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 소비에트의 마지막 세대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 소비에트의 마지막 세대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32035758 93160 : \32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306.0947-21
- 청구기호
- 306.09 유238ㅁ
- 저자명
- 유르착, 알렉세이 지음
- 서명/저자
-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 소비에트의 마지막 세대 / 알렉세이 유르착 지음 ; 김수환 옮김
- 원표제
- [원표제]Everything was forever, until it was no more : the last soviet generation
- 발행사항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9
- 형태사항
- 637 p : 화삽 ; 23 cm
- 총서명
- 현대의 지성 ; 172
- 주기사항
- 원저자명: Alexei Yurchak
- 초록/해제
- 요약: 소비에트적 삶의 참모습, 그리고 오늘의 현실과 마주하다!알렉세이 유르착의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2005년 미국에서 출간되어 학계에 큰 화제를 불러오며 후기 소비에트 시기 문화 연구의 붐을 일으킨 이 책은 소비에트 사회주의 체제를 살아간 사람들이 현실과 관계 맺었던 방식에 대한 기존의 상투적인 가정들에 의문을 제기하고, 소비에트 시스템의 본질에 놓여 있는 이 역설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저자는 강압, 공포, 부자유가 이상, 집단 윤리, 우정, 창조성, 미래에 대한 관심 같은 것들과 뒤섞여 있었던 실재했던 사회주의의 현실들을 보여줌으로써 소비에트 사회주의의 삶을 성찰하고 ‘호모 소비에티쿠스’와 같은 말로 폄하되어온 소비에트의 주체성을 재인간화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통해 소비에트의 갑작스러운 종말이라는 하나의 구체적 사건에 대한 해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의 위기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 경험되는지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한때 영원했던 소비에트의 풍경은 지금 우리의 삶, 그러니까 어떠한 대안도 가능하지 않으며, 무엇을 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바뀌는 것이 없을 것이라는 영속성의 감각 속에서 살아가는 오늘의 우리에게도 깊은 생각거리를 안겨줄 것이다.
- 언어주기
-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일반주제명
- 사회 문화[社會文化]
- 기타저자
- 김수환 옮김
- 기타저자
- Yurchak, Alexei 지음
- 기타서명
- 소비에트의 마지막 세대
- 가격
- \28800
- Control Number
- sacl:120822
- 책소개
-
2005년 미국에서 출간되어 학계에 큰 화제를 불러왔으며, 후기 소비에트 시기 문화 연구의 붐을 일으킨, 알렉세이 유르착의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제목이 함축하는 것처럼, 소비에트 시스템의 "붕괴는 그것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감히 예측할 수도 상상할 수도 없는 것이었지만, 막상 붕괴가 시작되자 곧장 완벽하게 논리적이고 흥분되는 사건으로" 경험되었다.
"사람들은 스스로도 의식하지 못한 채로 언제나 이미 체제 붕괴에 대비해왔으며, 사회주의 체제하의 삶이 흥미로운 역설들 가운데 형성되었음을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은 소비에트 사회주의 체제를 살아간 사람들이 현실과 관계 맺었던 방식에 대한 기존의 상투적인 가정들에 의문을 제기하고, 소비에트 시스템의 본질에 놓여 있는 이 역설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르착은 강압, 공포, 부자유가 이상, 집단 윤리, 우정, 창조성, 미래에 대한 관심 같은 것들과 뒤섞여 있었던 실재했던 사회주의의 현실들을 보여줌으로써, 소비에트 사회주의의 삶을 성찰하고 호모 소비에티쿠스와 같은 말로 폄하되어온 소비에트의 주체성을 "재인간화"하고자 시도한다.
이 책은 "소비에트의 갑작스러운 종말"이라는 하나의 구체적 사건에 대한 해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의 위기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 경험되는지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한때 "영원했던" 소비에트의 풍경은 지금 우리의 삶, 그러니까 어떠한 대안도 가능하지 않으며, 무엇을 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바뀌는 것이 없을 것이라는 영속성의 감각 속에서 살아가는 오늘의 우리에게도 깊은 생각거리를 안겨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