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테아이테토스 : 지식에 관하여
테아이테토스 : 지식에 관하여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91290778 93100 : \10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grc
- DDC
- 184-21
- 청구기호
- 184 플23183ㅍ 3
- 저자명
- 플라톤 지음, BC 427-BC 347
- 서명/저자
- 테아이테토스 : 지식에 관하여 / 플라톤 지음 ; 천병희 옮김
- 원표제
- [원표제]Theaitetos
- 발행사항
- 파주 : 숲, 2017
- 형태사항
- 190 p ; 21 cm
- 총서명
- 원전으로 읽는 순수 고전 세계
- 총서명
- 푸른시원
- 총서명
- 원전으로 읽는 Platon.Theaitetos
- 주기사항
- 원저자명: Platon
- 서지주기
- 주요 연대표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사형당하기 직전의 노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당시 10대 소년이던 기하학자 테아이테토스와 ‘지식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놓고 토론을 벌인다. ‘어떤 것에 대해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 토론에서는 플라톤의 인식론이 다뤄진다. 테아이테토스는 지식에 대해 이런 대답을 한다. “누가 무엇을 감각적으로 지각할 때 그것을 아는 것 같습니다. 지금 내가 볼 수 있는 한, 지식은 다름 아니라 감각적 지각입니다.” 헤라클레이토스나 프로타고라스와 같은 상대주의자의 견해가 엿보이는 대답이다.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말한 프로타고라스는 사람이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고 냄새 맡을 때 무언가를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소크라테스는 테아이테토스에게 이렇게 응수한다. “같은 바람이 부는데도 우리 가운데 누구는 차다고 느끼고 누구는 차지 않다고 느낄 수 있지 않을까.” 그러면서 소크라테스는 프로타고라스의 주장을 상세하게 비판하고 감각 경험에서 얻어지는 지각은 언제나 변하는 것이고 주관에 따라 다른 내용을 가질 수 있으므로 결코 지식이 될 수 없다고 설명한다.
- 언어주기
- 고대 그리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일반주제명
- 그리스 철학[--哲學]
- 일반주제명
- 고대 철학[古代哲學]
- 기타저자
- Platon 지음, BC 427-BC 347
- 기타저자
- 천병희 옮김, 1939-
- 기타서명
- 지식에 관하여
- 가격
- \9000
- Control Number
- sacl:131496
detalle info
- Reserva
- No existe
- Mi carpeta
- Primera solicit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