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여기 우리 마주 : 제66회 現代文學賞 수상소설집
여기 우리 마주 : 제66회 現代文學賞 수상소설집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0885461 03810 : \15000
- DDC
- 895.735-21
- 청구기호
- 8A3.608 현221 66
- 저자명
- 최은미 지음
- 서명/저자
- 여기 우리 마주 : 제66회 現代文學賞 수상소설집 / 최은미 [외]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현대문학, 2020
- 형태사항
- 304 p ; 23 cm
- 총서명
-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 제66회(2021)
- 내용주기
- 여기 우리 마주 최은미-- 보내는 이 최은미-- 한밤에 두고 온 것 김병운-- 실뜨기놀이 박형서--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송지현-- 팽 사부와 거북이 진진 오한기-- 네모난 기억 윤성희-- 단영 임솔아--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 천희란-- 마스크를 쓰고 읽는 2020년의 소설들 김성중-- 소설에 대해 대화하는 즐거움 서희원-- 우리의 물음이 여기에 이지은-- 진화하는 여성 서사―여기, 오늘, 그들 김인숙-- 화산의 소설들 소영현-- 여기 뜨거운 교차성 이기호
- 초록/해제
- 요약: 2021년 제66회 현대문학상의 수상자와 수상작으로 최은미의 「여기 우리 마주」가 선정되었다. 심사는 2019년 12월호~2020년 11월호(계간지 2019년 겨울호~2020년 가을호) 사이, 각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상후보작으로는 김병운 「한밤에 두고 온 것」, 박형서 「실뜨기 놀이」, 송지현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오한기 「팽 사부와 거북이 진진」, 윤성희 「네모난 기억」, 임솔아 「단영」, 천희란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이 선정되었다.
- 일반주제명
- 현대 문학상[現代文學賞]
- 일반주제명
- 수상 작품집[受賞作品集]
- 일반주제명
- 한국 현대 소설[韓國現代小說]
- 기타저자
- 김병운 [외]지음
- 기타저자
- 박형서 [외]지음
- 기타저자
- 송지현 [외]지음
- 기타저자
- 오한기 [외]지음
- 기타저자
- 윤성희 [외]지음
- 기타저자
- 임솔아 [외]지음
- 기타저자
- 천희란 [외]지음
- 기타저자
- 김성중 [외]지음
- 기타저자
- 서희원 [외]지음
- 기타저자
- 이지은 [외]지음
- 기타저자
- 김인숙 [외]지음
- 기타저자
- 소영현 [외]지음
- 기타저자
- 이기호 [외]지음
- 기타서명
- 제66회 現代文學賞 수상소설집
- 기타서명
- 보내는 이
- 기타서명
- 한밤에 두고 온 것
- 기타서명
- 실뜨기놀이
- 기타서명
-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 기타서명
- 팽 사부와 거북이 진진
- 기타서명
- 네모난 기억
- 기타서명
- 단영
- 기타서명
-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
- 기타서명
- 마스크를 쓰고 읽는 2020년의 소설들
- 기타서명
- 소설에 대해 대화하는 즐거움
- 기타서명
- 우리의 물음이 여기에
- 기타서명
- 진화하는 여성 서사―여기, 오늘, 그들
- 기타서명
- 화산의 소설들
- 기타서명
- 여기 뜨거운 교차성
- 가격
- \13500
- Control Number
- sacl:123300
- 책소개
-
한국문학의 가장 빛나는 소설과 소설가에게 주어지는, 66회를 맞은 명실상부한 한국 최고 문학상인 〈현대문학상〉의 올해의 수상자와 수상작으로 최은미의 「여기 우리 마주」가 선정되었다. 심사는 2019년 12월호~2020년 11월호(계간지 2019년 겨울호~2020년 가을호) 사이, 각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상후보작으로는 김병운 「한밤에 두고 온 것」, 박형서 「실뜨기 놀이」, 송지현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오한기 「팽 사부와 거북이 진진」, 윤성희 「네모난 기억」, 임솔아 「단영」, 천희란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이 선정되었다.
MARC
008201208s2020 ulk 000af kor■00520201208115040
■007ta
■020 ▼a9791190885461▼g03810▼c\15000
■040 ▼d211037
■082 ▼a895.735▼221
■090 ▼a8A3.608 ▼b현221▼c66
■1001 ▼a최은미▼e지음
■24510▼a여기 우리 마주▼b제66회 現代文學賞 수상소설집▼d최은미 [외]지음
■260 ▼a서울▼b현대문학▼c2020
■300 ▼a304 p▼c23 cm
■44000▼a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v제66회(2021)
■50500▼t여기 우리 마주▼d최은미--▼t보내는 이▼d최은미--▼t한밤에 두고 온 것▼d김병운--▼t실뜨기놀이▼d박형서--▼t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d송지현--▼t팽 사부와 거북이 진진▼d오한기--▼t네모난 기억▼d윤성희--▼t단영▼d임솔아--▼t카밀라 수녀원의 유산▼d천희란--▼t마스크를 쓰고 읽는 2020년의 소설들▼d김성중--▼t소설에 대해 대화하는 즐거움▼d서희원--▼t우리의 물음이 여기에▼d이지은--▼t진화하는 여성 서사―여기, 오늘, 그들▼d김인숙--▼t화산의 소설들▼d소영현--▼t여기 뜨거운 교차성▼d이기호
■520 ▼a2021년 제66회 현대문학상의 수상자와 수상작으로 최은미의 「여기 우리 마주」가 선정되었다. 심사는 2019년 12월호~2020년 11월호(계간지 2019년 겨울호~2020년 가을호) 사이, 각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상후보작으로는 김병운 「한밤에 두고 온 것」, 박형서 「실뜨기 놀이」, 송지현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오한기 「팽 사부와 거북이 진진」, 윤성희 「네모난 기억」, 임솔아 「단영」, 천희란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이 선정되었다.
■650 8▼a현대 문학상[現代文學賞]
■650 8▼a수상 작품집[受賞作品集]
■650 8▼a한국 현대 소설[韓國現代小說]
■653 ▼a현대문학상▼a수상작품집▼a한국문학▼a한국소설
■7001 ▼a김병운▼e[외]지음
■7001 ▼a박형서▼e[외]지음
■7001 ▼a송지현▼e[외]지음
■7001 ▼a오한기▼e[외]지음
■7001 ▼a윤성희▼e[외]지음
■7001 ▼a임솔아▼e[외]지음
■7001 ▼a천희란▼e[외]지음
■7001 ▼a김성중▼e[외]지음
■7001 ▼a서희원▼e[외]지음
■7001 ▼a이지은▼e[외]지음
■7001 ▼a김인숙▼e[외]지음
■7001 ▼a소영현▼e[외]지음
■7001 ▼a이기호▼e[외]지음
■740 2▼a제66회 現代文學賞 수상소설집
■740 2▼a보내는 이
■740 2▼a한밤에 두고 온 것
■740 2▼a실뜨기놀이
■740 2▼a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740 2▼a팽 사부와 거북이 진진
■740 2▼a네모난 기억
■740 2▼a단영
■740 2▼a카밀라 수녀원의 유산
■740 2▼a마스크를 쓰고 읽는 2020년의 소설들
■740 2▼a소설에 대해 대화하는 즐거움
■740 2▼a우리의 물음이 여기에
■740 2▼a진화하는 여성 서사―여기, 오늘, 그들
■740 2▼a화산의 소설들
■740 2▼a여기 뜨거운 교차성
■9500 ▼b\135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