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 나를 찾아가는 라캉의 정신분석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 나를 찾아가는 라캉의 정신분석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1473460 03180 : \18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 DDC
- 150.195-21
- 청구기호
- 150.1 가831ㄹ
- 저자명
- 가타오카 이치타케 지음
- 서명/저자
-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 나를 찾아가는 라캉의 정신분석 / 가타오카 이치타케 지음 ; 임창석 옮김
- 원표제
- [원표제]疾風怒濤精神分析入門 : ジャック·カン的生き方のススメ
- 발행사항
- 서울 : 이학사, 2019
- 형태사항
- 318 p ; 21 cm
- 주기사항
- 2024-1학기 강의지원자료
- 주기사항
- 서문: 무카이 마사아키
- 주기사항
- 가타오카 이치타케의 한자명은 '片岡一竹'임
- 초록/해제
- 요약: 라캉의 정신분석을 알기 쉽게 써내려간 최고의 라캉 입문서정신분석이란 무엇인가? 이 책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는 정신분석을 창시하고 그 이론을 확립시킨 프로이트를 발판 삼아 정신분석을 재해석하고 현대적으로 부활시킨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정신분석을 살펴본다. 만 24세의 나이로 와세다대학에서 현대 철학과 정신분석을 공부하고 있는 일본의 주목받는 젊은 학자 가타오카 이치타케는 이 책에서 다양한 사례와 도식을 바탕으로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과 정신분석의 임상적 측면을 해설한다. 어렵고 난해하기로 정평이 난 라캉을 ‘누구라도 알기 쉽게 써내려간 라캉 입문서’, ‘뛰어난 수완과 압도적인 필력’이라는 일본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이 책은 출간과 함께 현지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라캉 대 라캉』의 저자 무카이 마사아키 역시 이 책의 서문에서 지은이를 젊은 나이에 라캉의 세미나에 참석하여 수준 높은 질문으로 자신의 존재를 드러냈던 자크알랭 밀레에 비유하면서 이 책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무의식, 욕동, 거울 단계 등의 다양한 키워드를 따라 글을 읽어나가다 보면 라캉의 정신분석이 임상실천에서 괴리된 철학적인 사변이라는 오해를 말끔히 해소하게 될 것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정신분석의 근간을 이루는 문제와 대면해 자신의 욕망이 그리는 윤곽을 파악하고 자신만의 ‘사는 방식’을 찾는 여행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 언어주기
-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일반주제명
- 정신 분석[精神分析]
- 기타저자
- 임창석 옮김
- 기타저자
- 片岡一竹 지음
- 기타서명
- 나를 찾아가는 라캉의 정신분석
- 기타저자
- 편강일죽
- 가격
- \16200
- Control Number
- sacl:118975
- 책소개
-
라캉의 정신분석을 알기 쉽게 써내려간 최고의 라캉 입문서
정신분석이란 무엇인가? 이 책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는 정신분석을 창시하고 그 이론을 확립시킨 프로이트를 발판 삼아 정신분석을 재해석하고 현대적으로 부활시킨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정신분석을 살펴본다. 만 24세의 나이로 와세다대학에서 현대 철학과 정신분석을 공부하고 있는 일본의 주목받는 젊은 학자 가타오카 이치타케는 이 책에서 다양한 사례와 도식을 바탕으로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과 정신분석의 임상적 측면을 해설한다. 어렵고 난해하기로 정평이 난 라캉을 ‘누구라도 알기 쉽게 써내려간 라캉 입문서’, ‘뛰어난 수완과 압도적인 필력’이라는 일본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이 책은 출간과 함께 현지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라캉 대 라캉』의 저자 무카이 마사아키 역시 이 책의 서문에서 지은이를 젊은 나이에 라캉의 세미나에 참석하여 수준 높은 질문으로 자신의 존재를 드러냈던 자크알랭 밀레에 비유하면서 이 책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무의식, 욕동, 거울 단계 등의 다양한 키워드를 따라 글을 읽어나가다 보면 라캉의 정신분석이 임상실천에서 괴리된 철학적인 사변이라는 오해를 말끔히 해소하게 될 것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정신분석의 근간을 이루는 문제와 대면해 자신의 욕망이 그리는 윤곽을 파악하고 자신만의 ‘사는 방식’을 찾는 여행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