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교류와 소통의 남북 문화예술 그리고 춤
교류와 소통의 남북 문화예술 그리고 춤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5030230 93680 : \15000
- DDC
- 793.3-21
- 청구기호
- 793.3 댄58ㄱ
- 단체저자
- 댄스&미디어연구소 편
- 서명/저자
- 교류와 소통의 남북 문화예술 그리고 춤 / 댄스&미디어연구소 편
- 발행사항
- 대전 : 궁미디어, 2020
- 형태사항
- 307 p : 삽화, 도표 ; 23 cm
- 주기사항
- 집필진: 김정수, 김채원, 김현정, 박은혜, 송정은, 신상미, 윤지현, 윤현경, 예동근, 이미숙, 이정민, 임수진, 전하윤, 하상우, 한경자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81-299)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북한학과 무용학 분야 연구자 15인이 ‘북한의 무용과 문화예술’이란 주제에 집중해서 내놓는 성과물이다. 북한의 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긴 하나 예술작품으로서의 무용에만 그 관심을 한정하지 않는다. 북한의 무용과 음악, 영화와 대집단체조, 대중문화, 나아가 예술제도와 교육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제언한다. 인접장르 예술인 음악과 영화, 대집단체조 등 북한의 동시대 문화예술작품으로 관심을 확장하고 있으며, 더 넓혀 대중문화, 예술교육과 예술가제도, 남북 문화예술 교류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 가격
- \13500
- Control Number
- sacl:124892
- 책소개
-
『교류와 소통의 남북 문화예술 그리고 춤』은, 북한학과 무용학 분야 연구자 15인이 ‘북한의 무용과 문화예술’이란 주제에 집중해서 내놓는 성과물이다. 북한의 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긴 하나 예술작품으로서의 무용에만 그 관심을 한정하지 않는다. 북한의 무용과 음악, 영화와 대집단체조, 대중문화, 나아가 예술제도와 교육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제언한다. 인접장르 예술인 음악과 영화, 대집단체조 등 북한의 동시대 문화예술작품으로 관심을 확장하고 있으며, 더 넓혀 대중문화, 예술교육과 예술가제도, 남북 문화예술 교류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MARC
008210415s2020 tjkad b MB 001 kor■00520210415034022
■007ta
■020 ▼a9791165030230▼g93680▼c\15000
■040 ▼d211037
■082 ▼a793.3▼221
■090 ▼a793.3▼b댄58ㄱ
■110 ▼a댄스&미디어연구소▼e편
■24510▼a교류와 소통의 남북 문화예술 그리고 춤▼d댄스&미디어연구소 편
■260 ▼a대전▼b궁미디어▼c2020
■300 ▼a307 p▼b삽화, 도표▼c23 cm
■500 ▼a집필진: 김정수, 김채원, 김현정, 박은혜, 송정은, 신상미, 윤지현, 윤현경, 예동근, 이미숙, 이정민, 임수진, 전하윤, 하상우, 한경자
■504 ▼a참고문헌(p. 281-299)과 색인수록
■520 ▼a북한학과 무용학 분야 연구자 15인이 ‘북한의 무용과 문화예술’이란 주제에 집중해서 내놓는 성과물이다. 북한의 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긴 하나 예술작품으로서의 무용에만 그 관심을 한정하지 않는다. 북한의 무용과 음악, 영화와 대집단체조, 대중문화, 나아가 예술제도와 교육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제언한다. 인접장르 예술인 음악과 영화, 대집단체조 등 북한의 동시대 문화예술작품으로 관심을 확장하고 있으며, 더 넓혀 대중문화, 예술교육과 예술가제도, 남북 문화예술 교류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653 ▼a춤▼a남북문화교류▼a한국무용▼a무용교육▼a문화예술▼a북한무용
■9500 ▼b\1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