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 연습과 과정의 기록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 연습과 과정의 기록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8343775 43860 : \20000
- DDC
- 895.725-21
- 청구기호
- 8A2.608 국23ㅊ 2
- 저자명
- 로스탕, 에드몽 원작
- 서명/저자
-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 연습과 과정의 기록 / 에드몽 로스탕 원작 ; 김태형 각색 ; 스튜디오 그린비 본문 사진
- 발행사항
- [파주] : 제철소, 2024
- 형태사항
- 157 p : 천연색삽화 ; 19 cm
- 총서명
- 국립극단 청소년극 희곡선 ; 2
- 주기사항
- 원저자명: Edmond Rostand
- 주기사항
- 에드몽 로스탕의 희곡『시라노 드 베르주라크』를 청소년극으로 재창작함
- 초록/해제
- 요약: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와 제철소가 함께 만드는 청소년극 희곡선 두 번째 이야기. 프랑스 작가 에드몽 로스탕의 희곡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를 극작가 김태형이 지금 청소년들의 정서에 맞게 새로이 다듬었다. 원작에서는 주인공 시라노의 이야기가 중심이었다면,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는 록산느를 비롯해 시라노, 크리스티앙, 드 기슈 등 네 인물의 서로 다른 사랑의 방식을 섬세하게 보여줌으로써 작품이 지닌 의미를 확장시킨다.『록산느를 위한 발라드』는 2015년 국립극단 초연 당시 관객들의 큰 사랑을 받으며 매진사례를 기록했다. 그리고 2년 뒤 재연을 통해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의 대표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이 책에 실린 희곡은 10주년을 기념하는 2025년 서울 공연을 위한 버전으로, 여러 차례의 워크숍과 수정 작업을 거쳐 한층 더 풍성해진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공연의 드라마터그로 참여한 김옥란 연극평론가의 말처럼 “막 사랑을 시작하고 그 과정에서 고통을 겪고, 게다가 전쟁이라는 상황과 맞물려 함께 성장해가는 인물들”의 담대하고 아름다운 여정은 청소년은 물론 성인 독자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줄 것이다.책 마지막에는 원작이 지닌 의미와 각색 희곡만의 매력을 톺아보는 데 도움을 주는 ‘인터뷰 노트’를 수록했다. 또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본문 곳곳에 배치한 공연 사진들은 무대의 생생함을 더하면서 희곡 읽기의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 기타저자
- 김태형 각색
- 기타저자
- Rostand, Edmond 원작
- 기타저자
- 스튜디오 그린비 본문 사진
- 기타서명
- 연습과 과정의 기록
- 가격
- \18000
- Control Number
- sacl:140802
MARC
008250609s2024 ggkac c 000ad kor■00520250609114017
■007ta
■020 ▼a9791188343775▼g43860▼c\20000
■040 ▼d211037
■082 ▼a895.725▼221
■090 ▼a8A2.608▼b국23ㅊ▼c2
■1001 ▼a로스탕, 에드몽▼e원작
■24510▼a록산느를 위한 발라드▼b연습과 과정의 기록▼d에드몽 로스탕 원작▼e김태형 각색▼e스튜디오 그린비 본문 사진
■260 ▼a[파주]▼b제철소▼c2024
■300 ▼a157 p▼b천연색삽화▼c19 cm
■44000▼a국립극단 청소년극 희곡선▼v2
■500 ▼a원저자명: Edmond Rostand
■500 ▼a에드몽 로스탕의 희곡『시라노 드 베르주라크』를 청소년극으로 재창작함
■520 ▼a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와 제철소가 함께 만드는 청소년극 희곡선 두 번째 이야기. 프랑스 작가 에드몽 로스탕의 희곡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를 극작가 김태형이 지금 청소년들의 정서에 맞게 새로이 다듬었다. 원작에서는 주인공 시라노의 이야기가 중심이었다면,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는 록산느를 비롯해 시라노, 크리스티앙, 드 기슈 등 네 인물의 서로 다른 사랑의 방식을 섬세하게 보여줌으로써 작품이 지닌 의미를 확장시킨다.『록산느를 위한 발라드』는 2015년 국립극단 초연 당시 관객들의 큰 사랑을 받으며 매진사례를 기록했다. 그리고 2년 뒤 재연을 통해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의 대표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이 책에 실린 희곡은 10주년을 기념하는 2025년 서울 공연을 위한 버전으로, 여러 차례의 워크숍과 수정 작업을 거쳐 한층 더 풍성해진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공연의 드라마터그로 참여한 김옥란 연극평론가의 말처럼 “막 사랑을 시작하고 그 과정에서 고통을 겪고, 게다가 전쟁이라는 상황과 맞물려 함께 성장해가는 인물들”의 담대하고 아름다운 여정은 청소년은 물론 성인 독자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줄 것이다.책 마지막에는 원작이 지닌 의미와 각색 희곡만의 매력을 톺아보는 데 도움을 주는 ‘인터뷰 노트’를 수록했다. 또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본문 곳곳에 배치한 공연 사진들은 무대의 생생함을 더하면서 희곡 읽기의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653 ▼a록산느▼a발라드▼a희곡▼a청소년극▼a연극▼a프랑스희곡
■7001 ▼a김태형▼e각색
■7001 ▼aRostand, Edmond▼e원작
■710 ▼a스튜디오 그린비▼e본문 사진
■740 2▼a연습과 과정의 기록
■9500 ▼b\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