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글짜씨. 20
글짜씨. 20

상세정보

Material Type  
 단행본
Control Number  
sacl:139884
책소개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는 글자와 타이포그래피를 연구하기 위해 2008년 창립됐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의 학회지인 『글짜씨』는 2009년 12월부터 발간한 국제 타이포그래피 저널이다. 2021년 8월 20번째 학회지인 『글짜씨 20』에는 20주년을 기념해 제작한 특별 한정 책갈피를 동봉했다.
『글짜씨 20』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징적인 활자체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부터, 시간과 질감을 넘어서 더 큰 내러티브를 찾는 디자이너, 경제학의 관점에서 폰트 시장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각도로 새로운 시대의 디자인을 짚어낸다.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솔직한 기록과 대화는 디자이너의 시각과 삶 그리고 새로운 글자들을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되는 부분이다.

더 쓰기 좋게, 더 조화롭게
디지털 시대 글자를 모색하다
『글짜씨 20』 논고에서는 디지털 시대 개인정보 보호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새로운 활자체 「ZXX」를 디자인한 문상현 디자이너의 작업과 디지털 감시 사회에 대한 비판을 읽을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과 판독성의 정의 유형을 분석한 석재원, 구자은의 글은 가독성과 판독성, legibility와 readability의 혼란을 막기 위해 국내외 타이포그래피 서적을 통해 각각 그 정의를 수집하고 분석해 유형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작업 부분에서는 재해석된 글자들이라는 주제로 서울과 홍콩의 디자이너 네 명의 작업을 소개한다. 이들은 자신의 모국자에 다른 지역의 문자를 디자인 작업에서 중요한 매개체로 삼고 있다. 디자이너의 고유한 생각과 원칙으로 타이포그래피적 질서를 세우며 문자를 만드는 과정은 문자의 국제성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기록에서는 「타이포잔치 사이사이 2020-2021: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의 디자인·생명·환경·문자에 관해 연구한 국내외 여섯 명의 디자이너와 활동가를 초대해 케이스 스터디와 통찰을 공유했다.
대화에서는 2021년 2월 한석진이 티스쿨(T/SCHOOL)에서 한 「경제학적 관점에서 폰트 시장 분석」 강연을 글짜씨 독자를 위해 더 쉽게 풀어서 제시한 글이다.
마지막 수집 뒤집어보기에서는 시선의 변화를 통해 형태의 가능성을 실험해 위아래로 뒤집었을 때 같은 또 다른 뜻으로 읽히는 글자, 한글과 라틴 문자의 획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글자 등을 포함해 열두 개의 글자 실험을 제시했다. 그림 같은 글자를 뒤집어 보고 사유하는 시간을 통해 시각적 쾌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MARC

 008250123s2021        ggkad                  000a    kor
■00520250123015924
■007ta
■020    ▼a9788970595405▼g04600▼c\30000
■0201  ▼a9788970597201(세트)
■040    ▼d211037
■0410  ▼akor▼aeng
■082    ▼a686.22▼221
■090    ▼a686.22▼b글71ㅇ▼c20
■1001  ▼a구자은▼e지음
■24510▼a글짜씨▼n20▼d구자은  [외]지음▼e김노을▼e손현정▼e홍기하  [공]옮김
■260    ▼a파주▼b안그라픽스▼c2021
■300    ▼a160,  160  p  ▼b삽화,  도표▼c24  cm
■520    ▼a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는  글자와  타이포그래피를  연구하기  위해  2008년  창립됐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의  학회지인  『글짜씨』는  2009년  12월부터  발간한  국제  타이포그래피  저널이다.  2021년  8월  20번째  학회지인  『글짜씨  20』에는  20주년을  기념해  제작한  특별  한정  책갈피를  동봉했다.『글짜씨  20』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징적인  활자체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부터,  시간과  질감을  넘어서  더  큰  내러티브를  찾는  디자이너,  경제학의  관점에서  폰트  시장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각도로  새로운  시대의  디자인을  짚어낸다.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솔직한  기록과  대화는  디자이너의  시각과  삶  그리고  새로운  글자들을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되는  부분이다.더  쓰기  좋게,  더  조화롭게디지털  시대  글자를  모색하다『글짜씨  20』  논고에서는  디지털  시대  개인정보  보호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새로운  활자체  「ZXX」를  디자인한  문상현  디자이너의  작업과  디지털  감시  사회에  대한  비판을  읽을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과  판독성의  정의  유형을  분석한  석재원,  구자은의  글은  가독성과  판독성,  legibility와  readability의  혼란을  막기  위해  국내외  타이포그래피  서적을  통해  각각  그  정의를  수집하고  분석해  유형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작업  부분에서는  재해석된  글자들이라는  주제로  서울과  홍콩의  디자이너  네  명의  작업을  소개한다.  이들은  자신의  모국자에  다른  지역의  문자를  디자인  작업에서  중요한  매개체로  삼고  있다.  디자이너의  고유한  생각과  원칙으로  타이포그래피적  질서를  세우며  문자를  만드는  과정은  문자의  국제성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546    ▼a한영대역본임
■653    ▼a글짜씨▼a타이포그래피▼a문자디자인
■7001  ▼a문상현▼e외  지음
■7001  ▼a하형원▼e외  지음
■7001  ▼a한석진▼e외  지음
■7001  ▼a석재원▼e외  지음
■7001  ▼a김영선▼e외  지음
■7001  ▼a포층▼e외  지음
■7001  ▼a박철희▼e외  지음
■7001  ▼a피비쿵▼e외  지음
■7001  ▼a김현진▼e외  지음
■7001  ▼a김초롱▼e외  지음
■7001  ▼a장수영▼e외  지음
■7001  ▼a막카이항▼e외  지음
■7001  ▼a이재민▼e외  지음
■7001  ▼a황상준▼e외  지음
■7001  ▼a신건모▼e외  지음
■7001  ▼a남선우▼e외  지음
■7001  ▼aDoreuli,  Maria▼e외  지음
■7001  ▼a박진현▼e외  지음
■7001  ▼a안마노▼e외  지음
■7001  ▼a박영신▼e외  지음
■7001  ▼a박신우▼e외  지음
■7001  ▼a권준호▼e외  지음
■7001  ▼a양수현▼e외  지음
■7001  ▼a이화영▼e외  지음
■7001  ▼a김노을▼e옮김
■7001  ▼a손현정▼e공  옮김
■7001  ▼a홍기하▼e공  옮김
■90010▼a장소보
■90010▼a맥계항
■90010▼a공효청
■90010▼a도렐리,  마리아
■9400  ▼a글짜씨  이십
■9500  ▼b\27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My Folder
    • First Request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00088420 686.22 글71ㅇ 20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