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의 나무 =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
한국의 나무 =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71999059 04480 : \50000
ISBN  
9788971999073(세트)
DDC  
581.9519-21
청구기호  
581.9 김832ㅎ
저자명  
김태영 지음
서명/저자  
한국의 나무 =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 / 김태영 ; 김진석 [공]지음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 돌베개, 2018
형태사항  
716 p : 삽화 ; 24 cm
총서명  
한국의 식물도감 ; 1
초록/해제  
요약: 전문가와 일반 독자가 함께 읽는 나무도감!한반도 및 부속 도서에 자생하는 나무 정보를 집대성한 나무 백과사전 『한국의 나무』. 2011년 초판 출간 당시 전문가와 일반 독자에게 호평을 얻어 국내 주요 서점 과학 분야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책으로, 마침내 7년의 숙성 과정을 거쳐 개정신판으로 독자들과 다시 만난다. 650여 종의 나무 정보 및 5,000여 장의 생생한 사진과 갈매나무, 뇌성목, 바위종덩굴, 이노리나무 등 미기록종이나 희귀한 수목에 관한 연구 성과를 담았고, 최신 연구 결과와 해외 식물지를 비교·검토하여 정확한 학명을 기록함으로써 전문가가 신뢰할 수 있는 뛰어난 완성도를 갖춘 기존 내용에 20여 종의 항목을 추가하여 총 670여 종의 나무 정보를 기록하고, 기존 5,000여 장의 사진 가운데 1,000장에 가까운 사진을 신규 사진으로 교체했다. 또 과거 문헌 자료에 기록이 있지만 지금껏 정확한 실체를 알기 어려웠거나 최근에 들어서야 비로소 한반도 자생 사실이 알려진 미기록종 식물인 만주곰솔, 뇌성목, 몽고뽕나무, 산진달래, 바늘까치밥나무, 넓은잎까치밥나무, 단풍잎복분자, 용가시나무 등도 상세히 소개한다. 그리고 외국에서 도입한 식물로서 초판에서는 참고종으로 간략히 소개하는 데 그쳤으나 일반 독자를 위해 현재 시점에서 좀 더 상세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대왕참나무, 미국담쟁이덩굴, 꽃개오동 등 일부 도입수종들도 정식 항목으로 다루어 식물전문가부터 일반인까지 폭넓은 독자층이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일반주제명  
나무(식물)[木]
일반주제명  
한국 식물[韓國植物]
키워드  
한국 나무 식물도감
기타저자  
김진석 [공]지음
기타서명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
기타서명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가격  
\45000
Control Number  
sacl:120373
책소개  
전문가와 일반 독자가 함께 읽는 나무도감!

한반도 및 부속 도서에 자생하는 나무 정보를 집대성한 나무 백과사전 『한국의 나무』. 2011년 초판 출간 당시 전문가와 일반 독자에게 호평을 얻어 국내 주요 서점 과학 분야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책으로, 마침내 7년의 숙성 과정을 거쳐 개정신판으로 독자들과 다시 만난다. 650여 종의 나무 정보 및 5,000여 장의 생생한 사진과 갈매나무, 뇌성목, 바위종덩굴, 이노리나무 등 미기록종이나 희귀한 수목에 관한 연구 성과를 담았고, 최신 연구 결과와 해외 식물지를 비교·검토하여 정확한 학명을 기록함으로써 전문가가 신뢰할 수 있는 뛰어난 완성도를 갖춘 기존 내용에 20여 종의 항목을 추가하여 총 670여 종의 나무 정보를 기록하고, 기존 5,000여 장의 사진 가운데 1,000장에 가까운 사진을 신규 사진으로 교체했다.

또 과거 문헌 자료에 기록이 있지만 지금껏 정확한 실체를 알기 어려웠거나 최근에 들어서야 비로소 한반도 자생 사실이 알려진 미기록종 식물인 만주곰솔, 뇌성목, 몽고뽕나무, 산진달래, 바늘까치밥나무, 넓은잎까치밥나무, 단풍잎복분자, 용가시나무 등도 상세히 소개한다. 그리고 외국에서 도입한 식물로서 초판에서는 참고종으로 간략히 소개하는 데 그쳤으나 일반 독자를 위해 현재 시점에서 좀 더 상세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대왕참나무, 미국담쟁이덩굴, 꽃개오동 등 일부 도입수종들도 정식 항목으로 다루어 식물전문가부터 일반인까지 폭넓은 독자층이 읽을 수 있도록 했다.

MARC

 008200115s2018        ggka                    000c    kor
■00520200115074403
■007ta
■020    ▼a9788971999059▼g04480▼c\50000
■0201  ▼a9788971999073(세트)
■040    ▼d211037
■082    ▼a581.9519▼221
■090    ▼a581.9▼b김832ㅎ
■1001  ▼a김태영▼e지음
■24510▼a한국의  나무▼x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b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d김태영▼e김진석  [공]지음
■250    ▼a개정판
■260    ▼a파주▼b돌베개▼c2018
■300    ▼a716  p▼b삽화▼c24  cm
■44000▼a한국의  식물도감▼v1
■520    ▼a전문가와  일반  독자가  함께  읽는  나무도감!한반도  및  부속  도서에  자생하는  나무  정보를  집대성한  나무  백과사전  『한국의  나무』.  2011년  초판  출간  당시  전문가와  일반  독자에게  호평을  얻어  국내  주요  서점  과학  분야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책으로,  마침내  7년의  숙성  과정을  거쳐  개정신판으로  독자들과  다시  만난다.  650여  종의  나무  정보  및  5,000여  장의  생생한  사진과  갈매나무,  뇌성목,  바위종덩굴,  이노리나무  등  미기록종이나  희귀한  수목에  관한  연구  성과를  담았고,  최신  연구  결과와  해외  식물지를  비교·검토하여  정확한  학명을  기록함으로써  전문가가  신뢰할  수  있는  뛰어난  완성도를  갖춘  기존  내용에  20여  종의  항목을  추가하여  총  670여  종의  나무  정보를  기록하고,  기존  5,000여  장의  사진  가운데  1,000장에  가까운  사진을  신규  사진으로  교체했다.  또  과거  문헌  자료에  기록이  있지만  지금껏  정확한  실체를  알기  어려웠거나  최근에  들어서야  비로소  한반도  자생  사실이  알려진  미기록종  식물인  만주곰솔,  뇌성목,  몽고뽕나무,  산진달래,  바늘까치밥나무,  넓은잎까치밥나무,  단풍잎복분자,  용가시나무  등도  상세히  소개한다.  그리고  외국에서  도입한  식물로서  초판에서는  참고종으로  간략히  소개하는  데  그쳤으나  일반  독자를  위해  현재  시점에서  좀  더  상세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대왕참나무,  미국담쟁이덩굴,  꽃개오동  등  일부  도입수종들도  정식  항목으로  다루어  식물전문가부터  일반인까지  폭넓은  독자층이  읽을  수  있도록  했다.
■650  8▼a나무(식물)[木]
■650  8▼a한국  식물[韓國植物]
■653    ▼a한국▼a나무▼a식물도감
■7001  ▼a김진석▼e[공]지음
■740  2▼a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
■740  2▼a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9500  ▼b\45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078019 581.9 김832ㅎ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