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 : 이주혜 소설집
내용보기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 : 이주혜 소설집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36438814 03810 : \15000
DDC  
895.735-21
청구기호  
8A3.6 이7794ㄱ
저자명  
이주혜 지음, 1971-
서명/저자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 : 이주혜 소설집 / 이주혜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창비, 2022
형태사항  
304 p ; 19 cm
내용주기  
오늘의 할 일-- 아무도 없는 집-- 여름 감기-- 우리가 파주에 가면 꼭 날이 흐리지-- 물속을 걷는 사람들-- 꽃을 그려요-- 봄의 왈츠-- 그 시계는 밤새 한번 윙크한다
초록/해제  
요약: 이 책의 설명 “그런 시간을 통과해 우리는 지금의 우리가 되었다”불화와 분투 속에서도결코 부서지지 않을 ‘우리’를 발견하는강인하고 눈부신 이야기2016년 창비신인소설상을 받으며 작품활동을 시작해 첫 장편소설 『자두』(창비 2020)에서 가부장제와 마찰하는 여성의 현실을 예리하게 묘파하여 평단과 독자의 주목을 받은 소설가 이주혜의 첫 소설집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가 출간되었다. 문지문학상 후보작으로 선정된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를 포함해 6년간 써온 아홉편의 단편을 엮은 이 소설집은 여성이 한국사회 가족 안에서 ‘딸’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겪을 수밖에 없는 혼란과 분열, 분노와 절망을 진솔하게 꺼내놓는 동시에 그렇게 욱신거리는 삶만이 성취할 수 있는 위로와 연대의 풍경을 담아낸다. 아울러 대부분의 작품이 아직 한국문학장에서 충분히 조명되지 못한 중년여성의 삶을 심도 있게 다룬다는 점에서 이번 소설집은 한국문학의 여성서사를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이주혜는 『자두』에 이어 또다시 “독자를 단번에 타인의 삶 한가운데로 데려간다.”(추천사, 김혜진) 일상적 폭력과 편견으로 분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로 인해 필연적으로 비틀리고 어긋날 수밖에 없었던 삶의 면면이 핍진하고 강렬하게 묘사되는 가운데, 우리는 어느새 활자로 된 이야기를 읽는 게 아니라 열렬하고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목소리가 단지 자신의 아픔을 알리기 위한 신음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같은 아픔을 겪고 있는 다른 누군가와 연결되고자 하는 부름이라는 것도 깨닫게 된다.
기금정보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2021년 창작집 발간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발간되었음
일반주제명  
한국 단편 소설[韓國短篇小說]
키워드  
고양이 이름 한국문학 한국소설
기타서명  
이주혜 소설집
기타서명  
아무도 없는 집
기타서명  
여름 감기
기타서명  
우리가 파주에 가면 꼭 날이 흐리지
기타서명  
물속을 걷는 사람들
기타서명  
꽃을 그려요
기타서명  
봄의 왈츠
기타서명  
그 시계는 밤새 한번 윙크한다
가격  
\13500
Control Number  
sacl:130549
책소개  
“그런 시간을 통과해 우리는 지금의 우리가 되었다”

불화와 분투 속에서도
결코 부서지지 않을 ‘우리’를 발견하는
강인하고 눈부신 이야기

2016년 창비신인소설상을 받으며 작품활동을 시작해 첫 장편소설 『자두』(창비 2020)에서 가부장제와 마찰하는 여성의 현실을 예리하게 묘파하여 평단과 독자의 주목을 받은 소설가 이주혜의 첫 소설집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가 출간되었다. 문지문학상 후보작으로 선정된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를 포함해 6년간 써온 아홉편의 단편을 엮은 이 소설집은 여성이 한국사회 가족 안에서 ‘딸’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겪을 수밖에 없는 혼란과 분열, 분노와 절망을 진솔하게 꺼내놓는 동시에 그렇게 욱신거리는 삶만이 성취할 수 있는 위로와 연대의 풍경을 담아낸다. 아울러 대부분의 작품이 아직 한국문학장에서 충분히 조명되지 못한 중년여성의 삶을 심도 있게 다룬다는 점에서 이번 소설집은 한국문학의 여성서사를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주혜는 『자두』에 이어 또다시 “독자를 단번에 타인의 삶 한가운데로 데려간다.”(추천사, 김혜진) 일상적 폭력과 편견으로 분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로 인해 필연적으로 비틀리고 어긋날 수밖에 없었던 삶의 면면이 핍진하고 강렬하게 묘사되는 가운데, 우리는 어느새 활자로 된 이야기를 읽는 게 아니라 열렬하고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목소리가 단지 자신의 아픔을 알리기 위한 신음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같은 아픔을 겪고 있는 다른 누군가와 연결되고자 하는 부름이라는 것도 깨닫게 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083860 8A3.6 이7794ㄱ 상상의 숲(문학)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