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초국가적 미술관 = MMCA studies: the transnational museum
초국가적 미술관 = MMCA studies: the transnational museum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3032306 : \10000
- ISSN
- 2093-0712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본문언어 - eng
- DDC
- 708-21
- 청구기호
- 708 국239ㅊ
- 단체저자
- 국립현대미술관 편
- 서명/저자
- 초국가적 미술관 = MMCA studies: the transnational museum / 국립현대미술관 [편]
- 발행사항
- 과천 : 국립현대미술관, 2019
- 형태사항
- 215 p : 삽화 ; 26 cm
- 총서명
- 국립현대미술관 연구 ; 2019(제11집)
- 초록/해제
- 요약: 30년간 출간됐던 『국립현대미술관 연구 논문』을 재정비하여 2019년 혁신호를 펴냈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초국가적 개념과 관련한 큐레토리얼, 학술적, 제도적 실천과 그 가능성을 탐색한다. "미술관 실천에서 초국가주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국가 구분을 넘어서 미술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할까" 등의 질문을 토대로 초국가주의와 미술관 실천의 관계를 살펴본다.
- 언어주기
-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 수록됨
- 기타서명
- MMCA studies: the transnational museum
- 가격
- \9000
- Control Number
- sacl:120717
- 책소개
-
국립현대미술관은 30년간 출간됐던 『국립현대미술관 연구 논문』을 재정비하여 2019년 혁신호를 펴냈습니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초국가적 개념과 관련한 큐레토리얼, 학술적, 제도적 실천과 그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미술관 실천에서 초국가주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국가 구분을 넘어서 미술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할까” “탈국가적인 큐레토리얼 혹은 글로벌 큐레이팅이 과연 가능할까” 등의 질문을 토대로 초국가주의와 미술관 실천의 관계를 살펴봅니다. 한편, 두 번째 섹션인 미술관 연구는 미술관 활동에 대한 논의의 외연을 ?히기 위한 지면으로서 전시, 소장품, 아카이브 연구 및 학술 프로그램 등이 촉발한 동시대 담론과 그 실천을 다루고 있습니다.
MARC
008200320s2019 ggka 000c kor■00520200320101648
■007ta
■020 ▼a9788963032306▼c\10000
■022 ▼a2093-0712
■040 ▼d211037
■0410 ▼akor▼aeng
■082 ▼a708▼221
■090 ▼a708▼b국239ㅊ
■110 ▼a국립현대미술관▼e편
■24510▼a초국가적 미술관▼xMMCA studies: the transnational museum▼d국립현대미술관 [편]
■260 ▼a과천▼b국립현대미술관▼c2019
■300 ▼a215 p▼b삽화▼c26 cm
■44000▼a국립현대미술관 연구▼v2019(제11집)
■520 ▼a30년간 출간됐던 『국립현대미술관 연구 논문』을 재정비하여 2019년 혁신호를 펴냈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초국가적 개념과 관련한 큐레토리얼, 학술적, 제도적 실천과 그 가능성을 탐색한다. "미술관 실천에서 초국가주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국가 구분을 넘어서 미술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할까" 등의 질문을 토대로 초국가주의와 미술관 실천의 관계를 살펴본다.
■546 ▼a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 수록됨
■653 ▼a국립현대미술관▼a연구
■740 2▼aMMCA studies: the transnational museum
■9500 ▼b\9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Buch Status
- Reservierung
- frei buchen
- Meine Mappe
- Erste Aufräumarbeiten Anf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