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호모 서커스 = Homo circus : circusian & human culture in the 21st century : 곡예사와 21세기 인류문화
호모 서커스 = Homo circus : circusian & human culture in the 21st century : 곡예사와 21세기 인류문화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6689506 93680 : \28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요약문언어 - eng
- DDC
- 791.3-21
- 청구기호
- 791.2 허73ㅎ
- 저자명
- 허정주 지음
- 서명/저자
- 호모 서커스 = Homo circus : circusian & human culture in the 21st century : 곡예사와 21세기 인류문화 / 허정주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광대와바다, 2019
- 형태사항
- 397 p : 삽화, 초상 ; 23 cm
- 총서명
- 광대학술총서 ; 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375-386)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지금까지 전개되어온 우리 인류의 문화문명사적인 주요 비전들의 가능성과 한계들을 먼저 검토한다. 그런 후 이제 새로운 문명사적 지평으로 들어선 21세기의 신인류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인간론을 제시한다. 귀결점에서 저자가 새롭게 우리 앞에 제시하는 21세기 신인류의 비전은 ‘서커스 하는 인간’ 곧 ‘호모 서커스Homo Circus’라는 비전이다. 즉, 저자에 의하면 21세기 ‘신인류’는 그동안에도 그래왔지만 현재 인류는 더욱더‘호모 서커스’의 비전을 부단히 추구하고 실천하는 인간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그의 이러한 ‘호모 서커스Homo Circus’의 비전을 추구하고 실천하는 인간을 ‘서커시안Circusian’이라 부르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 따라, 좁은 의미의 전통적인 서커스/곡예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한반도의 곡예사들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도 한다. 이 협의의 서커스 개념에 좀 더 폭넓은 속성들을 추가함으로써 서커스의 개념을 인류 문화 전반에로 확장하고, ‘호모 서커스’의 주요 특징과 활동원리를 귀납적으로 도출해낸다. 그리고, 이러한 ‘호모 서커스의’의 주요 특성과 활동원리에 근거하여, 21세기 인류 문화가 ‘호모 서커스’의 비전을 추구하고 실천하고 있다는 것을, 오늘날의 인류 문화 전반에 걸친 여러 사례들을 들어, 흥미롭게 설명하고 논의하고 있다.
- 기금정보
-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6A4A01013093)
- 언어주기
- 영어 요약 있음
- 일반주제명
- 곡예[曲藝]
- 기타서명
- 곡예사와 21세기 인류문화
- 기타서명
- Homo circus : circusian & human culture in the 21st century
- 가격
- \25200
- Control Number
- sacl:120437
- 책소개
-
지금까지 전개되어온 우리 인류의 문화문명사적인 주요 비전들의 가능성과 한계들을 먼저 검토한다. 그런 후 이제 새로운 문명사적 지평으로 들어선 21세기의 신인류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인간론을 제시한다. 귀결점에서 저자가 새롭게 우리 앞에 제시하는 21세기 신인류의 비전은 ‘서커스 하는 인간’ 곧 ‘호모 서커스Homo Circus’라는 비전이다. 즉, 저자에 의하면 21세기 ‘신인류’는 그동안에도 그래왔지만 현재 인류는 더욱더‘호모 서커스’의 비전을 부단히 추구하고 실천하는 인간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그의 이러한 ‘호모 서커스Homo Circus’의 비전을 추구하고 실천하는 인간을 ‘서커시안Circusian’이라 부르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 따라, 좁은 의미의 전통적인 서커스/곡예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한반도의 곡예사들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도 한다. 이 협의의 서커스 개념에 좀 더 폭넓은 속성들을 추가함으로써 서커스의 개념을 인류 문화 전반에로 확장하고, ‘호모 서커스’의 주요 특징과 활동원리를 귀납적으로 도출해낸다. 그리고, 이러한 ‘호모 서커스의’의 주요 특성과 활동원리에 근거하여, 21세기 인류 문화가 ‘호모 서커스’의 비전을 추구하고 실천하고 있다는 것을, 오늘날의 인류 문화 전반에 걸친 여러 사례들을 들어, 흥미롭게 설명하고 논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