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라이프 트렌드 2023 : 과시적 비소비 = Life trend : conspicuous non-consumption
라이프 트렌드 2023 : 과시적 비소비 = Life trend : conspicuous non-consumption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0519466 13320 : \18000
DDC  
303.4-21
청구기호  
303.49 김66ㄹ 2023
저자명  
김용섭 지음
서명/저자  
라이프 트렌드 2023 : 과시적 비소비 = Life trend : conspicuous non-consumption / 김용섭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부키, 2022
형태사항  
375 p : 삽화, 도표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초록/해제  
요약: 2003년 방영된 〈만 원의 행복〉은 단돈 만 원으로 하루를 사는 연예인들의 짠 내 나는 모습을 관찰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자체도 인기가 높았지만 이 프로그램을 따라 시청자들도 일상에서 절약을 실천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약 20년이 지난 2022년 현재, 하루에 만 원은커녕 단 1원도 쓰지 않는 ‘무지출 챌린지’가 2030세대를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다. 외식은 절대 하지 않고 직접 싼 도시락과 냉장고 속 식재료만으로 삼시 세끼를 해결하고, 걷거나 자전거로 출퇴근한다. 커피나 음료도 집에서 챙겨 다닌다. 이런 무지출 일상은 하루 이틀이나 한두 주까지 이어진다. 이렇게 노력한 무지출 기간과 내역(가계부)을 SNS에 인증하며 ‘0원의 행복’을 실천한다. 욜로, 플렉스, 오픈 런, 호캉스 등 지금까지 대중의 욕망은 ‘과시적 소비’를 향했다. 그런데 2022년부터 무지출 챌린지, 투자 감소와 저축 증가, 중고 시장 확대, 소식 먹방 출현 등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고 이제 ‘과시적 비소비’가 2023년을 주도할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소비 욕망과 라이프스타일은 왜, 어떻게 바뀌고 있을까? 딱딱한 지표와 복잡한 통계를 나열하는 대신 일상 속 사례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내년의 트렌드를 소개하는 《라이프 트렌드》 시리즈는 2013년부터 시작된 이래 2022년까지 꾸준하게 소비 주체와 성향의 변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의 성장, 산업 구조와 조직 문화의 변화, 취향 소비와 경험 공유, 전방위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후 변화와 경제 위기 등의 이슈를 주목해 왔다. 이 주제들은 해를 거듭할수록 빠르고 폭넓게 진화해 메가 트렌드가 되었다. 과시적 소비의 전성기에 아이러니하게도 비소비를 선택한 사람들이 만들어 갈 2023년의 대한민국을 한발 앞서 만나 보자.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문화, 비즈니스와 마케팅에 영향을 미칠 트렌드에 대한 남다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일반주제명  
사회 변화[社會變化]
일반주제명  
생활사[生活史]
키워드  
라이프 트렌드
기타서명  
과시적 비소비
기타서명  
Life trend : conspicuous non-consumption
기타서명  
라이프 트렌드 이천이십삼
가격  
\16200
Control Number  
sacl:132103

MARC

 008230104s2022        ulkad        b        000a    kor
■00520230103053809
■007ta
■020    ▼a9788960519466▼g13320▼c\18000
■040    ▼d211037
■082    ▼a303.4▼221
■090    ▼a303.49▼b김66ㄹ▼c2023
■1001  ▼a김용섭▼e지음
■24510▼a라이프  트렌드  2023▼b과시적  비소비▼xLife  trend  :  conspicuous  non-consumption▼d김용섭  지음
■260    ▼a서울▼b부키▼c2022
■300    ▼a375  p▼b삽화,  도표▼c23  cm
■504    ▼a참고문헌  수록
■520    ▼a2003년  방영된  〈만  원의  행복〉은  단돈  만  원으로  하루를  사는  연예인들의  짠  내  나는  모습을  관찰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자체도  인기가  높았지만  이  프로그램을  따라  시청자들도  일상에서  절약을  실천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약  20년이  지난  2022년  현재,  하루에  만  원은커녕  단  1원도  쓰지  않는  ‘무지출  챌린지’가  2030세대를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다.  외식은  절대  하지  않고  직접  싼  도시락과  냉장고  속  식재료만으로  삼시  세끼를  해결하고,  걷거나  자전거로  출퇴근한다.  커피나  음료도  집에서  챙겨  다닌다.  이런  무지출  일상은  하루  이틀이나  한두  주까지  이어진다.  이렇게  노력한  무지출  기간과  내역(가계부)을  SNS에  인증하며  ‘0원의  행복’을  실천한다.  욜로,  플렉스,  오픈  런,  호캉스  등  지금까지  대중의  욕망은  ‘과시적  소비’를  향했다.  그런데  2022년부터  무지출  챌린지,  투자  감소와  저축  증가,  중고  시장  확대,  소식  먹방  출현  등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고  이제  ‘과시적  비소비’가  2023년을  주도할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소비  욕망과  라이프스타일은  왜,  어떻게  바뀌고  있을까?  딱딱한  지표와  복잡한  통계를  나열하는  대신  일상  속  사례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내년의  트렌드를  소개하는  《라이프  트렌드》  시리즈는  2013년부터  시작된  이래  2022년까지  꾸준하게  소비  주체와  성향의  변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의  성장,  산업  구조와  조직  문화의  변화,  취향  소비와  경험  공유,  전방위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후  변화와  경제  위기  등의  이슈를  주목해  왔다.  이  주제들은  해를  거듭할수록  빠르고  폭넓게  진화해  메가  트렌드가  되었다.  과시적  소비의  전성기에  아이러니하게도  비소비를  선택한  사람들이  만들어  갈  2023년의  대한민국을  한발  앞서  만나  보자.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문화,  비즈니스와  마케팅에  영향을  미칠  트렌드에  대한  남다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650  8▼a사회  변화[社會變化]
■650  8▼a생활사[生活史]
■653    ▼a라이프▼a트렌드
■740  2▼a과시적  비소비
■740  2▼aLife  trend  :  conspicuous  non-consumption
■9400  ▼a라이프  트렌드  이천이십삼
■9500  ▼b\162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ไม่อยู่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
    • ขอดูแรก
    วัสดุ
    Reg No. Call No. ตำแหน่งที่ตั้ง สถานะ ยืมข้อมูล
    00084446 303.49 김66ㄹ 2023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จองมีอยู่ในหนังสือยืม เพื่อให้การสำรองที่นั่งคลิกที่ปุ่มจองห้องพัก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