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새로운 시선, 사랑과 존재의 발견
새로운 시선, 사랑과 존재의 발견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7142446
- ISBN
- 9788937428357 03800 : \30,000
- DDC
- 895.709-23
- 청구기호
- 8A0 고45ㅅ
- 서명/저자
- 새로운 시선, 사랑과 존재의 발견 / 고봉준 ; 이상우 외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민음사, 2024
- 형태사항
- 274 p. ; 24 cm
- 주기사항
- 황선미 교수 기증
- 주기사항
- 각 주제마다 생애 연보와 작품 연보 수록
- 서지주기
- 각 주제마다 참고문헌 수록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기금정보
- 이 논문집은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가 기획, 개최한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음
- 주제명-개인
- 강신재 , 1924-2001
- 주제명-개인
- 박양균 , 1924-1990
- 주제명-개인
- 신동집 , 1924-2003
- 주제명-개인
- 차범석 , 1924-2006
- 주제명-개인
- 최일수 , 1924-2006
- 주제명-개인
- 박화목 , 1924-2005
- 주제명-개인
- 손동인 , 1924-1992
- 키워드
- 황선미
- 기타저자
- 고봉준
- 기타저자
- 이상우
- 가격
- - 수증
- Control Number
- sacl:140171
- 책소개
-
탄생 100년을 맞는 작가들의 문학적 업적과 생애를
객관적으로 조명하고 정리하여 우리 문학의 진로를 모색한다
1924년에 태어나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문학인들은 강신재, 박양균, 신동집, 차범석, 최일수, 박화목, 손동인 등이다. 이들은 모두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20대에 독립과 한국전쟁을 겪은 세대다.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문단에 나왔지만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를 탐구했다는 점에서 기존 1950년대 문학이나 전후문학과 결을 달리한다.
이들의 문학은 허무주의와 실존주의로 귀결되지 않고, 각자의 방식으로 전후 세대의 감각을 형상화했고, 전후의 ‘현실’과의 긴장 관계 속에서 개성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전후라는 척박한 현실에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나 그 시대를 짓누르고 있던 ‘분단’이나 ‘이념’ 같은 거대한 현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헤쳐 나가려는 모습을 보여 준 것이다. 이들은 전후 한국의 현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려 노력했고, 그것은 현실 원칙에 충실한 삶의 형태부터 인간 존재의 본질을 사유함으로써 현실을 초극하려는 태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1924년생 작가들은 현실에 순응하기보다 ‘문학’을 매개로 그 시대의 고정관념에 적극적으로 응전하고자 했다.
─「총론」 중에서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