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 : 천양희 시집
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 : 천양희 시집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36425104 03810 : \12000
- DDC
- 895.714-21
- 청구기호
- 8A1.608 창71 510
- 저자명
- 천양희 지음
- 서명/저자
- 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 : 천양희 시집 / 천양희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창비, 2024
- 형태사항
- 149 p ; 20 cm
- 총서명
- 창비시선 ; 510
- 초록/해제
- 요약: 만해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소월시문학상 등 여러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고 지난해 만해문예대상 수상으로 오랜 작품활동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한 천양희 시인의 신작 시집 『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가 창비시선 510번으로 출간되었다. 1965년 등단한 이래 삶의 고독을 눈부신 서정의 언어로 승화시키며 굳건히 시의 거리를 지켜온 우리 시단의 중진이 열번째로 펴낸 뜻깊은 시집이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존재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깊이 통찰하면서 ‘예순한편의 슬픔’을 나직이 노래한다.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의 고독과 슬픔을 주조음으로 하면서도 “아름답고 융융한 예술적 사유”와 “숭고한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유성호, 해설)이 그 틈에서 눈부시게 빛난다. 내년이면 시력(詩歷) 60년을 맞는 시인은 한결같은 신실한 시심(詩心)을 간직하며 “바람에 온몸을 내맡긴 채”(황유원, 추천사) 여기까지 왔다. 평생을 오로지 ‘시인’으로 살기 위해 시의 외길을 걸어온 시인의 간절함이 뭉클하게 와닿는다.
- 기타서명
- 천양희 시집
- 가격
- \10800
- Control Number
- sacl:140004
- 책소개
-
“소녀는 저를 뒤집는 힘으로
별자리 하나를 가졌다”
고독과 슬픔 한가운데서 띄워 올린 찬연한 목소리
어둠 속에서 더욱 형형하게 빛나는 천양희의 고결한 시세계
만해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소월시문학상 등 여러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고 지난해 만해문예대상 수상으로 오랜 작품활동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한 천양희 시인의 신작 시집 『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가 창비시선 510번으로 출간되었다. 1965년 등단한 이래 삶의 고독을 눈부신 서정의 언어로 승화시키며 굳건히 시의 거리를 지켜온 우리 시단의 중진이 열번째로 펴낸 뜻깊은 시집이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존재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깊이 통찰하면서 ‘예순한편의 슬픔’을 나직이 노래한다.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의 고독과 슬픔을 주조음으로 하면서도 “아름답고 융융한 예술적 사유”와 “숭고한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유성호, 해설)이 그 틈에서 눈부시게 빛난다. 내년이면 시력(詩歷) 60년을 맞는 시인은 한결같은 신실한 시심(詩心)을 간직하며 “바람에 온몸을 내맡긴 채”(황유원, 추천사) 여기까지 왔다. 평생을 오로지 ‘시인’으로 살기 위해 시의 외길을 걸어온 시인의 간절함이 뭉클하게 와닿는다.
MARC
008250210s2024 ggk 000ap kor■00520250210010818
■007ta
■020 ▼a9788936425104▼g03810▼c\12000
■040 ▼d211037
■082 ▼a895.714▼221
■090 ▼a8A1.608▼b창71▼c510
■1001 ▼a천양희▼e지음
■24510▼a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b천양희 시집▼d천양희 지음
■260 ▼a파주▼b창비▼c2024
■300 ▼a149 p▼c20 cm
■44000▼a창비시선▼v510
■520 ▼a만해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소월시문학상 등 여러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고 지난해 만해문예대상 수상으로 오랜 작품활동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한 천양희 시인의 신작 시집 『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가 창비시선 510번으로 출간되었다. 1965년 등단한 이래 삶의 고독을 눈부신 서정의 언어로 승화시키며 굳건히 시의 거리를 지켜온 우리 시단의 중진이 열번째로 펴낸 뜻깊은 시집이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존재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깊이 통찰하면서 ‘예순한편의 슬픔’을 나직이 노래한다.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의 고독과 슬픔을 주조음으로 하면서도 “아름답고 융융한 예술적 사유”와 “숭고한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유성호, 해설)이 그 틈에서 눈부시게 빛난다. 내년이면 시력(詩歷) 60년을 맞는 시인은 한결같은 신실한 시심(詩心)을 간직하며 “바람에 온몸을 내맡긴 채”(황유원, 추천사) 여기까지 왔다. 평생을 오로지 ‘시인’으로 살기 위해 시의 외길을 걸어온 시인의 간절함이 뭉클하게 와닿는다.
■653 ▼a한국문학▼a한국시▼a한국현대시▼a시집▼a바람
■740 2▼a천양희 시집
■9500 ▼b\108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My Folder
- Demande Première utili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