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애착 : 인간애착행동에 대한 과학적 탐구
애착 : 인간애착행동에 대한 과학적 탐구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0870534 93180 : \35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150.195155.4-21
- 청구기호
- 150.1 볼49ㅇ
- 저자명
- 볼비, 존 지음, 1907-1990
- 서명/저자
- 애착 : 인간애착행동에 대한 과학적 탐구 / 존 볼비 지음 ; 김창대 옮김
- 원표제
- [원표제]Attachment
- 발행사항
- 고양 : 연암서가, 2019
- 형태사항
- 688 p ; 22 cm
- 주기사항
- 원저자명: John Bowlby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초판 출간 50주년 기념 출판다윈과 프로이트의 이론을 애착이론에 접목시킨 존 볼비의 대표작본능행동에 대한 대안적 모형을 제시한 고전다윈과 프로이트의 이론을 애착이론에 접목시킨 존 볼비의 대표작『애착』의 초판은 1969년에 출간되었지만, 그 이후에 이루어진 여러 연구들을 반영하여 1982년에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뿐만 아니라 1999년에는 인간 정서의 발달과정을 신경생물학적으로 재해석한 앨런 쇼어의 서문이 포함된 신판이 출간되었다. 올해로 발간된 지 50년이 된 이 책은 정신분석학, 정신의학, 발달심리학, 상담심리학, 사회복지학, 가족학, 아동학 등의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읽혀지거나 인용되는 근래의 고전이다. 이 책을 기점으로 정신분석학과 발달심리학의 학문세계에 알려진 애착이론은 원래 영국에서 출발했지만, 미국으로 건너가 발전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애착이론의 기본 명제는 유아와 어린 아동은 엄마(또는 엄마를 대신할 수 있는 사람)와 따뜻하고 밀접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경험해야 하며, 그러지 못할 경우 심각하고도 되돌리기 어려운 부적응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애착이란 유아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놀란 상황에서 애착대상과 근접성을 추구하는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근본적으로 개체의 생존이라는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이다. 즉, 이 이론은 유아는 성인 양육자와 안정된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만약 그러한 안정된 관계가 없다면 유아는 사회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정상적인 발달을 할 수 없다고 제안한다.
- 언어주기
-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일반주제명
- 애착[愛着]
- 일반주제명
- 아동 심리[兒童心理]
- 기타저자
- 김창대 옮김, 1961-
- 기타저자
- Bowlby, John 지음, 1907-1990
- 기타서명
- 인간애착행동에 대한 과학적 탐구
- 가격
- \31500
- Control Number
- sacl:120454
- 책소개
-
초판 출간 50주년 기념 출판
다윈과 프로이트의 이론을
애착이론에 접목시킨 존 볼비의 대표작
본능행동에 대한 대안적 모형을 제시한 고전
다윈과 프로이트의 이론을 애착이론에 접목시킨 존 볼비의 대표작
『애착』의 초판은 1969년에 출간되었지만, 그 이후에 이루어진 여러 연구들을 반영하여 1982년에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뿐만 아니라 1999년에는 인간 정서의 발달과정을 신경생물학적으로 재해석한 앨런 쇼어의 서문이 포함된 신판이 출간되었다. 올해로 발간된 지 50년이 된 이 책은 정신분석학, 정신의학, 발달심리학, 상담심리학, 사회복지학, 가족학, 아동학 등의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읽혀지거나 인용되는 근래의 고전이다. 이 책을 기점으로 정신분석학과 발달심리학의 학문세계에 알려진 애착이론은 원래 영국에서 출발했지만, 미국으로 건너가 발전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애착이론의 기본 명제는 유아와 어린 아동은 엄마(또는 엄마를 대신할 수 있는 사람)와 따뜻하고 밀접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경험해야 하며, 그러지 못할 경우 심각하고도 되돌리기 어려운 부적응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애착이란 유아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놀란 상황에서 애착대상과 근접성을 추구하는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근본적으로 개체의 생존이라는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이다. 즉, 이 이론은 유아는 성인 양육자와 안정된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만약 그러한 안정된 관계가 없다면 유아는 사회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정상적인 발달을 할 수 없다고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