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거대도시 서울 철도 :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 환승법
거대도시 서울 철도 :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 환승법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9356330 03300 : \27000
- DDC
- 385-21
- 청구기호
- 385 전94ㄱ
- 저자명
- 전현우 지음, 1986-
- 서명/저자
- 거대도시 서울 철도 :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 환승법 / 전현우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워크룸프레스, 2020
- 형태사항
- 552 p : 삽화, 지도, 도표 ; 24 cm
- 주기사항
- 부록: 1, 용어 설명. 2, 거대도시 철도개발지수 개별지표 명세표. 3, 경부고속선 확대 이후의 가상 시각표. 외
- 주기사항
- 사철 누드제본 도서임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534-544)과 찾아보기(p. 545-552) 수록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서울이라는 거대도시를 둘러싸고 전국의 도시로 뻗어 있는 철도를 '백과전서'처럼 다룬 책이다.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살아 있는 유기체로서 철도를 역사적, 공학적, 제도적, 정책적,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질적'으로 다룬다. 일반 대중에게 철도는 그저 대중 교통수단 가운데 하나일 뿐, 특별한 관심거리가 아니다. 관심을 가지는 경우는 열차가 지연되거나 사고가 날 때, 요금이 오를 때, 혹은 자신이 소유한 부동산 가치를 올려줄 때 정도다. 그러나 이 책은 교통의 세계에서, 나아가 인류에게 철도가 가지는 의미가 그 이상임을 밝힌다.
- 기타서명
-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 환승법
- 가격
- \24300
- Control Number
- sacl:125815
- 책소개
-
전 세계 50개 거대도시 선발전, 그리고 ‘철도개발지수’
『거대도시 서울 철도』는 전 세계 거대도시 50개의 철도를 하나하나 분석하고 그에 점수를 매겨 순위를 부여한 1장에서부터 이미 드러난다. 런던, 도쿄, 파리 등 전통적인 철도 강국들의 거대도시 철도는 물론, 자동차와의 싸움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미국 거대도시의 철도, 막대한 투자로 신흥 철도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의 거대도시 철도, 몰려드는 막대한 인구가 가하는 압력을 묵묵히 지탱하고 있는 인도의 거대도시 철도, 그 밖에 중남미ㆍ아프리카ㆍ동남아시아를 망라한 지역에서 세계 도시 인구의 분포와 그 중요도를 감안해 대표 도시 50개를 선발하고, 그 도시들의 철도를 분석한다.
한국에서는 서울과 함께, 인구 1000만 명이라는 기준치보다는 인구가 적지만 한국에서 발간되는 책임을 고려해 부산이 포함되었다. 결과부터 밝히면 서울은 총점 41.2점, 전체 순위 22위였으며, 부산은 30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거대도시 가운데 부산이 생각보다 순위가 높다고 여길 독자가 있겠지만 39위(리우) 이후의 도시들은 철도 투자가 극히 미약한 ‘정체 그룹’이며 44위(카라치) 이하는 거대도시의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그에 걸맞은 철도 투자는 사실상 포기한 도시들이라는 점에서 꼭 그렇지만은 않다. 지난 수십 년간 철도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진 서울조차도 철도 ‘추격 그룹’의 중하위에 머무른다는 사실은, 전 세계 인구 1000만 이상의 거대도시들 가운데서도 모든 면에서 수준 높고 정교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가 얼마나 희귀한지, 나아가 미래의 철도 투자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한 밑그림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1부 ‘교통의 세계와 철도’는 앞으로 이 책을 읽어 나가기 위해, 즉 철도라는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존재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지식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