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동양필로시네마 : 동양미학과 철학적 상상력의 정원
동양필로시네마 : 동양미학과 철학적 상상력의 정원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5030223 93150 : \18000
- DDC
- 181-21
- 청구기호
- 181 이75ㄷ
- 저자명
- 이종성 지음, 1965-
- 서명/저자
- 동양필로시네마 : 동양미학과 철학적 상상력의 정원 / 이종성 지음
- 발행사항
- 대전 : 충남대학교문화원, 2019
- 형태사항
- 425 p ; 23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413-425
- 초록/해제
- 요약: 영화 속에 반영된 동양철학의 다양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룬 최초의 책이다. 총 열세 가지 주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독자들에게 영화 속에 반영된 동양철학의 다양한 입장을 톺아봄과 동시에 동양철학을 통한 영상미학적 상상력의 세계로 진입하는 하나의 주체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일반주제명
- 동양 철학[東洋哲學]
- 일반주제명
- 영화(예술)[映畵]
- 기타서명
- 동양미학과 철학적 상상력의 정원
- 가격
- \16200
- Control Number
- sacl:120576
- 책소개
-
이 책은 영화 속에 반영된 동양철학의 다양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룬 최초의 책이다. 이 책은 총 열세 가지 주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대상세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반성적으로 모색해본다는 측면에서 존재와 인식에 관한 문제를 짚어보았고, 중국 고대를 대표하는 철학자들로서 공자, 노자, 장자, 묵자, 손빈 등을 통해 제자백가의 사상 가운데 유가, 도가, 묵가, 병가 등의 철학을 살펴보았으며, 분열된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진시황의 이념에 반영된 음양가, 법가, 도가의 사유를 비롯한 천하주의의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해보았다. 이어 붓다의 생애와 사상 및 티베트 불교의 환생문제를 짚어본 후 일본불교를 대표하는 도겐 선사상의 특징을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조선의 남한산성 안에서 벌어졌던 이념적 대립구도를 한국주자학과 한국양명학의 양립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본 후 조선후기 개벽의 꽃을 피운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의 특징과 의의를 구명해보았다. 요컨대 이 책은 동양의 영상미학과 그 상상력의 토대를 한자리에 모은 동양철학적 사유의 정원이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영화 속에 반영된 동양철학의 다양한 입장을 톺아봄과 동시에 동양철학을 통한 영상미학적 상상력의 세계로 진입하는 하나의 주체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