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왕위 주장자들브란. 3
왕위 주장자들브란. 3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7868256 03890 : \16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nor
- DDC
- 839.8226-21
- 청구기호
- 839.822 입53ㅋ
- 저자명
- 입센, 헨리크 , 1828-1906
- 서명/저자
- 왕위 주장자들브란. 3 / 헨리크 입센 작 ; 김미혜 역
- 원표제
- [원표제]Kongs-emnerne
- 원표제
- [원표제]Brand
- 발행사항
- 서울 : 연극과인간, 2022
- 형태사항
- 492 p ; 23 cm
- 총서명
- 완역 헨리크 입센 희곡 전집 = Henrik Ibsen : Samlede Verker Komplett Oversettelse fra Norsk til Koreansk ; 3
- 주기사항
- 원저자명: Henrik Ibsen
- 서지주기
- 헨리크 입센 연보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2010년 입센 평전 〈던 연극의 초석 헨리크 입센〉을 출간한 김미혜 교수가 입센의 희곡 전 작품을 번역(완역)했다. 국내에서 헨리크 입센을 논할 때 김미혜 교수를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그의 입센 사랑은 타의추종을 불허한다. 입센은 1828년에 태어나 1906년에 서거할 때까지 모두 25편의 희곡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입센이 1850년에 발표한 단막시극 〈전사의 무덤(Kœmpehøjend)〉과 1853년에 발표한 3막의 동화희극 〈한여름 밤(Sancthansnatten)〉은 입센 자신이 자신의 전집에 넣는 것을 꺼렸기 때문에, 그의 서거 100주기를 기념하여 노르웨이에서 출판된 〈입센 희곡 전집(Samlede Verker)〉에서도 원전을 찾을 수 없어 수록되지 못했다. 전집에는 이 두 작품을 제외한 23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 언어주기
- 노르웨이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기타저자
- 김미혜
- 기타저자
- Ibsen, Henrik , 1828-1906
- 가격
- \14400
- Control Number
- sacl:134764
- 책소개
-
2010년 입센 평전 〈모던 연극의 초석 헨리크 입센〉을 출간한 김미혜 교수가 입센의 희곡 전 작품을 번역(완역)했다. 국내에서 헨리크 입센을 논할 때 김미혜 교수를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그의 입센 사랑은 타의추종을 불허한다.
입센은 1828년에 태어나 1906년에 서거할 때까지 모두 25편의 희곡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입센이 1850년에 발표한 단막시극 〈전사의 무덤(Kœmpehøjend)〉과 1853년에 발표한 3막의 동화희극 〈한여름 밤(Sancthansnatten)〉은 입센 자신이 자신의 전집에 넣는 것을 꺼렸기 때문에, 그의 서거 100주기를 기념하여 노르웨이에서 출판된 〈입센 희곡 전집(Samlede Verker)〉에서도 원전을 찾을 수 없어 수록되지 못했다. 전집에는 이 두 작품을 제외한 23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전집에 수록된 작품은 〈카틸리나〉, 〈솔하우그에서의 잔치〉, 〈외스테로트의 잉게르 부인〉, 〈헬겔란의 영웅들〉, 〈사랑의 희극〉, 〈왕위 주장자들〉, 〈브란〉, 〈페르 귄트〉, 〈청년동맹〉, 〈황제와 갈릴리 사람〉 1·2부, 〈사회의 기둥들〉, 〈인형의 집〉, 〈유령〉, 〈민중의 적〉, 〈들오리〉, 〈로스메르스홀름〉, 〈바다에서 온 여인〉, 〈헤다 가블레르〉, 〈대건축가 솔네스〉, 〈어린 에욜프〉, 〈욘 가브리엘 보르크만〉, 〈우리 죽어 깨어날 때〉 총 22작품이나, 2부로 나뉘어 있고 각기 다른 제목이 붙어 있는 〈황제와 갈릴리 사람〉을 두 편으로 보면 모두 23작품이다. 작품들은 발표 연도를 기준으로 수록하였다.
입센 희곡의 완역
역자는 2007년부터 입센 작품에 대한 번역을 시작했다. 전집이 출간된 올해가 번역을 시작한 지 15년째 되는 해이다. 저자는 입센의 작품을 번역하면서 노르웨이어를 공부하였다. 입센의 작품을 읽기 위해 노르웨이어를 배운 제임스 조이스, 토마스 만, 라이너 마리아 릴케, 슈테판 게오르게처럼…. 저자는 영어와 독일어에 능통하여 〈모던 연구의 초석, 헨리크 입센〉을 집필할 때 영어와 독일어로 된 입센의 작품을 참조하였다. 그러나 입센의 작품을 원어로 읽고 싶어 노르웨이어 공부를 시작, 마침내 노르웨이에서 구입해 온 입센의 오리지널 작품을 번역하기에 이른다. 시중에 나와 있는 여타 입센 번역 작품과 달리 이 전집은 노르웨이어로 된 입센의 오리지널 작품을 번역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입센과 역자의 인연은 200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저자가 한국연극학회 회장일 때 베를린에서 열린 입센 서거 100주년 국제학술대회에 초청을 받아 간 적이 있다. 27개국의 학자가 참가하여 입센의 작품을 오페라, 뮤지컬 등으로 바꿔서 올리는 자국의 사례들을 발표했는데, 저자는 이런 광경을 보고서 한국으로 돌아와 입센에 대한 책을 쓰기로 마음먹게 되었다. 그래서 쓴 책이 〈모던 연구의 초석, 헨리크 입센〉(2010, 연극과인간)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 노르웨이를 몇 차례 다녀오기까지 했다. 그 후 입센의 〈헤다 가블레르〉, 〈사회의 기둥들〉, 〈유령〉, 〈왕위 주장자들〉을 번역하여 무대에 올리고 드라마투르그로도 참여하면서 입센 전문가의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입센에 대한 생각
베를린 연극제에는 매년 100편 정도의 작품이 나오고 이를 7명의 심사위원이 선정한다. 요즘도 입센 작품이 많이 나오고 선정도 된다. 연전 역자가 뉴욕에 갔을 때 오프오프에서 〈인형의 집2〉라는 작품을 공연하고 있었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에서도 2019년 LG아트센터에서 공연되었다. 집을 나간 노라가 15년 후에 돌아오는 것을 상정한 작품으로, 외국에서는 그만큼 입센을 중시하고 사랑한다. 물론 2500년 동안 희곡을 써온 나라들과 100년밖에 안 되는 나라를 비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리가 모던으로 오는데 반드시 거쳐야 할 산이 입센이라는 것이 역자의 생각이다.
또 역자는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전집은 여럿 나와 있는데 입센 역시 우리가 꼭 알아야 되는 극작가라는 생각으로 한국어 번역 전집을 내기로 결심하였다고 한다. 역자의 헌신으로 한국의 극작가들, 그리고 극작가 지망생들이 입센의 드라마에서 배우는 바가 있기를, 또 그의 알려지지 않은 여러 작품들이 무대화됨으로써 한국 무대의 레퍼토리가 다양해지기를 역자는 소망한다.
detalle info
- Reserva
- No existe
- Mi carpeta
- Primera solicit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