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구텐베르크 은하계 : 활자 인간의 형성
구텐베르크 은하계 : 활자 인간의 형성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84990401 03300 : \27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302.2-21
- 청구기호
- 745.6 맥237ㄱ
- 저자명
- 맥루한, 마샬 지음
- 서명/저자
- 구텐베르크 은하계 : 활자 인간의 형성 / 마샬 맥루한 지음 ; 임상원 옮김
- 원표제
- [원표제]Gutenberg galaxy : the making of typographic man
- 발행사항
-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형태사항
- 610 p ; 23 cm
- 주기사항
- 원저자명: Marshall McLuhan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530-545)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원제는 the making of typographic man. 현대의 문화와 문명이 무엇을 얻었고 무엇을 잃었는가를 그리면서 지금 생성하고 있는 은하계가 어떤 모습인가를 담은 책. 문제들에 대해 모자이크적 혹은 장적 접근을 접근하고 있는 이 책은 연속성, 획일성이라는 시각적 양식의 확장 그리고 그것이 시간 조직 및 공간 조직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증명하고, 전기 기술과 기계 혹은 인쇄 기술의 충돌을 다루었다.
- 언어주기
-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기타저자
- 임상원 옮김, 1938-
- 기타저자
- McLuhan, Marshall 지음
- 기타서명
- 활자 인간의 형성
- 가격
- \24300
- Control Number
- sacl:117048
- 책소개
-
뉴욕 헤럴드 트리뷴 Newyork Herald Tribune 에 의해 뉴턴, 다윈, 프로이트, 아인슈타인 그리고 파블로프 이후 가장 중요한 사상가라는 평가를 받는 이 사람, 바로 커뮤니케이션 이론가 마셜 맥루한이다.
이 책은 와 더불어 맥루한의 가장 대표적인 저서로 손꼽히는 구텐베르크 은하계(The Gutenberg Galaxy)를 번역한 것으로서, 이 책은 1962년에 출간되어 이미 세계 12개국어로 번역되었다.
저자는 에서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인류의 역사를 1. 구두 커뮤니케이션 시대 2. 문자 또는 필사 시대 3. 구텐베르크 시대 4. 전자 시대로 나눈다. 이 책은 그 중에서도 바로 구텐베르크 시대에 대한 독창적인 통찰을 담고 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가 초래한 감각의 편향성 즉, 시각에의 과도한 의존이 필연적으로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왜곡시킨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맥루한의 글쓰기를 가리켜 흔히 이야기되는 것처럼 이 책 또한 모자이크적이며, 입체적이고 추상적이다. 이 책은 각각의 큰 주제 아래 "표음문자인 알파벳 기술의 내재화(內在化)는 인간을 귀(耳)라는 마법의 세계에서 중립적인 시각의 세계로 옮겨 놓았다", "정신분열증은 문자 사용의 필연적인 결과일 수 있다" 등과 같은 긴 문장을 제목으로 하는 107개의 글로 이루어져 있다.
맥루한은 이처럼 글자의 자모 안에 유폐되었던 인간의 감각이 전자 시대의 여러 기술에 의해 통감각(sensus communis)을 회복할 것이라고 한다. 인터넷이란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40년 전에 이러한 맥루한의 주장은 마치 예언처럼 오늘날 정확히 맞아떨어지고 있다.
detalle info
- Reserva
- No existe
- Mi carpeta
- Primera solicit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