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시창작론
시창작론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20038303 93810 : \10600
DDC  
808.1-21
청구기호  
808.1 김59ㅅ
저자명  
김신정 지음
서명/저자  
시창작론 / 김신정 [외]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원, 2021
형태사항  
300 p ; 21 cm
초록/해제  
요약: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시적 발견과 착상에서 퇴고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다. 제1장 ‘시의 고유함’, 제2장 ‘언어와 착상’, 제3장 ‘시와 상상력’, 제4장 ‘구조와 형태’, 제5장 ‘퇴고와 재배치’를 통해서 시 창작의 구체적인 과정과 방법론을 이해할 수 있다. 제2부에서는 시론의 주요 개념이자 작시법의 기본 원리를 다룬다. 제6장 ‘이미지’, 제7장 ‘비유’, 제8장 ‘시와 이야기’, 제9장 ‘시와 시공간’이 여기에 해당된다. 각 장에서 소개한 한국 현대시의 주요 작품들을 읽고 감상하면서 각각의 주요 개념과 원리들이 어떤 시적 효과를 빚어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는 시 쓰기 과정에서 필요한 사유의 문제를 다룬다. 제10장 ‘문학적 전통과 창조성’, 제11장 ‘해석과 의도’, 제12장 ‘시와 경계적 사유’를 통해서 시적 창조를 위한 사유의 지점과 시 쓰기의 실천적 국면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제4부는 시를 쓰는 ‘자아’의 문제를 다룬다. 제13장 ‘자아의 연금술’, 제14장 ‘시와 정체성’, 제15장 ‘무엇이 될 것인가’에서, 시 쓰는 자아의 문제, ‘나’에 대한 시 쓰기와 정체성, 시적인 글쓰기와 가능성에 대해 질문하고 탐색한다.
키워드  
시창작 시작법 운율학 시창작방법 글쓰기 작문법
기타저자  
손택수 [외]지음
기타저자  
신동옥 [외]지음
기타저자  
이근화 [외]지음
기타저자  
하재연 [외]지음
가격  
\9540
Control Number  
sacl:124760
책소개  
이 책은 시작(詩作)을 위한 안내서이다.

시인의 꿈을 꾸는 사람들, 시쓰기를 시작했지만 어떻게 길을 이어갈지 망설이는 사람들, 또는 시의 세계에 이제 막 첫걸음을 내딛은 사람들에게 시적 사유의 길을 열고 시 창작의 과정과 실제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시를 쓰기 위해서는 과연 시적인 것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생각을 구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여러 시인들의 작품을 두루 읽고 안목을 키우는 과정도 중요하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시적 발견과 착상에서 퇴고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다. 제1장 ‘시의 고유함’, 제2장 ‘언어와 착상’, 제3장 ‘시와 상상력’, 제4장 ‘구조와 형태’, 제5장 ‘퇴고와 재배치’를 통해서 시 창작의 구체적인 과정과 방법론을 이해할 수 있다. 제2부에서는 시론의 주요 개념이자 작시법의 기본 원리를 다룬다. 제6장 ‘이미지’, 제7장 ‘비유’, 제8장 ‘시와 이야기’, 제9장 ‘시와 시공간’이 여기에 해당된다.

MARC

 008210404s2021        ulk                      000      kor
■00520210404062306
■007ta
■020    ▼a9788920038303▼g93810▼c\10600
■040    ▼d211037
■082    ▼a808.1▼221
■090    ▼a808.1▼b김59ㅅ
■1001  ▼a김신정▼e지음
■24510▼a시창작론▼d김신정  [외]지음
■260    ▼a서울▼b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원▼c2021
■300    ▼a300  p▼c21  cm
■520    ▼a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시적  발견과  착상에서  퇴고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다.  제1장  ‘시의  고유함’,  제2장  ‘언어와  착상’,  제3장  ‘시와  상상력’,  제4장  ‘구조와  형태’,  제5장  ‘퇴고와  재배치’를  통해서  시  창작의  구체적인  과정과  방법론을  이해할  수  있다.  제2부에서는  시론의  주요  개념이자  작시법의  기본  원리를  다룬다.  제6장  ‘이미지’,  제7장  ‘비유’,  제8장  ‘시와  이야기’,  제9장  ‘시와  시공간’이  여기에  해당된다.  각  장에서  소개한  한국  현대시의  주요  작품들을  읽고  감상하면서  각각의  주요  개념과  원리들이  어떤  시적  효과를  빚어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는  시  쓰기  과정에서  필요한  사유의  문제를  다룬다.  제10장  ‘문학적  전통과  창조성’,  제11장  ‘해석과  의도’,  제12장  ‘시와  경계적  사유’를  통해서  시적  창조를  위한  사유의  지점과  시  쓰기의  실천적  국면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제4부는  시를  쓰는  ‘자아’의  문제를  다룬다.  제13장  ‘자아의  연금술’,  제14장  ‘시와  정체성’,  제15장  ‘무엇이  될  것인가’에서,  시  쓰는  자아의  문제,  ‘나’에  대한  시  쓰기와  정체성,  시적인  글쓰기와  가능성에  대해  질문하고  탐색한다.
■653    ▼a시창작▼a시작법▼a운율학▼a시창작방법▼a글쓰기▼a작문법
■7001  ▼a손택수▼e[외]지음
■7001  ▼a신동옥▼e[외]지음
■7001  ▼a이근화▼e[외]지음
■7001  ▼a하재연▼e[외]지음
■9500  ▼b\954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080863 808.1 김59ㅅ 상상의 숲(문학) 대출중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5-09-08 예약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