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밤의 언어 : 판타지, SF 그리고 글쓰기에 관하여
밤의 언어 : 판타지, SF 그리고 글쓰기에 관하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7295303 03840 : \16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809.3876-21
- 청구기호
- 813 어57ㅂ
- 저자명
- 르 귄, 어슐러 K. 지음
- 서명/저자
- 밤의 언어 : 판타지, SF 그리고 글쓰기에 관하여 / 어슐러 K. 르 귄 지음 ; 조호근 옮김
- 원표제
- [원표제]Language of the night : essays on fantasy and science fiction
- 발행사항
- 서울 : 서커스, 2019
- 형태사항
- 384 p ; 19 cm
- 주기사항
- 원저자명: Ursula K. Le Guin
- 초록/해제
- 요약: 판타지의 그랜드마스터 어슐러 르 귄의 역사적인 첫 번째 에세이집‘우리는 한낮의 햇살 속에서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세계의 절반은 항상 어둠에 잠겨 있다. 그리고 판타지는 시처럼 밤의 언어로 말한다.’장르문학의 그랜드마스터, 판타지와 SF의 대모로 불리는 어슐러 르 귄만큼 적극적으로 판타지와 SF의 가치를 옹호해온 사람도 드물 것이다. 폭포수처럼 쏟아낸 수많은 걸작 소설들은 말할 것도 없고 르 귄은 장르문학에 대한 사회의 편견을 깨기 위해 누구보다 가장 앞장서서 싸웠으며 장르문학의 게토 안에서 자위하는 팬덤을 향해 게토를 박차고 세상을 향해 나가야 한다고 에세이와 강연을 통해 수없이 열정적으로 호소했다. 르 귄은 장르문학에 어울리지 않게 문학성이 있다는 이유로, 혹은 문학성을 추구한다는(혹은 하는 것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순수문학계와 장르문학계 양쪽에서 의심의 눈길을 받아왔다. 르 귄의 작품들은 작가의 생전에 ‘탁월한 예술적, 역사적 가치로 영원히 보존되어야 할’ 미국문학의 정전 컬렉션인 Library of America에 네 권이나 등록되어 이미 미국문학의 위대한 유산으로 공인받았다. 그럼에도 르 귄은 단언한다. ‘나는 데뷔 이래 오직 판타지만을 써왔으며, 판타지와 SF라는 외우주가, 그리고 내륙의 땅이, 지금도 앞으로도 언제나 나의 조국이 될 것’이라고.
- 언어주기
-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일반주제명
- 미국 문학[美國文學]
- 일반주제명
- 문학 평론[文學評論]
- 기타저자
- 조호근 옮김
- 기타저자
- Le Guin, Ursula K. 지음
- 기타서명
- 판타지, SF 그리고 글쓰기에 관하여
- 가격
- \14400
- Control Number
- sacl:118295
- 책소개
-
판타지의 그랜드마스터 어슐러 르 귄의 역사적인 첫 번째 에세이집
‘우리는 한낮의 햇살 속에서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세계의 절반은 항상 어둠에 잠겨 있다. 그리고 판타지는 시처럼 밤의 언어로 말한다.’
장르문학의 그랜드마스터, 판타지와 SF의 대모로 불리는 어슐러 르 귄만큼 적극적으로 판타지와 SF의 가치를 옹호해온 사람도 드물 것이다. 폭포수처럼 쏟아낸 수많은 걸작 소설들은 말할 것도 없고 르 귄은 장르문학에 대한 사회의 편견을 깨기 위해 누구보다 가장 앞장서서 싸웠으며 장르문학의 게토 안에서 자위하는 팬덤을 향해 게토를 박차고 세상을 향해 나가야 한다고 에세이와 강연을 통해 수없이 열정적으로 호소했다. 르 귄은 장르문학에 어울리지 않게 문학성이 있다는 이유로, 혹은 문학성을 추구한다는(혹은 하는 것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순수문학계와 장르문학계 양쪽에서 의심의 눈길을 받아왔다. 르 귄의 작품들은 작가의 생전에 ‘탁월한 예술적, 역사적 가치로 영원히 보존되어야 할’ 미국문학의 정전 컬렉션인 Library of America에 네 권이나 등록되어 이미 미국문학의 위대한 유산으로 공인받았다. 그럼에도 르 귄은 단언한다. ‘나는 데뷔 이래 오직 판타지만을 써왔으며, 판타지와 SF라는 외우주가, 그리고 내륙의 땅이, 지금도 앞으로도 언제나 나의 조국이 될 것’이라고.
MARC
008190513s2019 ulk 000af kor■00520190513100242
■007ta
■020 ▼a9791187295303▼g03840▼c\16000
■040 ▼d211037
■0411 ▼akor▼heng
■082 ▼a809.3876▼221
■090 ▼a813▼b어57ㅂ
■1001 ▼a르 귄, 어슐러 K.▼e지음
■24510▼a밤의 언어▼b판타지, SF 그리고 글쓰기에 관하여▼d어슐러 K. 르 귄 지음▼e조호근 옮김
■24619▼aLanguage of the night▼bessays on fantasy and science fiction
■260 ▼a서울▼b서커스▼c2019
■300 ▼a384 p▼c19 cm
■500 ▼a원저자명: Ursula K. Le Guin
■520 ▼a판타지의 그랜드마스터 어슐러 르 귄의 역사적인 첫 번째 에세이집‘우리는 한낮의 햇살 속에서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세계의 절반은 항상 어둠에 잠겨 있다. 그리고 판타지는 시처럼 밤의 언어로 말한다.’장르문학의 그랜드마스터, 판타지와 SF의 대모로 불리는 어슐러 르 귄만큼 적극적으로 판타지와 SF의 가치를 옹호해온 사람도 드물 것이다. 폭포수처럼 쏟아낸 수많은 걸작 소설들은 말할 것도 없고 르 귄은 장르문학에 대한 사회의 편견을 깨기 위해 누구보다 가장 앞장서서 싸웠으며 장르문학의 게토 안에서 자위하는 팬덤을 향해 게토를 박차고 세상을 향해 나가야 한다고 에세이와 강연을 통해 수없이 열정적으로 호소했다. 르 귄은 장르문학에 어울리지 않게 문학성이 있다는 이유로, 혹은 문학성을 추구한다는(혹은 하는 것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순수문학계와 장르문학계 양쪽에서 의심의 눈길을 받아왔다. 르 귄의 작품들은 작가의 생전에 ‘탁월한 예술적, 역사적 가치로 영원히 보존되어야 할’ 미국문학의 정전 컬렉션인 Library of America에 네 권이나 등록되어 이미 미국문학의 위대한 유산으로 공인받았다. 그럼에도 르 귄은 단언한다. ‘나는 데뷔 이래 오직 판타지만을 써왔으며, 판타지와 SF라는 외우주가, 그리고 내륙의 땅이, 지금도 앞으로도 언제나 나의 조국이 될 것’이라고.
■546 ▼a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a미국 문학[美國文學]
■650 8▼a문학 평론[文學評論]
■653 ▼a밤▼a언어▼a미국문학▼a문학평론
■7001 ▼a조호근▼e옮김
■7001 ▼aLe Guin, Ursula K.▼e지음
■740 2▼a판타지, SF 그리고 글쓰기에 관하여
■9500 ▼b\14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