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전장의 기억
Contents Info
전장의 기억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87608266 03910 : \12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DDC  
303.6-21
청구기호  
303.6 도39ㅈ
저자명  
도미야마 이치로 지음, 1957-
서명/저자  
전장의 기억 / 도미야마 이치로 지음 ; 임성모 옮김
원표제  
[원표제]戰場の記憶
발행사항  
서울 : 이산, 2002
형태사항  
304 p : 삽화 ; 23 cm
주기사항  
도리야마 이치로의 한자명은 '富山一郞'임
서지주기  
색인수록
초록/해제  
요약: 이 책의 주제는 군사적 폭력에 대항할 가능성이다. 군사적 폭력은 차츰 이 세계를 위압하고 일상을 구성하는 힘으로 군림해 나가고 있다. 이 폭력에 대항할 가능성을 사고하려면, 우리는 죽은 자의 망막에 포착된, 곁에 있는 사람의 얼굴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망막에 각인된 그 영상은 나의 얼굴이자 당신의 얼굴일 것이다. 이 책은 이런 사고의 궤적이다.
언어주기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키워드  
전장 기억 폭력 정치사 정치학
기타저자  
임성모 옮김
기타저자  
富山一郞 지음
기타저자  
부산일랑
가격  
\10800
Control Number  
sacl:123140
책소개  
1995년 당시 일본은 전후 50년을 맞아 전후 책임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었다. 이 책의 지은이 도미야마 이치로 역시 전후 50년이라는 하나의 역사적 매듭을 계기로 그간 자신이 전쟁과 전사(戰死)를 주제로 써왔던 글들을 모아서 그 해 8월 15일 전장의 기억이란 제목으로 출간했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의 1부에 해당하는 전장의 기억이다.



도미야마는 일본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50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전장의 기억은 희미해진 것이 아니라 일상으로 이월되었으며, 또한 진부한 일상에서 전장이 준비된다고 역설한다. 그렇다면 지은이는 왜 전쟁이 아닌 전장을 이야기하는 것일까? 근대의 전쟁은 모든 공간을 전장으로, 모든 인간을 병사로 만들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지은이는 폭력을 예감하는 하나의 장(場)으로서 전장을 설정하고 있다.



이 책의 2부 폭력의 예감은 지은이가 을 출간한 1995년 이후에 천착한 연구성과 가운데 특별히 주목되는 세 편의 논문을 가려 뽑은 것이다. 「폭력의 서술 : 프란츠 파농」, 「류큐인이라는 주체 : 이하 후유」, 「폭력의 예감」라는 글에서 저자는 폭력과 저항, 정체성, 법과 폭력의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התיקיה שלי
  • צפה הראשון בקשה
גשמי
Reg No. Call No. מיקום מצב להשאיל מידע
00079897 303.6 도39ㅈ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הזמנות זמינים בספר ההשאלה. כדי להזמין, נא לחץ על כפתור ההזמנה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