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의 장단 = Korean traditional Jangdan. 3
한국의 장단 = Korean traditional Jangdan. 3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31684094 93670 : \28000
- DDC
- 781.7519-21
- 청구기호
- 78A.1 김813ㅎ 3
- 저자명
- 김청만 , 1946-
- 서명/저자
- 한국의 장단 = Korean traditional Jangdan. 3 / 김청만 [외]편저
- 발행사항
- 서울 : 은하, 2022
- 형태사항
- 284 p : 삽화, 악보 ; 30 cm
- 주기사항
- 2024-1학기 강의지원자료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지금까지 연주공연과 생활 속에서 얻은 느낌들, 그리고 연주기법들을 기록한 장단 자료집 겸 해설집이다. 각 판소리 장단별 소리북 장단(진양,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을 수정 및 추가하였고 또한 장구장단(자진모리, 휘모리, 타령, 자진육자백이)을 수정 및 추가하여 수록하였다. 특히 서양의 오선지음표로 표기할 수 없었던 우리의 가락 장단과 구음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북의 형상으로 삼선보와 음표를 만들었다. 이 음표는 왼손과 오른손을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어느 방법으로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창안해냈다.
- 일반주제명
- 국악기[國樂器]
- 일반주제명
- 장구(악기)[杖鼓]
- 일반주제명
- 장단(박자)[長短]
- 기타저자
- 김규형
- 기타저자
- 조희춘
- 기타저자
- 한승석 , 1968-
- 기타서명
- Korean traditional Jangdan
- 가격
- \25200
- Control Number
- sacl:134759
- 책소개
-
[한국의 장단Ⅲ]는 지금까지 연주공연과 생활 속에서 얻은 느낌들, 그리고 연주기법들을 기록한 장단 자료집 겸 해설집이다. 1년에 100여 회의 연주회와 국악 녹음을 하면서 쌓아온 현장의 소리가 그대로 옮겨진 노력의 결과물인 동시에 쇠가죽과 북채에 스며든 땀방울의 성과물이기도 하다. 우리의 미래의 주역들이 조금 더 쉽게 편하게, 그리고 체계적인 국악 공부를 할 수 있는 지침서가 있었으면 하는 작은 바람으로 시작해서 준비하였다.
[한국의 장단Ⅲ]은 [한국의 장단Ⅰ], [한국의 장단Ⅱ]에서와 마찬가지로 판소리 고법, 장구 장단, 경기도 당굿 장단 등 민속악의 국악 장단을 총망라한 자료집이다. [한국의 장단Ⅱ] 출간 이후 내용의 보완과 수정을 하여 [한국의 장단Ⅲ]을 출간하게 되었다. 각 판소리 장단별 소리북 장단(진양,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을 수정 및 추가하였고 또한 장구장단(자진모리, 휘모리, 타령, 자진육자백이)을 수정 및 추가하여 수록하였다. 특히 이 책에는 서양의 오선지음표로 표기할 수 없었던 우리의 가락 장단과 구음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북의 형상으로 삼선보와 음표를 만들었다. 이 음표는 왼손과 오른손을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어느 방법으로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창안해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