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 Story of Korean art. 3 : 조선 - 그림과 글씨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 Story of Korean art. 3 : 조선 - 그림과 글씨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90620682 04600 : \32000
- ISBN
- 9788990620439(세트)
- DDC
- 709.519-21
- 청구기호
- 709.5 유95ㅇ 3
- 저자명
- 유홍준
- 서명/저자
-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 Story of Korean art / 유홍준 지음. 3 : 조선 - 그림과 글씨
- 발행사항
- 서울 : 눌와, 2013
- 형태사항
- 514 p : 삽화 ; 25 cm
- 주기사항
- 권말부록: 중국 회화사의 흐름 ; 중국 서예사의 흐름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494-505
- 초록/해제
- 요약: 한국미술사를 교양과 상식으로서 이해하려는 일반인과 미술사를 공부하는 학생을 위한 한국미술사 입문서. 영어로 말하면 'History' of Korean Art가 아니라 'Story' of Korean Art이다. 미술사적 편년체가 아니라 독서로서 한국미술의 흐름과 특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한 것이다. 즉, 책상에 앉아 밑줄 치면서 공부하면서가 아닌 '소파에 기대어 편히 독서'할 수 있도록 썼다. 3권 '조선 : 그림과 글씨'는 제1권 선사.삼국.발해, 2권 통일신라.고려에 이어 29장부터 시작한다. 조선시대 회화와 서예를 초기, 중기, 후기, 말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기존 미술사에서는 다소 미흡하게 다룬 궁중미술과 초상화에도 많은 비중을 두었다. 화가의 이름이 밝혀져 있지 않고 작가의 개성이 드러나지는 않지만 당대의 뛰어난 화원들이 제작한 조선시대 고유의 장르인 만큼 그 예술적 의의를 부각시킨 것이다.
- 기타서명
- 조선 - 그림과 글씨
- 기타서명
- Story of Korean art
- 가격
- \28800
- Control Number
- sacl:123767
- 책소개
-
유홍준의 세 번째 책, 교양 상식으로 읽는 한국미술사 입문서!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제3권《조선: 그림과 글씨》. 조선 서화로 엮어진 이번 책은 제1권, 2권에 이어 29장으로 시작한다. 조선시대의 회화를 초기, 중기, 후기, 말기로 나누어 살펴보고 근래 발굴된 개인 소장 명작과 잘 알려지지 않은 화가의 작품, 초상화에 많은 비중을 두고 서술되었다. 또한 서화가들의 삶과 예술을 독자들이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저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화사를 대중적 눈높이에 맞춰 풀어 쓰고 있다.
저자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수렴하여 조선시대 회화사를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다. 조선의 천재 화가 김홍도, 정선, 등 대표작가들과 임득명, 이유신, 남계우 등 알려지지 않았던 화가들의 성과도 소개하며 화첩의 원형대로 공개된 정선의 《연강임술첩》 등 개인 소장의 명작도 소개한다. 더불어 조선시대 글씨와 그림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상 할 수 있게끔 생생한 도판을 실고 있으며 본문에 언급된 그림은 가능한 모두 수록하여 540여 컷의 도판은 한국미술사의 특징과 흐름을 잘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MARC
008201222s2013 ulka b 000a kor■00520201222033639
■007ta
■020 ▼a9788990620682▼g04600▼c\32000
■0201 ▼a9788990620439(세트)
■040 ▼d211037
■082 ▼a709.519▼221
■090 ▼a709.5▼b유95ㅇ▼c3
■1001 ▼a유홍준
■24510▼a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xStory of Korean art▼d유홍준 지음▼n3▼p조선 - 그림과 글씨
■260 ▼a서울▼b눌와▼c2013
■300 ▼a514 p▼b삽화▼c25 cm
■500 ▼a권말부록: 중국 회화사의 흐름 ; 중국 서예사의 흐름
■504 ▼a참고문헌: p.494-505
■520 ▼a한국미술사를 교양과 상식으로서 이해하려는 일반인과 미술사를 공부하는 학생을 위한 한국미술사 입문서. 영어로 말하면 'History' of Korean Art가 아니라 'Story' of Korean Art이다. 미술사적 편년체가 아니라 독서로서 한국미술의 흐름과 특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한 것이다. 즉, 책상에 앉아 밑줄 치면서 공부하면서가 아닌 '소파에 기대어 편히 독서'할 수 있도록 썼다. 3권 '조선 : 그림과 글씨'는 제1권 선사.삼국.발해, 2권 통일신라.고려에 이어 29장부터 시작한다. 조선시대 회화와 서예를 초기, 중기, 후기, 말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기존 미술사에서는 다소 미흡하게 다룬 궁중미술과 초상화에도 많은 비중을 두었다. 화가의 이름이 밝혀져 있지 않고 작가의 개성이 드러나지는 않지만 당대의 뛰어난 화원들이 제작한 조선시대 고유의 장르인 만큼 그 예술적 의의를 부각시킨 것이다.
■653 ▼a한국미술사▼a미술강의▼a한국예술▼a미술역사▼a미술사
■740 2▼a조선 - 그림과 글씨
■740 2▼aStory of Korean art
■9500 ▼b\28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