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처음인 양 : 심언주 시집
처음인 양 : 심언주 시집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54694698 03810 : \10000
DDC  
895.715-21
청구기호  
8A1.608 문911ㅂ 182
저자명  
심언주 지음
서명/저자  
처음인 양 : 심언주 시집 / 심언주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문학동네, 2022
형태사항  
124 p ; 23 cm
초록/해제  
요약: 문학동네시인선 182번으로 심언주 시인의 세번째 시집을 펴낸다. 2004년 『현대시학』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한 심언주는 첫 시집 『4월아, 미안하다』(민음사, 2007)에서 세밀한 감수성과 언어 의식이 돋보이는 시세계를 보여주었고, 두번째 시집 『비는 염소를 몰고 올 수 있을까』(민음사, 2015)를 통해 “시적인 소통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다시 가다듬게 한다”(시인 김언)는 평을 받은 바 있다. 『비는 염소를 몰고 올 수 있을까』 이후 7년 만에 펴내는 이번 시집에는 나비와 꽃, 식빵과 우유, 치과와 동호대교처럼 일상적인 배경과 사물들이 등장한다. 특징적인 점은 이것들을 심상한 일상의 풍경으로 관망하지 않고 오래도록 응시하며 그 대상의 이름을 여러 번 곱씹음으로써 일상 속에 깃든 불안이나 위험, 슬픔 같은 감정들을 발견해낸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인은 어둠을 응시하면서도 우울로 빠져들지 않는다. “입술이 굳어가고/ 턱이 굳어”가는 상황에서도 “큰 소리로 말”(「헌터」)하려 노력하고, “아맘니, 아맘니” 중얼거리며 “검게 칠해도 빈틈을 비집고”(「다음 도착지는 암암리입니다」) 뜨는 별빛을 찾아낸다. 특히 시인은 언어유희를 통해 무겁지 않게 상황을 풀어내는데, 같은 단어를 반복해 사용하거나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풍성한 말의 리듬을 만들어낸다. “멸치는 사투를 벌이고/ 나는 화투를 친다”(「사투와 화투」), “하양에게선 히잉 히잉 말 울음소리가 들린다”(「마스크」), “오요 우유 모음을 모으며”(「과거도 현재도 주성분이 우유입니다」), “수북하던 수국이 졌다”(「수국 아파트」) 같은 시구들을 읽다보면 우리는 눈으로 읽는 데 그치지 않고 자연히 입으로 중얼거리게 될 것이다.
키워드  
처음인양 처음 한국문학 한국시
기타서명  
심언주 시집
가격  
\9000
Control Number  
sacl:131718

MARC

 008221129s2022        ggk                      000ap  kor
■00520221129034616
■007ta
■020    ▼a9788954694698▼g03810▼c\10000
■040    ▼d211037
■082    ▼a895.715▼221
■090    ▼a8A1.608▼b문911ㅂ▼c182
■1001  ▼a심언주▼e지음
■24510▼a처음인  양▼b심언주  시집▼d심언주  지음
■260    ▼a파주▼b문학동네▼c2022
■300    ▼a124  p▼c23  cm
■520    ▼a문학동네시인선  182번으로  심언주  시인의  세번째  시집을  펴낸다.  2004년  『현대시학』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한  심언주는  첫  시집  『4월아,  미안하다』(민음사,  2007)에서  세밀한  감수성과  언어  의식이  돋보이는  시세계를  보여주었고,  두번째  시집  『비는  염소를  몰고  올  수  있을까』(민음사,  2015)를  통해  “시적인  소통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다시  가다듬게  한다”(시인  김언)는  평을  받은  바  있다.  『비는  염소를  몰고  올  수  있을까』  이후  7년  만에  펴내는  이번  시집에는  나비와  꽃,  식빵과  우유,  치과와  동호대교처럼  일상적인  배경과  사물들이  등장한다.  특징적인  점은  이것들을  심상한  일상의  풍경으로  관망하지  않고  오래도록  응시하며  그  대상의  이름을  여러  번  곱씹음으로써  일상  속에  깃든  불안이나  위험,  슬픔  같은  감정들을  발견해낸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인은  어둠을  응시하면서도  우울로  빠져들지  않는다.  “입술이  굳어가고/  턱이  굳어”가는  상황에서도  “큰  소리로  말”(「헌터」)하려  노력하고,  “아맘니,  아맘니”  중얼거리며  “검게  칠해도  빈틈을  비집고”(「다음  도착지는  암암리입니다」)  뜨는  별빛을  찾아낸다.  특히  시인은  언어유희를  통해  무겁지  않게  상황을  풀어내는데,  같은  단어를  반복해  사용하거나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풍성한  말의  리듬을  만들어낸다.  “멸치는  사투를  벌이고/  나는  화투를  친다”(「사투와  화투」),  “하양에게선  히잉  히잉  말  울음소리가  들린다”(「마스크」),  “오요  우유  모음을  모으며”(「과거도  현재도  주성분이  우유입니다」),  “수북하던  수국이  졌다”(「수국  아파트」)  같은  시구들을  읽다보면  우리는  눈으로  읽는  데  그치지  않고  자연히  입으로  중얼거리게  될  것이다.
■653    ▼a처음인양▼a처음▼a한국문학▼a한국시
■740  2▼a심언주  시집
■9500  ▼b\9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詳細情報

    • 予約
    • ない存在
    • 私のフォルダ
    • 最初の要求
    資料
    登録番号 請求記号 場所 ステータス 情報を貸す
    00084268 8A1.608 문911ㅂ 182 상상의 숲(문학)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ご予約は、借入帳でご利用いただけます。予約をするには、予約ボタンをクリックしてください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