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조선 전기 사대부가사
조선 전기 사대부가사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54620093 04810 : \21000
- ISBN
- 9788954608886(세트)
- DDC
- 8A0.8 문911ㄱ
- 청구기호
- 8A0.8 문911ㄱ 13
- 저자명
- 최현재 옮김, 1969-
- 서명/저자
- 조선 전기 사대부가사 / 최현재 옮김
- 발행사항
- 파주 : 문학동네, 2012
- 형태사항
- 646 p ; 23 cm
- 총서명
- 한국고전문학전집 ; 013
- 초록/해제
- 요약: 이 책에는 조선 전기 사대부가사 가운데 문학사적으로 의의가 큰 작품 43편을 엄선하여 이를 은일가사, 세태비판가사, 기행가사, 전쟁가사, 유배가사, 인물찬양가사, 종교가사, 자전적 술회가사, 애정가사 등으로 분류해 실었다. 조선시대 내내 사대부는 한시로 다 풀어내지 못한 내면의 정한과 흥취를 가사라는 우리말 노래로 해소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의 열세번째 책이자 국문시가로는 첫번째 책이다.
- 일반주제명
- 가사(문학)[歌辭]
- 일반주제명
- 조선 전기[朝鮮前期]
- 가격
- \18900
- Control Number
- sacl:116840
- 책소개
-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13권. 조선 전기 사대부가사 가운데 문학사적으로 의의가 큰 작품 43편을 엄선하여 이를 은일가사, 세태비판가사, 기행가사, 전쟁가사, 유배가사, 인물찬양가사, 종교가사, 자전적 술회가사, 애정가사 등으로 분류해 실었다.
이 책에서는 조선 전기 가사의 중요작품을 총망라했다. 송순과 박인로, 정철의 작품은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익히 보아온 친숙한 작품들로, 가사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싶다면 누구나 한번쯤은 눈여겨봐야 할 수작이다. 누구나 가사를 읽고 작품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원문을 오늘날의 우리말로 최대한 자연스럽게 옮겼다. 여기에 작품을 좀더 깊이 감상하고 싶은 이들을 위해, 각 작품의 원본을 책 말미에 함께 수록하고 작품과 관련된 고사도 자세히 소개했다.
또, 필요에 따라 작품마다 이본도 함께 소개해, 이해를 넓히도록 했다. 이를테면 「누항사」는 작자의 공식 목판본 문집뿐 아니라 고사본(古寫本)에만 있는 구절도 충실하게 같이 소개했다. 판본에 따라 달라진 점을 살피고 그 이유를 추측하며 작품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이 책의 특별한 맛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