의 편집 = 160
▶ 4. 분석 평가론 = 258
▶ 1) 평가ㆍ분석 회의 = 258
▶ 2) 정산(精算) = 271
▶ 5장 결론 = 275
▶ 2부 생활정보 제작론
▶ 1장 서론 = 283
▶ 1. 다큐멘터리와 생활정보 = 283
▶ 2. 생활정보 프로그램의 상황 = 286
▶ 1) 구성작가의 세계 = 287
▶ 2) 구조적인 문제점 = 290
▶ 2장 생활정보 제작론 = 292
▶ 1. 생활정보 프로그램 = 292
▶ 1) 생활정보 프로그램의 개념 = 292
▶ 2) 생활정보의 범위(spectrum) = 295
▶ 3)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생활정보와의 연관성 = 296
▶ 2. 생활정보의 제작 = 299
▶ 1) 기획개념 = 299
▶ 2) 기획 동기(動機) = 301
▶ 3) 기획 size 및 volume = 303
▶ 4) 아이템 source = 305
▶ 5) 아이템의 성격, 아이템 모델 30개 = 315
▶ 6) 출연자의 전문성 = 374
▶ 7) 전달 통로 = 392
▶ 8) 구성 요령 = 398
▶ 9) 섭외(涉外) = 400
▶ 10) 취재 요령 = 410
▶ 11) 대본 작성 = 412
▶ 12) 원고 작성 = 414
▶ 13) 큐시트(Cue Sheet) 작성 = 415
▶ 3. 생활정보ㆍ교양프로그램 기획 메커니즘 = 416
▶ 1) 시설 및 기계사용 측면 = 416
▶ 2) 내용 중심 = 420
▶ 3) 시청 계층 대상 = 421
▶ 3장 결론 = 423
▶ 3부 구성작가론
▶ 1장 구성작가의 자질과 역할 = 429
▶ 1. 구성작가의 개념 = 429
▶ 2. 구성작가의 분류 = 431
▶ 3. 현황 = 433
▶ 4. 위상과 전망 = 435
▶ 5. 자격 = 438
▶ 6. 자질 = 440
▶ 7. 구성작가의 역할 = 442
▶ 1) 아이템 = 443
▶ 2) 기획안 작성 = 443
▶ 3) 섭외 = 444
▶ 4) 촬영 = 444
▶ 5) 구성안 작성 = 444
▶ 6) 편집 참여 = 444
▶ 7) 원고 작성 = 444
▶ 8) 큐시트 작성 = 445
▶ 9) 생방송 및 녹화 참여 = 445
▶ 10) 효과 분석 = 445
▶ 11) 새로운 아이템 개발 및 기획취재 연구ㆍ준비 = 445
▶ 8. 주인의식 = 446
▶ 9. 왕도는 있는가? = 448
▶ 10. 등용문(登龍門) = 451
▶ 1) 공채 = 451
▶ 2) 연수기관을 통한 추천 = 452
▶ 3) 친분 이용방법 = 453
▶ 4) 신춘문예식 작품으로 도전 = 454
▶ 2장 구성작가 실무론 = 456
▶ 1. 원고작성 = 456
▶ 2. 생방송 = 458
▶ 3. feed back 측정 = 461
▶ 4. MC와 Set에 대한 운용(運用) = 464
▶ 5. 1인 정보센터 = 468
▶ 6. 모니터론 = 471
▶ 7. 거시적 접근에 관한 소고(小考) = 474
▶ 1) 스튜디오 향연(饗宴)형(studio festival) = 475
▶ 2) 지방사 블럭(block) 기획 = 475
▶ 3) 거물 인사의 독점적 초대 = 476
▶ 4) 불우이웃돕기 등 캠페인 시도 = 476
▶ 5) 고발ㆍ르포적 아이템 = 476
▶ 6) 해외기획 = 476
▶ 8. 간접 PR의 함정(陷穽)과 금기사항 = 477
▶ 9. 프로듀서와의 관계 = 481
▶ 10. 다큐멘터리 작가로 가는 길 = 484
▶ 3장 라디오 프로그램 작가론 = 487
▶ 1. 라디오 프로그램 = 487
▶ 2. 라디오 프로그램 원고 작성 = 490
▶ 3. 인터뷰 = 492
▶ 4. 리포팅과 리포터 = 493
▶ 5. FM 프로그램 = 494
▶ 6. 라디오 뉴스 = 496
▶ 7. 교통방송 프로그램 = 498
▶ 8. 사내방송 = 501
▶ 4장 결론 = 504
▶ 부록 : 프로그램 주제 및 분석 관련 용어ㆍ개념 해설 70 = 511
▶ 참고문헌 = 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