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계엄령
계엄령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8375346 03860 : \22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fre
- DDC
- 843-21
- 청구기호
- 843 카37ㄱ
- 저자명
- 카뮈, 알베르 지음
- 서명/저자
- 계엄령 / 알베르 카뮈 지음 ; 안건우 옮김
- 원표제
- [원표제]Etat de siege
- 발행사항
- 서울 : 녹색광선, 2025
- 형태사항
- 205 p ; 20 cm
- 주기사항
- 원저자명: Albert Camus
- 서지주기
- '알베르 카뮈' 연보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1947년, 소설 『페스트』는 평단과 독자 모두에게 찬사를 받으며 알베르 카뮈를 최고의 작가 반열에 올려놓는다. 『이방인』으로 이미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긴 했지만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것은 『페스트』가 처음이고, 그렇기에 그의 다음 작품에 대한 기대치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많은 이들이 기다리던 알베르 카뮈의 다음 작품은 소설이 아닌 희곡이었다.「계엄령」이라는 제목의 이 희곡은 1948년 10월 27일 처음으로 무대에 올려진다. 스페인(에스파냐)의 작은 마을 카디스에 불길한 혜성이 나타난 후, 한 독재자가 불현듯 등장해 계엄을 선포하고 도시를 장악해 나가며 벌어지는 이야기가 이 희곡의 중심 줄기를 이룬다.그러나, 초연 이후 평단의 반응은 호의적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객석의 호응도 크지 않았다. 1939년부터 집필을 시작해 1947년에 상연된 또 다른 희곡 「칼리굴라」의 상업적 성공과는 대조적인 결과였다. 「계엄령」 비평에는 주로 정치적 시각이 개입되었기 때문이다. 주요한 비판은 '왜 극의 배경이 실제 민중에 대한 탄압이 이뤄지던 공산주의 국가(소련이나 동유럽 국가들)가 아니라 스페인인가?'라는 부분에 집중되었는데, 카뮈는 이에 대해 '그러한 지적은 논점을 일탈한 것이다'라는 취지의 답을 칼럼으로 작성하기도 했다.카뮈가 이 작품을 통해 전하고 싶었던 것은 전체주의가 얼마나 폭력적이고 위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메시지였기에, '작품의 배경 도시가 어디인가?' 같은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카뮈는 실제로 전체주의의 위험성을 일찍부터 인지하고 있었고, 나치즘과 공산주의(특히 스탈린 치하의 소련)를 동일하게 비판해 왔다.좋은 문학 작품이 가진 힘은 결국 시대를 뛰어넘는다. 초연 당시의 반응은 열광적이지 않았으나 폭력과 전체주의에 대한 은유를 담지하고 있기에, 「계엄령」은 최근까지도 여러 나라에서 무대에 올려지곤 한다. 정치적 억압 상황이 닥칠 때 자주 언급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 언어주기
- 프랑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기타저자
- 안건우 옮김
- 기타저자
- Camus, Albert 지음
- 가격
- \19800
- Control Number
- sacl:140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