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색을 찾아 | 오미 겐타로
▶ 삶 속의 색 | 박연선
▶ 색채의 새로운 길을 열며 | 문은배
▶
▶ 1장 색과 색채
▶ 1 색채의 언어적 의미
▶ 색채 해석
▶ 다양한 색채학 접근법
▶ 색의 3요소
▶ 2 색채의 물리적 정의
▶ 빛의 이해
▶ 입자설과 파동설
▶ 물리적 현상으로서의 색
▶ 기본색상과 주파수
▶ 색의 물리학적 분류에 따른 종류
▶ 3 빛의 생성
▶ 빛의 생성과 색채의 관계
▶ 흑체 복사
▶ 흑체 이외의 빛의 생성
▶ 4 빛의 특성과 작용
▶ 흡수
▶ 반사
▶ 산란
▶ 굴절
▶ 간섭
▶ 회절
▶
▶ 2장 색채 지각
▶ 1 눈과 색채
▶ 추상체와 간상체
▶ 색채 지각 과정의 역할
▶ 2 생리적 지각 현상
▶ 눈의 색채 식별력
▶ 푸르킨예 현상
▶ 색채 지각과 연령
▶ 색의 향상성
▶ 색음 현상
▶ 베졸트 브뤼케 현상
▶ 애브니 효과
▶ 물리보색과 심리보색
▶ 3 자극 공간적 속성의 영향
▶ 망막 위치와 색상
▶ 면적 효과
▶ 맥콜로 효과
▶ 벤함의 원반, 페히너의 색
▶ 지각과 관련된 착시
▶ 4 색채지각설
▶ 3원색설
▶ 반대색설
▶ 단계설
▶ 5 혼색
▶ 혼색의 이해
▶ 가법 혼색
▶ 중간 혼색
▶ 감법 혼색
▶ 혼색과 관계된 원색
▶
▶ 3장 색채 역사
▶ 1 색채 연구의 역사
▶ 색채 연구의 역사 개관
▶ 색채 물리학 연구의 역사
▶ 색채 심리 연구의 역사
▶ 색채 생리학 연구의 역사
▶ 2 색채 체계의 역사
▶ 다양한 색채 체계
▶ 색채의 역사
▶
▶ 4장 색채 체계
▶ 1 색채 표준
▶ 색채 표준의 이해
▶ 현색계
▶ 혼색계
▶ 2 먼셀의 색체계
▶ 먼셀 색체계의 이해
▶ 먼셀 색체계의 속성
▶ 먼셀의 논문
▶ 먼셀의 표기 방법
▶ 먼셀 색체계의 발전과 응용
▶ 3 오스트발트의 색체계
▶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이해
▶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요소
▶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평가
▶ 4 DIN 색체계
▶ DIN의 이해
▶ 기본 개념들: DIN 색체계의 변수 단계화의 특성화
▶ DIN의 표기
▶ CIE에서의 DIN
▶ 5 CIE 색체계
▶ CIE의 1931년 색채 측정 체계
▶ CIE 1931색체계
▶ CIE의 1976년 색채 측정 체계
▶ 1976년 CIE 색공간
▶ 6 NCS 색체계
▶ NCS 색체계의 이해
▶ NCS의 기본 개념_색상, 밝기, 포화도
▶ NCS의 표기 방법
▶ NCS의 발전
▶ 7 색체계의 응용
▶ 8 색체계의 비교
▶ 현색계들의 비교
▶ NCS, 오스트발트, DIN 색체계
▶ NCS, 먼셀, DIN, CIELAB, CIELUV 색체계
▶ 색체계의 특장점 비교
▶ KS와 ISCC의 표준등급 비교표
▶ 9 상용 실용 색표
▶ PCCS
▶ 팬톤 시스템
▶ DIC 컬러 가이드
▶ 상용 색표의 문제와 한계
▶
▶ 5장 색채 심리
▶ 1 색채 심리의 개요
▶ 색채 심리의 이해
▶ 색채의 심리적 기능
▶ 색채의 감성 효과
▶ 2 색채 심리 현상
▶ 잔상과 대비
▶ 대비 효과
▶ 동화 현상
▶ 3 색채 이미지와 연상
▶ 색채의 연상
▶ 색채의 이미지 언어
▶ 4 색채와 상징
▶ 색채와 상징의 이해
▶ 국기의 상징성
▶ 기업과 지역 단체의 상징
▶ 행사 및 테마파크의 상징색
▶ 기타 상징 요소로서의 색
▶ 5 색채 심리를 이용한 색채 계획
▶ 기능성 색채 계획
▶ 색채 계획의 과정
▶ 안전 색채
▶ 6 색채의 연상 형태와 색채 문화
▶
▶ 6장 예술과 색채
▶ 1 예술 사조 속의 색채
▶ 예술, 디자인의 역사 개괄
▶ 르네상스
▶ 바로크
▶ 로코코
▶ 신고전주의
▶ 낭만주의
▶ 사실주의
▶ 인상주의
▶ 야수파
▶ 입체파
▶ 미래주의
▶ 구성주의
▶ 추상 미술
▶ 아방가르드
▶ 다다이즘
▶ 아르누보
▶ 바우하우스
▶ 데 스틸
▶ 아르데코
▶ 팝 아트
▶ 옵 아트
▶ 미니멀 아트
▶ 플럭서스
▶ 페미니즘
▶ 포스트모더니즘
▶ 포토리얼리즘
▶ 키치
▶ 해체
▶
▶ 7장 색채 조화론과 배색
▶ 1 색채 조화의 이해
▶ 배색과 조화
▶ 2 색채 조화론
▶ 색채 조화론의 역사
▶ 슈브롤의 색채 조화론
▶ 루드의 색채 조화론
▶ 오스트발트의 색채 조화론
▶ 먼셀의 색채 조화론
▶ 문 스펜서 색채 조화론 3
▶ 요하네스 이텐의 색채 조화론
▶ 저드의 색채 조화론
▶ 파버 비렌의 색채 조화론
▶ 3 색채 조화의 응용
▶ 배색 기법
▶ 이미지 배색 기법
▶
▶ 8장 색이름
▶ 1 색이름의 이해
▶ 전달 체계로서의 색이름
▶ 기억색, 고유색, 현상색
▶ 색이름의 진화론
▶ 2 색이름 체계
▶ 기본 색이름
▶ 유채색의 기본 색이름
▶ 무채색의 기본 색이름
▶ 계통 색이름
▶ 관용 색이름
▶ 빛의 색이름
▶ 3 ISCC_NBS
▶ 색상의 구성
▶ 톤 구성
▶ 색상의 수식
▶ ISCC_NBS 계통색
▶
▶ 9장 색채 관리
▶ 1 색채 관리의 개요
▶ 2 색채 측정의 발전
▶ 태양광의 분광과 측정
▶ 3원색의 측정
▶ 분광 측정
▶ 3 표준 광원
▶ 빛과 온도
▶ 표준광
▶ 색온도의 조정
▶ 4 백색점
▶ 5 색측정 실무
▶ 측색의 이해
▶ V(λ) 곡선
▶ 색채 측정값의 국제 표준 표기
▶ 6 색채 측정기
▶ 각종 색채 측정 및 관리기기
▶ 수광방식
▶ 표준 관찰자
▶ 측정 반사각
▶ 반사율의 측정
▶ 측정용 조명광
▶ 계산용 중가 계수
▶ 측정 결과 색체계의 종류
▶ 측색 시 유의 사항
▶ 7 육안 검색 방법
▶ 육안 검색의 이해
▶ 육안 검색의 조건
▶ 8 색차의 표시 방법
▶ 색채 현시
▶ 색채 오차의 이해
▶ 색채 오차의 시각적인 영향
▶ CIE 색차 표시 방법
▶ 색채 오차의 종류와 산출 방법
▶ 9 측색의 오차 판정 조건
▶ 편색 판정
▶ 메타머리즘
▶ 조건등색지수
▶ 형광색?백색의 평가
▶ 금색과 은색
▶ 재질감
▶ 광택
▶ 광택의 평가
▶ 금속감의 평가
▶ 색과 공간 광도 분포
▶ 10 조색
▶ 조색의 개요
▶ 색채 재현의 범위
▶ 육안 조색
▶ CCM
▶ 11 색채 소재
▶ 색소
▶ 컬러런트
▶ 안료
▶ 도표
▶ 플라스틱
▶ 잉크
▶ 염료
▶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천연염료
▶
▶ 10장 디지털 색채
▶ 1 디지털의 개념
▶ 가법 혼색
▶ 감법 혼색
▶ 2진수 시스템
▶ 비트의 개념
▶ 비트 체계에 따른 색채 표현
▶ 디지털 색채의 특성
▶ 2 디지털 색채 체계
▶ 입력
▶ 입력 후의 작업
▶ 디지털 색채 시스템
▶ 컬러 맞추기
▶ MCS 디지털 색채 체계
▶ 3 디지털 색채 관리
▶ 색채 조절 도구
▶ 4 출력
▶ 디지털 프린팅 출력
▶ 디지털 영상 출력
▶ 파일 포맷과 저장
▶
▶ 부록
▶ ISO, KS 색채 관리
▶ 색에 관한 용어(한국산업표준)
▶ 디지털 용어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