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애도의 공동체 : 최현주 비평집
애도의 공동체 : 최현주 비평집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6530849 03810 : \16000
- DDC
- 895.709-21
- 청구기호
- 8A0.9 최94ㅇ
- 저자명
- 최현주 지음, 1965-
- 서명/저자
- 애도의 공동체 : 최현주 비평집 / 최현주 지음
- 발행사항
- 광주 : 문학들, 2020
- 형태사항
- 301 p ; 22 cm
- 총서명
- 비평 ; 002
- 초록/해제
- 요약: 문학평론가 최현주 씨가 두 번째 비평집 『애도의 공동체』를 출간했다. 그간의 순문학주의와 미학주의, 그리고 가치중립을 전제로 한 문학작품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비판하는 관점에서 쓴 글들을 모았다. 이번 비평집은 지난한 우리의 현대사 중 국가에 의해 국민들이 죽음으로 내몰렸던 제주4·3, 여순10·19, 광주5·18, 그리고 아직도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세월호 참사 등 반복된 국가폭력의 역사 속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의 상처와 아픔에 공감하고 연대하는 삶이 요구되고 있다”는 저자의 절박한 시대의식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이 타자의 고통의 근원과 현실사회의 모순들을 해체하고 전복시켜 나가는 고유의 응전력을 되찾았으면 하는 고민과 소망의 반영이기도 하다.
- 일반주제명
- 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 기타서명
- 최현주 비평집
- 가격
- \14400
- Control Number
- sacl:121553
- 책소개
-
문학평론가 최현주(순천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여순연구소장) 씨가 두 번째 비평집 『애도의 공동체』(문학들 刊)를 출간했다. 그간의 순문학주의와 미학주의, 그리고 가치중립을 전제로 한 문학작품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비판하는 관점에서 쓴 글들을 모았다. 제1부에는 성석제, 김종광, 구효서, 김도연, 김애란, 김영하, 윤대녕, 방현석, 박상우, 김경욱, 최윤 등의 소설에 대한 비평을, 제2부에는 순천대 여순연구소장으로 동분서주하면서 써온 ‘여순 사건’과 국가폭력에 관한 글을, 제3부에는 지역과 관련한 시인·소설가들의 작품에 대한 비평과 강연 원고를 담았다.
이번 비평집은 지난한 우리의 현대사 중 국가에 의해 국민들이 죽음으로 내몰렸던 제주4·3, 여순10·19, 광주5·18, 그리고 아직도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세월호 참사 등 반복된 국가폭력의 역사 속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의 상처와 아픔에 공감하고 연대하는 삶이 요구되고 있다”는 저자의 절박한 시대의식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이 타자의 고통의 근원과 현실사회의 모순들을 해체하고 전복시켜 나가는 고유의 응전력을 되찾았으면 하는 고민과 소망의 반영이기도 하다.
저자는 “인간이 배제되고 공동체의 고통이 방치된 채로의 미학주의나 문학 해석의 폐쇄회로로부터의 탈주가 필요한 시점”이기에 “공동체의 다중, 대중이 참여하고 실천하는 운동의 장으로서의 문학의 다양한 실천의 힘들이 복윈되기를 기원”하며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실감하고 애도하는 문학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최현주 씨는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현대소설의 탈식민성과 문학교육』 등이 있으며 평론집으로 『해체와 역설의 시학』 등이 있다. 연구논문으로는 「근대에 대응하는 소설의 두 가지 존재 방식 -이청준과 송기숙의 소설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현 순천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및 여순연구소장이다.
MARC
008200719s2020 kjk 000c kor■00520200718084917
■007ta
■020 ▼a9791186530849▼g03810▼c\16000
■040 ▼d211037
■082 ▼a895.709▼221
■090 ▼a8A0.9▼b최94ㅇ
■1001 ▼a최현주▼d1965-▼e지음
■24510▼a애도의 공동체▼b최현주 비평집▼d최현주 지음
■260 ▼a광주▼b문학들▼c2020
■300 ▼a301 p▼c22 cm
■44000▼a비평▼v002
■520 ▼a문학평론가 최현주 씨가 두 번째 비평집 『애도의 공동체』를 출간했다. 그간의 순문학주의와 미학주의, 그리고 가치중립을 전제로 한 문학작품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비판하는 관점에서 쓴 글들을 모았다. 이번 비평집은 지난한 우리의 현대사 중 국가에 의해 국민들이 죽음으로 내몰렸던 제주4·3, 여순10·19, 광주5·18, 그리고 아직도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세월호 참사 등 반복된 국가폭력의 역사 속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의 상처와 아픔에 공감하고 연대하는 삶이 요구되고 있다”는 저자의 절박한 시대의식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이 타자의 고통의 근원과 현실사회의 모순들을 해체하고 전복시켜 나가는 고유의 응전력을 되찾았으면 하는 고민과 소망의 반영이기도 하다.
■650 8▼a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653 ▼a애도▼a공동체
■740 2▼a최현주 비평집
■9500 ▼b\14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