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 - [교보 전자책] : 아동의 발견, 그 이후의 문학 = (The) 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 the literature since discovery of children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 - [교보 전자책] : 아동의 발견, 그 이후의 문학 = (The) 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 the literature since discovery of children

상세정보

자료유형  
 전자책
 
13799611
ISBN  
9788956263793(종이책) 93810 : \19440
DDC  
895.709-21
저자명  
조은숙 , 1969-
서명/저자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 - [교보 전자책] : 아동의 발견, 그 이후의 문학 = (The) 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 the literature since discovery of children / 조은숙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소명, 2009( (교보문고, 2011))
형태사항  
전자책 1책 : 천연색
총서명  
연세근대한국학 총서 ; 48(L-042)
주기사항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주기사항  
유저수: 1copy
주기사항  
2025-1학기 강의지원자료
초록/해제  
요약: 아동문학을 공부하는 일은 우리의 삶을 분절하는 경계들에 대해, 보편적인 것이라고 믿어지는 문학의 미적 이념에 대해 곰곰이 따져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어느덧 나는 아동문학을 공부함으로써 갖게 된 어떤 세계상-비록 세계의 화해로움보다는 균열과 간극에 더 민감한 것일지라도-에 대해 강한 애착과 일종의 의무감마저 가지게 되었다. 아동문학을 공부하게 된 것은 우연한 일이었지만, 특별한 행운이기도 하다. 이 책은 2005년 제출한 박사학위논문과 그 이후에 쓴 몇 편의 논문으로 이루어졌다
시스템정보  
접근방법: 서울예술대학교 전자책
키워드  
아동문학 한국문학 한국아동문학
기타형태저록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 9788956263793
전자적 위치 및 접속  
 원문정보보기
기타저자  
Cho, Eun-Sook
가격  
\19440
Control Number  
sacl:140277
책소개  
한국에서의 아동과 아동문학의 형성을 다룬 책이다. 소년, 어린이 등 아동에 대한 근대 담론의 변화 과정과 아동문학의 관련성을 면밀하게 분석한다. 특히 아동 잡지, 소년 단체, 동화구연회, 유성기 음반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아동문학 뿐 아니라 아동문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MARC

 008090512s2009        ulka        s          000d    kor
■0010013799611
■00520250306101406
■006m              d
■007cr
■020    ▼a9788956263793(종이책)▼g93810▼c\19440
■036    ▼aECN01112018000002679236▼b한국전자출판협회
■040    ▼a211037
■082    ▼a895.709▼221
■1001  ▼a조은숙▼q趙銀淑▼d1969-
■24510▼a한국  아동문학의  형성▼h[교보  전자책]  ▼b아동의  발견,  그  이후의  문학▼x(The)  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  the  literature  since  discovery  of  children▼d조은숙  지음
■256    ▼a전자  데이터
■260    ▼a서울▼b소명▼c2009▼f(교보문고▼g2011)
■300    ▼a전자책  1책  ▼b천연색
■44000▼a연세근대한국학  총서▼v48(L-042)
■500    ▼a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유저수:  1copy
■500    ▼a2025-1학기  강의지원자료
■516    ▼aPDF
■520    ▼a아동문학을  공부하는  일은  우리의  삶을  분절하는  경계들에  대해,  보편적인  것이라고  믿어지는  문학의  미적  이념에  대해  곰곰이  따져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어느덧  나는  아동문학을  공부함으로써  갖게  된  어떤  세계상-비록  세계의  화해로움보다는  균열과  간극에  더  민감한  것일지라도-에  대해  강한  애착과  일종의  의무감마저  가지게  되었다.  아동문학을  공부하게  된  것은  우연한  일이었지만,  특별한  행운이기도  하다.  이  책은  2005년  제출한  박사학위논문과  그  이후에  쓴  몇  편의  논문으로  이루어졌다
■530    ▼a책자형태로  간행:  ISBN  9788956263793
■538    ▼a접근방법:  서울예술대학교  전자책
■653    ▼a아동문학▼a한국문학▼a한국아동문학
■7760  ▼t한국  아동문학의  형성▼z9788956263793
■85640▼uhttps://kebook.seoularts.ac.kr/elibrary-front/frontapi/mmbrLnkg.ink?libraryCode=21065&barcode=4808956263793▼y전자책
■90011▼aCho,  Eun-Sook
■9500  ▼b\1944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התיקיה שלי
    • צפה הראשון בקשה
    גשמי
    Reg No. Call No. מיקום מצב להשאיל מידע
    ME107453 전자책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הזמנות זמינים בספר ההשאלה. כדי להזמין, נא לחץ על כפתור ההזמנה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