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1950169 04300 : \25000
ISBN  
9788961950039(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fre
DDC  
303.483-21
청구기호  
303.4 라837ㅇ 2
저자명  
라투르, 부뤼노 지음
서명/저자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 브뤼노 라투르 지음 ; 홍철기 옮김
원표제  
[표제관련정보] 대칭적 인류학을 위하여
원표제  
[원표제]Nous n'avons jamais ete modernes : essai d'anthropologie symetrique
발행사항  
서울 : 갈무리, 2009
형태사항  
404 p ; 20 cm
총서명  
아우또노미아 총서 ; 20
주기사항  
부록: '용어해설' 등 수록
주기사항  
원저자명 : Bruno Latour
주기사항  
전문기술석사과정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9-368)과 색인수록
초록/해제  
요약: 이 책은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을 연구해온 인류학자인 저자 브뤼노 라투르가 근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방식에 던지는 독특하고 근본적인 문제제기이다. 탈근대주의의 근대성 비판은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다. 라투르가 말하는 근대인의 본질은 이분법이 아닌 ‘하이브리드’의 증식이다.저자가 보기에 탈근대주의가 처한 '막다른 골목'은 탈근대주의자들의 근대인들에 대한 지나친 불신의 결과라기보다는 오히려 근대인들 자신과 마찬가지로 그들이 근대인들을 지나치게 신뢰한 결과다. 그들이야말로 근대화를 곧이곧대로 믿은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근대성 논쟁의 핵심적인 쟁점이 자리 잡고 있다.근대인은 자신들의 탄생시점에서부터 이중의 존재였다. 근대인은 공식적인 표면적 층위에서는 자연과 사회, 과학과 문화, 지식과 이익을 엄격하게 구분하였고 그것이 자신들을 전근대인들과 구분시켜주는 본질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탈근대인들이나 전통주의자들도 바로 그렇게 믿었다.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근대인들은 실제로는 자연과 사회, 과학과 문화, 지식과 이익이 구분될 수 없게 뒤얽힌 비인간적 사물, '하이브리드'를 엄청난 규모로 증식시키고 동원해 왔다는 것이다. 근대성의 태동기 잉글랜드에서 홉스와 보일로 하여금 그것의 정치적 파장과 과학적 효과 모두에 대해 한꺼번에 논쟁하게 만든 공기펌프로부터 현대의 오존층 파괴, AIDS, 유전자 변형식품에 이르기까지 정치와 과학은 언제나 하이브리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이다.저자는 하이브리드를 이해하는 것은 곧 근대인 자신을 보다 더 잘 이해하는 것이기도 하며 이를 통해서 이제 더 이상 전진도 후퇴도 불가능한 근대성 없이도 지속하고 발전할 수 있는 계몽주의를 모색하려 한다. 이러한 계몽주의는 근대인과 비근대인, 문명적 사고와 야생적 사고의 분할을 넘나드는 이미 오래된 인간의 실천에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다.
언어주기  
프랑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키워드  
근대인 인류학
기타저자  
홍철기 옮김
기타저자  
Latour, Bruno 지음
가격  
\22500
Control Number  
sacl:138777

MARC

 008241030s2009        ulk            b        001a    kor
■00520241030105846
■007ta
■020    ▼a9788961950169▼g04300▼c\25000
■0201  ▼a9788961950039(세트)
■040    ▼d211037
■0411  ▼akor▼hfre
■082    ▼a303.483▼221
■090    ▼a303.4  ▼b라837ㅇ▼c2
■1001  ▼a라투르,  부뤼노▼e지음
■24510▼a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d브뤼노  라투르  지음▼e홍철기  옮김
■2461  ▼i표제관련정보▼a대칭적  인류학을  위하여
■24619▼aNous  n'avons  jamais  ete  modernes▼bessai  d'anthropologie  symetrique
■260    ▼a서울▼b갈무리▼c2009
■300    ▼a404  p▼c20  cm
■44000▼a아우또노미아  총서▼v20
■500    ▼a부록:  '용어해설'  등  수록
■500    ▼a원저자명  :  Bruno  Latour
■500    ▼a전문기술석사과정
■504    ▼a참고문헌(p.  359-368)과  색인수록
■520    ▼a이  책은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을  연구해온  인류학자인  저자  브뤼노  라투르가  근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방식에  던지는  독특하고  근본적인  문제제기이다.  탈근대주의의  근대성  비판은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다.  라투르가  말하는  근대인의  본질은  이분법이  아닌  ‘하이브리드’의  증식이다.저자가  보기에  탈근대주의가  처한  '막다른  골목'은  탈근대주의자들의  근대인들에  대한  지나친  불신의  결과라기보다는  오히려  근대인들  자신과  마찬가지로  그들이  근대인들을  지나치게  신뢰한  결과다.  그들이야말로  근대화를  곧이곧대로  믿은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근대성  논쟁의  핵심적인  쟁점이  자리  잡고  있다.근대인은  자신들의  탄생시점에서부터  이중의  존재였다.  근대인은  공식적인  표면적  층위에서는  자연과  사회,  과학과  문화,  지식과  이익을  엄격하게  구분하였고  그것이  자신들을  전근대인들과  구분시켜주는  본질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탈근대인들이나  전통주의자들도  바로  그렇게  믿었다.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근대인들은  실제로는  자연과  사회,  과학과  문화,  지식과  이익이  구분될  수  없게  뒤얽힌  비인간적  사물,  '하이브리드'를  엄청난  규모로  증식시키고  동원해  왔다는  것이다.  근대성의  태동기  잉글랜드에서  홉스와  보일로  하여금  그것의  정치적  파장과  과학적  효과  모두에  대해  한꺼번에  논쟁하게  만든  공기펌프로부터  현대의  오존층  파괴,  AIDS,  유전자  변형식품에  이르기까지  정치와  과학은  언제나  하이브리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이다.저자는  하이브리드를  이해하는  것은  곧  근대인  자신을  보다  더  잘  이해하는  것이기도  하며  이를  통해서  이제  더  이상  전진도  후퇴도  불가능한  근대성  없이도  지속하고  발전할  수  있는  계몽주의를  모색하려  한다.  이러한  계몽주의는  근대인과  비근대인,  문명적  사고와  야생적  사고의  분할을  넘나드는  이미  오래된  인간의  실천에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다.
■546    ▼a프랑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3    ▼a근대인▼a인류학
■7001  ▼a홍철기▼e옮김
■7001  ▼aLatour,  Bruno▼e지음
■9500  ▼b\225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高级搜索信息

    • 预订
    • 不存在
    • 我的文件夹
    • 第一种观点
    材料
    注册编号 呼叫号码. 收藏 状态 借信息.
    00088024 303.4 라837ㅇ c.2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保留在借用的书可用。预订,请点击预订按钮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