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감성사회 : 감성은 어떻게 문화 동력이 되었나
감성사회 : 감성은 어떻게 문화 동력이 되었나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7351090 93300 : \18000
- DDC
- 306-21
- 청구기호
- 306 서225ㄱ
- 저자명
- 서동진 지음, 1967-
- 서명/저자
- 감성사회 : 감성은 어떻게 문화 동력이 되었나 / 서동진 [외]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글항아리, 2014
- 형태사항
- 377 p : 삽화 ; 22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352-366)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감성은 어떻게 사회 변화의 동력이 되었나!『감성사회』는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사업단이 ‘감성과 공공성’이라는 리서치 워킹그룹을 만들어 3년간 연구한 결과물이다. 국문학, 역사학, 사회학, 커뮤니케이션학, 중국문학 등 서로 다른 연구의 이력과 관심도 저마다 다른 전공자들이 모여 연구하고 토론하여, ‘감성’은 타고난 천성이나 기질이 아니라 문화와 교육을 통해 습득되는 하나의 ‘능력’이라는 점을 도출해내기에 이르렀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1부는 구체적인 텍스트를 정하지 않고 사회와 문화 자체를 하나의 텍스트로 삼아 ‘시각’으로서의 감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2부는 구체적인 텍스트를 대상으로 공감적 감성과 공통 감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잘 단련된 하나의 학적 이슈를 사회에 던지려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윤리를 생성하고 공생적 공감사회를 만드는 실천적 밑거름을 마련하고자 한다.
- 기금정보
-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8-361-A00003)
- 일반주제명
- 감성론[感性論]
- 일반주제명
- 사회 변화[社會變化]
- 기타저자
- 김왕배 [외]지음, 1959-
- 기타저자
- 김지수 [외]지음
- 기타저자
- 강혜종 [외]지음
- 기타저자
- 소영현 [외]지음, 1970-
- 기타저자
- 최기숙 [외]지음, 1968-
- 기타저자
- 후샤오전 [외]지음
- 기타저자
- 김기완 [외]지음
- 기타저자
- 이하나 [외]지음, 1968-
- 기타저자
- 펑, 앤서니 [외]지음
- 기타서명
- 감성은 어떻게 문화 동력이 되었나
- 가격
- \16200
- Control Number
- sacl:120490
- 책소개
-
감성은 어떻게 사회 변화의 동력이 되었나!
『감성사회』는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사업단이 ‘감성과 공공성’이라는 리서치 워킹그룹을 만들어 3년간 연구한 결과물이다. 국문학, 역사학, 사회학, 커뮤니케이션학, 중국문학 등 서로 다른 연구의 이력과 관심도 저마다 다른 전공자들이 모여 연구하고 토론하여, ‘감성’은 타고난 천성이나 기질이 아니라 문화와 교육을 통해 습득되는 하나의 ‘능력’이라는 점을 도출해내기에 이르렀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1부는 구체적인 텍스트를 정하지 않고 사회와 문화 자체를 하나의 텍스트로 삼아 ‘시각’으로서의 감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2부는 구체적인 텍스트를 대상으로 공감적 감성과 공통 감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잘 단련된 하나의 학적 이슈를 사회에 던지려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윤리를 생성하고 공생적 공감사회를 만드는 실천적 밑거름을 마련하고자 한다.
MARC
008200214s2014 ggka b 001c kor■00520200214102022
■007ta
■020 ▼a9788967351090▼g93300▼c\18000
■040 ▼d211037
■082 ▼a306▼221
■090 ▼a306▼b서225ㄱ
■1001 ▼a서동진▼d1967-▼e지음
■24510▼a감성사회▼b감성은 어떻게 문화 동력이 되었나▼d서동진 [외]지음
■260 ▼a파주▼b글항아리▼c2014
■300 ▼a377 p▼b삽화▼c22 cm
■504 ▼a참고문헌(p. 352-366)과 색인수록
■520 ▼a감성은 어떻게 사회 변화의 동력이 되었나!『감성사회』는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사업단이 ‘감성과 공공성’이라는 리서치 워킹그룹을 만들어 3년간 연구한 결과물이다. 국문학, 역사학, 사회학, 커뮤니케이션학, 중국문학 등 서로 다른 연구의 이력과 관심도 저마다 다른 전공자들이 모여 연구하고 토론하여, ‘감성’은 타고난 천성이나 기질이 아니라 문화와 교육을 통해 습득되는 하나의 ‘능력’이라는 점을 도출해내기에 이르렀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1부는 구체적인 텍스트를 정하지 않고 사회와 문화 자체를 하나의 텍스트로 삼아 ‘시각’으로서의 감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2부는 구체적인 텍스트를 대상으로 공감적 감성과 공통 감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잘 단련된 하나의 학적 이슈를 사회에 던지려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윤리를 생성하고 공생적 공감사회를 만드는 실천적 밑거름을 마련하고자 한다.
■536 ▼a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8-361-A00003)
■650 8▼a감성론[感性論]
■650 8▼a사회 변화[社會變化]
■653 ▼a감성사회▼a사회변화
■7001 ▼a김왕배▼d1959-▼e[외]지음
■7001 ▼a김지수▼e[외]지음
■7001 ▼a강혜종▼e[외]지음
■7001 ▼a소영현▼d1970-▼e[외]지음
■7001 ▼a최기숙▼d1968-▼e[외]지음
■7001 ▼a후샤오전▼e[외]지음
■7001 ▼a김기완▼e[외]지음
■7001 ▼a이하나▼d1968-▼e[외]지음
■7001 ▼a펑, 앤서니▼e[외]지음
■740 2▼a감성은 어떻게 문화 동력이 되었나
■9500 ▼b\162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My Folder
- Demande Première utili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