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치유라는 이름의 폭력 : 근현대 한국에서 장애·젠더·성의 재활과 정치
내용보기
치유라는 이름의 폭력 : 근현대 한국에서 장애·젠더·성의 재활과 정치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4374092 93330 : \23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DDC  
362.4095195-21
청구기호  
362.4 김68ㅊ
저자명  
김은정 지음
서명/저자  
치유라는 이름의 폭력 : 근현대 한국에서 장애·젠더·성의 재활과 정치 / 김은정 지음 ; 강진경 ; 강진영 [공]옮김
원표제  
[원표제]Curative violence : rehabilitating disability, gender, and sexuality in modern Korea
발행사항  
서울 : 후마니타스, 2022
형태사항  
424 p : 삽화 ; 23 cm
주기사항  
원저자명: Eunjung Ki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초록/해제  
요약: 장애와 질병이 있는 몸의 현존을 부정하고 반드시 재활하고 극복해야 할 ‘치유’의 대상으로 여기며 폭력적으로 서사화해 온 한국의 역사, 정책, 제도, 문화 텍스트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미국 시러큐스대학교 여성/젠더학과와 장애학 프로그램 부교수 김은정의 저서로, 2017년 미국에서 출간되어 2017 전미여성학학회 앨리슨 피프마이어상, 2019 미국 아시아학학회 제임스 B. 팔레이즈상을 수상하며 학계와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이 책은 근현대 한국에서 장애를 다룬 소설, 영화, 신문 기사, 정책 문건, 활동가의 글 등을 텍스트 삼아 ‘치유’를 명분으로 장애와 질병을 가진 사람/삶을 파괴하는 ‘폭력’을 들여다보고 사회적·정치적 맥락 안에서 분석함으로써, 장애와 질병에 관한 사회적 경험과 문화적 재현의 다른 상상력을 제안한다. 「심청전」, 「노처녀가」, 「백치 아다다」,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당신들의 천국』, 만종, 꽃잎, 팬지와 담쟁이, 수취인불명, 오아시스, 핑크 팰리스 등 고전에서 현대까지의 서사와 기념우표, 광고, 사진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망라해 여성주의 장애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장애학적 문화 비평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한국 사회의 국가주의가 장애의 문화적 재현, 관련 정책, 사회운동과 어떻게 만나는지를, 저자 특유의 정교한 논리와 세심한 언어로 살필 수 있다.
언어주기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키워드  
치유 폭력 장애 사회문제 사회학 젠더
기타저자  
강진경 옮김
기타저자  
강진영 공 옮김
기타저자  
Kim, Eunjung 지음
기타서명  
근현대 한국에서 장애·젠더·성의 재활과 정치
가격  
\20700
Control Number  
sacl:140591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088906 362.4 김68ㅊ 신착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