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향락사회론 : 현대 라캉주의의 전개
향락사회론 : 현대 라캉주의의 전개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91535129 03300 : \25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DDC  
150.195-21
청구기호  
150.195 마58ㅎ
저자명  
마쓰모토 타쿠야 지음
서명/저자  
향락사회론 : 현대 라캉주의의 전개 / 마쓰모토 타쿠야 지음 ; 임창석 ; 이정민 [공]옮김
원표제  
[원표제]享社論 : 現代ラカン派の展開
발행사항  
성남 : 에디투스, 2024
형태사항  
397 p ; 21 cm
주기사항  
마쓰모토 타쿠야의 한자명은 '松本卓也'임
주기사항  
권말부록: 향락사회란 무엇인가?
주기사항  
2024-1학기 강의지원자료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초록/해제  
요약: 본래 정신분석에서 향락Jouissance이란 인간이 안정된 상징 시스템(=상징계) 속으로 들어가는 대가를 치르면서 상실해 버린 것을 말한다. 그래서 향락하는 것(혹은 상실된 향락이 회귀하는 것)이란 상징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것과 같은 의미로, 단적으로 말해 향락은 죽음의 이미지를 띠게 되며 정신분석은 이를 근대 문명의 전제로 파악한다. 프로이트에 이어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향락은 어디까지나 ‘불가능한 향락’으로 안정된 시스템을 유지하는 ‘법’을 위반하고 스스로의 죽음과 맞바꿈으로써 비로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체제의 전개와 더불어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다. 한마디로 ‘향락’은 목숨을 건 혁명과도 비슷한, 감미로운 파멸로 얼룩진 ‘불가능한 것’으로부터 소비사회에서의 ‘인조이enjoy’, 즉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변모했다.소비자본주의하에서 향락은 금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향락하라!”는 초자아의 명령이 사람들의 의식과 삶을 지배한다. 한마디로 현대에는 더 이상 정신분석이 밝힌 상징계의 논리가 ‘쇠약’해짐에 따라 ‘불가능한 향락’은 ‘인조이’가 되었으며 상징 질서를 제어하는 ‘아버지의 이름’ 대신 새로운 질서 유지 장치로서 통계학적 관리가 등장했다. 그렇다면 근대 문명에서 전제가 되었던 향락의 상실을 인정하지 않기에 결여라고도 느끼지 않고 어떠한 금지도 알지 못하며 나르시시즘적인 향락에 빠진 현대의 주체들은 이 세상을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향락사회론―현대 라캉주의 전개』는 프랑스어 주이상스를 영어 인조이로 변역하는 것을 한사코 거절하는 라캉의 일화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어쩌면 말년의 라캉을 사로잡았던 가장 큰 관심사는 자신이 살았던 1970년대 중반의 ‘현대’가 명백히 ‘인조이’의 시대, 즉 ‘향락사회society of enjoyment’로서의 양상을 노출하던 시대였으며 따라서 기존의 향락과 상징계의 기능 불능이라는 위기 앞에서 정신분석의 갱신 작업을 수행하는 일이었다. 거칠게 말하자면 말년의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를 제어하는 ‘아버지의 이름’(=타자의 타자)은 과거와 같은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징계는 확실한 근거를 결여하고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하여 ‘법’(이나 사회)은 인간들 각자의 향락을 죽이는 것이 아니고 살리며 , 오히려 향락을 길들이기 위한 교활한 수단을 취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 전망한다. 문제는 라캉에게 있어서나 우리에게 있어서나 전망이 아니라 정신분석이 인조이의 강제 혹은 ‘향락의 통제’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지배 체제에 저항할 수 있는지, 나아가 그 요체는 무엇인가일 것이다.『모든 인간은 망상한다』에 이어 두 번째로 한국어로 출간되는 일본의 신예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자 마쓰모토 타쿠야의 『향락사회론』은 라캉이 1970년대에 사용한 ‘잉여향락’이나 ‘자본주의 디스쿠르discours’를 포함한 개념 작업들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라캉이 정신분석 개념의 갱신 작업이 현대의 이론이나 임상, 그리고 정치와 사회에 어떠한 임팩트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탐구한 성과물이다. 특히 라캉 이후 지금까지의 현대 라캉주의의 진화가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와 맞서면서 어떠한 내용을 전개해 왔는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한국의 현실에서 소중한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언어주기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키워드  
향락 사회론 라캉주의 정신분석
기타저자  
임창석 옮김
기타저자  
이정민 공옮김
기타저자  
松本卓也 지음
기타서명  
현대 라캉주의의 전개
기타저자  
송본탁야
가격  
\45000
Control Number  
sacl:138068
책소개  
본래 정신분석에서 향락Jouissance이란 인간이 안정된 상징 시스템(=상징계) 속으로 들어가는 대가를 치르면서 상실해 버린 것을 말한다. 그래서 향락하는 것(혹은 상실된 향락이 회귀하는 것)이란 상징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것과 같은 의미로, 단적으로 말해 향락은 죽음의 이미지를 띠게 되며 정신분석은 이를 근대 문명의 전제로 파악한다. 프로이트에 이어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향락은 어디까지나 ‘불가능한 향락’으로 안정된 시스템을 유지하는 ‘법’을 위반하고 스스로의 죽음과 맞바꿈으로써 비로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체제의 전개와 더불어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다. 한마디로 ‘향락’은 목숨을 건 혁명과도 비슷한, 감미로운 파멸로 얼룩진 ‘불가능한 것’으로부터 소비사회에서의 ‘인조이enjoy’, 즉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변모했다. 소비자본주의하에서 향락은 금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향락하라!”는 초자아의 명령이 사람들의 의식과 삶을 지배한다. 한마디로 현대에는 더 이상 정신분석이 밝힌 상징계의 논리가 ‘쇠약’해짐에 따라 ‘불가능한 향락’은 ‘인조이’가 되었으며 상징 질서를 제어하는 ‘아버지의 이름’ 대신 새로운 질서 유지 장치로서 통계학적 관리가 등장했다. 그렇다면 근대 문명에서 전제가 되었던 향락의 상실을 인정하지 않기에 결여라고도 느끼지 않고 어떠한 금지도 알지 못하며 나르시시즘적인 향락에 빠진 현대의 주체들은 이 세상을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향락사회론-현대 라캉주의 전개』는 프랑스어 주이상스를 영어 인조이로 변역하는 것을 한사코 거절하는 라캉의 일화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어쩌면 말년의 라캉을 사로잡았던 가장 큰 관심사는 자신이 살았던 1970년대 중반의 ‘현대’가 명백히 ‘인조이’의 시대, 즉 ‘향락사회society of enjoyment’로서의 양상을 노출하던 시대였으며 따라서 기존의 향락과 상징계의 기능 불능이라는 위기 앞에서 정신분석의 갱신 작업을 수행하는 일이었다. 거칠게 말하자면 말년의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를 제어하는 ‘아버지의 이름’(=타자의 타자)은 과거와 같은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징계는 확실한 근거를 결여하고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하여 ‘법’(이나 사회)은 인간들 각자의 향락을 죽이는 것이 아니고 살리며 , 오히려 향락을 길들이기 위한 교활한 수단을 취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 전망한다. 문제는 라캉에게 있어서나 우리에게 있어서나 전망이 아니라 정신분석이 인조이의 강제 혹은 ‘향락의 통제’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지배 체제에 저항할 수 있는지, 나아가 그 요체는 무엇인가일 것이다. 『모든 인간은 망상한다』에 이어 두 번째로 한국어로 출간되는 일본의 신예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자 마쓰모토 타쿠야의 『향락사회론』은 라캉이 1970년대에 사용한 ‘잉여향락’이나 ‘자본주의 디스쿠르discours’를 포함한 개념 작업들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라캉이 정신분석 개념의 갱신 작업이 현대의 이론이나 임상, 그리고 정치와 사회에 어떠한 임팩트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탐구한 성과물이다. 특히 라캉 이후 지금까지의 현대 라캉주의의 진화가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와 맞서면서 어떠한 내용을 전개해 왔는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한국의 현실에서 소중한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MARC

 008240906s2024        ggk            b        000a    kor
■00520240906015643
■007ta
■020    ▼a9791191535129▼g03300▼c\25000
■040    ▼d211037
■0411  ▼akor▼hjpn
■082    ▼a150.195▼221
■090    ▼a150.195▼b마58ㅎ
■1001  ▼a마쓰모토  타쿠야▼e지음
■24510▼a향락사회론▼b현대  라캉주의의  전개▼d마쓰모토  타쿠야  지음▼e임창석▼e이정민  [공]옮김
■24619▼a享社論▼b現代ラカン派の展開
■260    ▼a성남▼b에디투스▼c2024
■300    ▼a397  p▼c21  cm
■500    ▼a마쓰모토  타쿠야의  한자명은  '松本卓也'임
■500    ▼a권말부록:  향락사회란  무엇인가?
■500    ▼a2024-1학기  강의지원자료
■504    ▼a참고문헌  수록
■520    ▼a본래  정신분석에서  향락Jouissance이란  인간이  안정된  상징  시스템(=상징계)  속으로  들어가는  대가를  치르면서  상실해  버린  것을  말한다.  그래서  향락하는  것(혹은  상실된  향락이  회귀하는  것)이란  상징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것과  같은  의미로,  단적으로  말해  향락은  죽음의  이미지를  띠게  되며  정신분석은  이를  근대  문명의  전제로  파악한다.  프로이트에  이어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향락은  어디까지나  ‘불가능한  향락’으로  안정된  시스템을  유지하는  ‘법’을  위반하고  스스로의  죽음과  맞바꿈으로써  비로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체제의  전개와  더불어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다.  한마디로  ‘향락’은  목숨을  건  혁명과도  비슷한,  감미로운  파멸로  얼룩진  ‘불가능한  것’으로부터  소비사회에서의  ‘인조이enjoy’,  즉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변모했다.소비자본주의하에서  향락은  금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향락하라!”는  초자아의  명령이  사람들의  의식과  삶을  지배한다.  한마디로  현대에는  더  이상  정신분석이  밝힌  상징계의  논리가  ‘쇠약’해짐에  따라  ‘불가능한  향락’은  ‘인조이’가  되었으며  상징  질서를  제어하는  ‘아버지의  이름’  대신  새로운  질서  유지  장치로서  통계학적  관리가  등장했다.  그렇다면  근대  문명에서  전제가  되었던  향락의  상실을  인정하지  않기에  결여라고도  느끼지  않고  어떠한  금지도  알지  못하며  나르시시즘적인  향락에  빠진  현대의  주체들은  이  세상을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향락사회론―현대  라캉주의  전개』는  프랑스어  주이상스를  영어  인조이로  변역하는  것을  한사코  거절하는  라캉의  일화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어쩌면  말년의  라캉을  사로잡았던  가장  큰  관심사는  자신이  살았던  1970년대  중반의  ‘현대’가  명백히  ‘인조이’의  시대,  즉  ‘향락사회society  of  enjoyment’로서의  양상을  노출하던  시대였으며  따라서  기존의  향락과  상징계의  기능  불능이라는  위기  앞에서  정신분석의  갱신  작업을  수행하는  일이었다.  거칠게  말하자면  말년의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를  제어하는  ‘아버지의  이름’(=타자의  타자)은  과거와  같은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징계는  확실한  근거를  결여하고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하여  ‘법’(이나  사회)은  인간들  각자의  향락을  죽이는  것이  아니고  살리며  ,  오히려  향락을  길들이기  위한  교활한  수단을  취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  전망한다.  문제는  라캉에게  있어서나  우리에게  있어서나  전망이  아니라  정신분석이  인조이의  강제  혹은  ‘향락의  통제’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지배  체제에  저항할  수  있는지,  나아가  그  요체는  무엇인가일  것이다.『모든  인간은  망상한다』에  이어  두  번째로  한국어로  출간되는  일본의  신예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자  마쓰모토  타쿠야의  『향락사회론』은  라캉이  1970년대에  사용한  ‘잉여향락’이나  ‘자본주의  디스쿠르discours’를  포함한  개념  작업들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라캉이  정신분석  개념의  갱신  작업이  현대의  이론이나  임상,  그리고  정치와  사회에  어떠한  임팩트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탐구한  성과물이다.  특히  라캉  이후  지금까지의  현대  라캉주의의  진화가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와  맞서면서  어떠한  내용을  전개해  왔는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한국의  현실에서  소중한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546    ▼a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3    ▼a향락▼a사회론▼a라캉주의▼a정신분석
■7001  ▼a임창석▼e옮김
■7001  ▼a이정민▼e공옮김
■7001  ▼a松本卓也▼e지음
■740  2▼a현대  라캉주의의  전개
■90010▼a송본탁야
■9500  ▼b\45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Buch Status

    • Reservierung
    • frei buchen
    • Meine Mappe
    • Erste Aufräumarbeiten Anfrage
    Sammlungen
    Registrierungsnummer callnumber Standort Verkehr Status Verkehr Info
    00087800 150.195 마58ㅎ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00087803 150.195 마58ㅎ c.2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Kredite nur für Ihre Daten gebucht werden. Wenn Sie buchen möchten Reservierungen, klicken Sie auf de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