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내 이름은 데몬 코퍼헤드
내 이름은 데몬 코퍼헤드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7371683 03840 : \25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813.6-21
- 청구기호
- 813 킹55ㄴ
- 저자명
- 킹솔버, 바버라 지음
- 서명/저자
- 내 이름은 데몬 코퍼헤드 / 바버라 킹솔버 지음 ; 강동혁 옮김
- 원표제
- [원표제]Demon Copperhead
- 발행사항
- 서울 : 은행나무, 2024
- 형태사항
- 845 p ; 21 cm
- 주기사항
- 원저자명 : Barbara Kingsolver
- 초록/해제
- 요약: 라이터스 다이제스트 선정 ‘20세기 가장 중요한 작가’이자 미국 국가인문학훈장 수훈 작가 바버라 킹솔버의 2023년 퓰리처상 수상작. 175년 전 출간된 찰스 디킨스의 자전적 소설 〈데이비드 코퍼필드〉를 현대 독자의 감성에 맞추어 다시 쓰기 한 작품으로, 2022년 10월 출간 이후 현재까지 70여 주간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른 동시에 2022년 제임스 테이트 블랙 소설상, 2023년 여성소설상 및 2023년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대중의 환호와 평단의 찬탄 모두를 놓치지 않은 시대의 걸작이다. 영국의 대문호 찰스 디킨스는 제도적 빈곤과 그로 인한 아동 학대의 생존자로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비드 코퍼필드〉를 집필했다. 이러한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킹솔버는 디킨스의 분노와 연민, 무엇보다도 좋은 이야기의 변혁적 힘에 대한 믿음을 끌어들인다. 〈내 이름은 데몬 코퍼헤드〉는 세계적인 작가라는 일종의 슈퍼히어로의 기원 이야기인 〈데이비드 코퍼필드〉를 면밀히 재구성한 다시 쓰기이자 오마주, 즉 문학적 팬픽이라 할 수 있다. 주인공 데몬 코퍼헤드(데이비드 코퍼필드)를 비롯해 페곳 아줌마(페거티), 매코브(미코버), 앵거스(애그니스), 도리(도라) 등 등장인물의 이름과 성격도 그대로 혹은 비슷하게 따왔고, 주된 줄거리도 마찬가지로 디킨스 소설 내용을 변용했다. 다만 킹솔버는 19세기 영국 런던이라는 무대를 20세기 말 미국 남부 애팔래치아 산악지대 농촌으로 옮겨 와 새로운 ‘유니버스’를 창조했다.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생애에 변두리 남자아이의 북미식 원형인 ‘허클베리 핀’의 태도와 고립된 청소년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홀든 콜필드(〈호밀밭의 파수꾼〉)’의 목소리를 부여해, 현대 독자를 위한 새로운 고전으로 빚어냈다.
- 언어주기
-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수상주기
- 2023년 퓰리처상 수상작
- 기타저자
- 강동혁 옮김
- 기타저자
- Kingsolver, Barbara 지음
- 가격
- \22500
- Control Number
- sacl:137327
- 책소개
-
현대 미국 생태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바버라 킹솔버의 2023 퓰리처상 수상작
라이터스 다이제스트 선정 ‘20세기 가장 중요한 작가’이자 미국 국가인문학훈장 수훈 작가 바버라 킹솔버의 2023년 퓰리처상 수상작 《내 이름은 데몬 코퍼헤드(Demon Copperhead)》가 (주)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됐다. 175년 전 출간된 찰스 디킨스의 자전적 소설 《데이비드 코퍼필드(David Copperfield)》를 현대 독자의 감성에 맞추어 다시 쓰기 한 작품으로, 2022년 10월 출간 이후 현재까지 70여 주간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른 동시에 2022년 제임스 테이트 블랙 소설상, 2023년 여성소설상 및 2023년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대중의 환호와 평단의 찬탄 모두를 놓치지 않은 시대의 걸작이다. 이 작품으로 킹솔버는 여성소설상을 2회 수상한 최초의 작가가 되었다. 또한 미국 대통령 부인 질 바이든 여사가 2023년 여름 해변에서 이 작품을 읽는 모습이 CNN 기자에게 포착돼 SNS에서 다시 한번 화제에 오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