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이것은 시를 위한 강의가 아니다 : 찰스 엘리엇 노튼 강의 1952-1953
이것은 시를 위한 강의가 아니다 : 찰스 엘리엇 노튼 강의 1952-1953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37429231 04800 : \8800
- ISBN
- 9788937429002(세트)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818.5-21
- 청구기호
- 815 커39ㅇ
- 저자명
- 커밍스, E. E. 지음
- 서명/저자
- 이것은 시를 위한 강의가 아니다 : 찰스 엘리엇 노튼 강의 1952-1953 / E. E. 커밍스 지음 ; 김유곤 옮김
- 원표제
- [원표제]I : six nonlectures
- 발행사항
- 서울 : 민음사, 2017
- 형태사항
- 184 p ; 19 cm
- 총서명
- 쏜살문고
- 주기사항
- 이 책은 저자가 모교 하버드 대학교의 초청을 받아 객원 교수로 활동하면서 개최한 여섯 차례의 대중 강연을 책으로 엮은 것임
- 내용주기
- 나 & 부모님(I and my parents)-- 나 & 그분들의 아들(I and their son)-- 나 & 자아 발견(I and self-discovery-- 나 & 당신 & 있음 (I and you and is)-- 나 & 현재 & 그 남자(I and now and him)-- 나 & 있음 & 산타클로스(I and am and Santa Claus)
- 초록/해제
- 요약: 쏜살 문고 시리즈. 미국의 현대 시인이자 극작가, 산문가이기도 한 E. E. 커밍스가 모교 하버드 대학교의 초청을 받아 객원 교수로 활동하면서 개최한 여섯 차례의 대중 강연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그는 20세기 초 물질문명의 눈부신 발전과 거대하고 참혹한 전쟁, 대량 학살이 보여 준 인간성의 말살, 냉전 시대의 부조리 등을 전부 목도하면서, 이런 시대에 문학(문학가)과 예술(예술가)이 해낼 수 있는 일, 아니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 숙고했다. 그는 시대의 목격자인 데에 그치지 않고 기록자가 되길 바랐고, 더 나아가서는 현실을 바꿀 수 있는 혁신가가 되고자 했다. 커밍스가 한평생 추구해 온 예술, 어쩌면 세상을 향한 도전은 그의 시와 산문, 희곡과 호소를 통해 결실을 이뤘다. 마침내 커밍스의 만년에 이뤄진 강연 그리고 그것을 엮은 〈이것은 시를 위한 강의가 아니다〉에는 그 자신의 일생, 문학적 여정, 매 순간 고민했던 바와 궁극적 목표가 오롯이 담겨 있다. 잔혹한 시대에 시와 예술의 역할은 무엇인가? 커밍스는 “잘 알지 못한다.”라고 대답한다. 심지어 그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스스로의 작품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한다.”라고 일갈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강연으로써, 즉 그의 무지와 그것을 시인하는 놀라운 용기를 통해 한 가지 사실을 깨닫는다. 우리의 삶이 곧 한 편의 시라는 사실을, 그 ‘미지의 작품’을 진지하게 성찰할 때 개인적 성장과 세계의 변혁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 언어주기
-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기타저자
- 김유곤 옮김
- 기타서명
- 찰스 엘리엇 노튼 강의 1952-1953
- 기타서명
- 나 & 그분들의 아들(I and their son)
- 기타서명
- 나 & 자아 발견(I and self-discovery
- 기타서명
- 나 & 당신 & 있음 (I and you and is)
- 기타서명
- 나 & 현재 & 그 남자(I and now and him)
- 기타서명
- 나 & 있음 & 산타클로스(I and am and Santa Claus)
- 가격
- \7920
- Control Number
- sacl:124680
- 책소개
-
잔혹한 시대에 예술가는 무엇을 해낼 수 있는가? 미지의 자아를 찾아 끊임없이 새로 태어나고자 했던 E. E. 커밍스의 독보적 시학. 저라는 사람은 사랑이 신비 중의 신비라는 점 그리고 정말 중요한 것들은 잴 수 없다는 점을 자랑스럽게 또 겸허히 주장합니다. ‘예술가이자 남자이자 낙오자’인 저는 그저 세월에 따라 자라난 것이 아니라, 호기롭게 삶을 살아온 부단히 복잡한 존재입니다. 다시 말해, 저는 무감각하고 냉혹하며 약탈만을 일삼는 동물 이하의 존재가 아닐뿐더러, 불가사의하게 스스로 인식하고 생각하고 사유하는 자동 기계 인형도 아닙니다. 저는 자연스럽고 기적적으로 자라난 온전한 한 인간, 곧 무한한 감정을 지닌 한 개인입니다. 그리고 저의 유일한 행복은 제 자신을 넘어서는 것이며, 제가 겪는 고통은 모두 성장하기 위한 것입니다.―본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