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문학생산의 이론을 위하여
문학생산의 이론을 위하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6822321 93800 : \25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fre
- DDC
- 809-21
- 청구기호
- 306 프239ㅊ 16
- 저자명
- 마슈레, 피에르 지음, 1938-
- 서명/저자
- 문학생산의 이론을 위하여 / 피에르 마슈레 지음 ; 윤진 옮김
- 원표제
- [원표제]Pour une theorie de la production litteraire
- 발행사항
- 서울 : 그린비, 2014
- 형태사항
- 416 p ; 23 cm
- 총서명
- 프리즘총서 ; 016
- 주기사항
- 원저자명: Pierre Macherey
- 서지주기
- 찾아보기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프리즘 총서 16권.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스피노자 연구자이며 문학이론 연구자로서도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피에르 마슈레의 대표작 〈문학생산의 이론을 위하여〉가 새롭게 번역 출간되었다. 1970년대 영국의 좌파 문학계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면서 세계적인 문학이론서로 자리매김된 이 책은 테리 이글턴이나 프레드릭 제임슨과 같은 영미권의 많은 좌파 비평가들이 영향을 미친 책이기도 하다.이 책에서 마슈레는 ‘생산’, ‘모순’, ‘이데올로기’, ‘과학적 지식’과 같은 알튀세르의 철학적 개념들을 차용하는 등 알튀세르 철학에 기반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알튀세르의 철학으로 한정되지 않는 획기적이고 독창적인 방법론을 또한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에서 마슈레는 문학작품은 단일한 기원과 통일성을 가진 작가의 의도의 산물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과정의 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자의 의도와 무관한 절차를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그리고 이렇게 ‘생산된’ 문학작품을 비평한다는 것은 작품의 숨겨진 이면을 드러내고, 작품이 진술하지 않은 것을 통해 작품의 징후적 억압, 회피, 미끄러짐, 자기 모순 등을 포착해 내는, 작품에 가해지는 ‘작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학과 비평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이 책의 3부에서 마슈레는 쥘 베른과 보르헤스, 발자크의 작품들에 대한 비평을 선보이면서, 문학이 어떤 힘을 가지고 있고, 어떤 방식으로 세계를 바꾸는 데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 언어주기
- 프랑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일반주제명
- 문학 이론[文學理論]
- 일반주제명
- 문학 비평[文學批評]
- 기타저자
- 윤진 옮김, 1961-
- 기타저자
- Macherey, Pierre 지음, 1938-
- 가격
- \22500
- Control Number
- sacl:135822
- 책소개
-
프리즘 총서 16권.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스피노자 연구자이며 문학이론 연구자로서도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피에르 마슈레의 대표작 <문학생산의 이론을 위하여>가 새롭게 번역 출간되었다. 1970년대 영국의 좌파 문학계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면서 세계적인 문학이론서로 자리매김된 이 책은 테리 이글턴이나 프레드릭 제임슨과 같은 영미권의 많은 좌파 비평가들이 영향을 미친 책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마슈레는 ‘생산’, ‘모순’, ‘이데올로기’, ‘과학적 지식’과 같은 알튀세르의 철학적 개념들을 차용하는 등 알튀세르 철학에 기반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알튀세르의 철학으로 한정되지 않는 획기적이고 독창적인 방법론을 또한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에서 마슈레는 문학작품은 단일한 기원과 통일성을 가진 작가의 의도의 산물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과정의 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자의 의도와 무관한 절차를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산된’ 문학작품을 비평한다는 것은 작품의 숨겨진 이면을 드러내고, 작품이 진술하지 않은 것을 통해 작품의 징후적 억압, 회피, 미끄러짐, 자기 모순 등을 포착해 내는, 작품에 가해지는 ‘작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학과 비평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이 책의 3부에서 마슈레는 쥘 베른과 보르헤스, 발자크의 작품들에 대한 비평을 선보이면서, 문학이 어떤 힘을 가지고 있고, 어떤 방식으로 세계를 바꾸는 데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MARC
008240103s2014 ulk 001a kor■00520240103050538
■007ta
■020 ▼a9788976822321▼g93800▼c\25000
■040 ▼d211037
■0411 ▼akor▼hfre
■082 ▼a809▼221
■090 ▼a306▼b프239ㅊ▼c16
■1001 ▼a마슈레, 피에르▼d1938-▼e지음
■24510▼a문학생산의 이론을 위하여▼d피에르 마슈레 지음▼e윤진 옮김
■24619▼aPour une theorie de la production litteraire
■260 ▼a서울▼b그린비▼c2014
■300 ▼a416 p▼c23 cm
■44000▼a프리즘총서▼v016
■500 ▼a원저자명: Pierre Macherey
■504 ▼a찾아보기 수록
■520 ▼a프리즘 총서 16권.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스피노자 연구자이며 문학이론 연구자로서도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피에르 마슈레의 대표작 〈문학생산의 이론을 위하여〉가 새롭게 번역 출간되었다. 1970년대 영국의 좌파 문학계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면서 세계적인 문학이론서로 자리매김된 이 책은 테리 이글턴이나 프레드릭 제임슨과 같은 영미권의 많은 좌파 비평가들이 영향을 미친 책이기도 하다.이 책에서 마슈레는 ‘생산’, ‘모순’, ‘이데올로기’, ‘과학적 지식’과 같은 알튀세르의 철학적 개념들을 차용하는 등 알튀세르 철학에 기반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알튀세르의 철학으로 한정되지 않는 획기적이고 독창적인 방법론을 또한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에서 마슈레는 문학작품은 단일한 기원과 통일성을 가진 작가의 의도의 산물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과정의 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자의 의도와 무관한 절차를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그리고 이렇게 ‘생산된’ 문학작품을 비평한다는 것은 작품의 숨겨진 이면을 드러내고, 작품이 진술하지 않은 것을 통해 작품의 징후적 억압, 회피, 미끄러짐, 자기 모순 등을 포착해 내는, 작품에 가해지는 ‘작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학과 비평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이 책의 3부에서 마슈레는 쥘 베른과 보르헤스, 발자크의 작품들에 대한 비평을 선보이면서, 문학이 어떤 힘을 가지고 있고, 어떤 방식으로 세계를 바꾸는 데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546 ▼a프랑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a문학 이론[文學理論]
■650 8▼a문학 비평[文學批評]
■653 ▼a문학생산▼a이론
■7001 ▼a윤진▼d1961-▼e옮김
■7001 ▼aMacherey, Pierre▼d1938-▼e지음
■9500 ▼b\225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