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새 여성학 강의 : 한국사회, 여성, 젠더
새 여성학 강의 : 한국사회, 여성, 젠더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2974826 03300 : \13000
- DDC
- 305.42-21
- 청구기호
- 301.412 한17ㅅ
- 단체저자
-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 서명/저자
- 새 여성학 강의 : 한국사회, 여성, 젠더 /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 판사항
- 개정판
- 발행사항
- 파주 : 동녘, 2007
- 형태사항
- 398 p : 삽화 ; 23 cm
- 총서명
- 학술총서 ; 22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383-394
- 초록/해제
- 요약: 여성학에 입문하려는 학생들을 위한 개정판. 대부분의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여성학 관련 강좌를 듣는 학생들이 여성학에 포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집필한 일종의 여성학 교과서이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여성문제와 여성학을 둘러싼 최근의 변화들을 반영하여 새로운 전망과 과제를 담아내고 있다.이 책은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이루어지는 여성학, 여성과 사회, 성과 사회 등 여성과 관련한 주요 주제들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다. 각 주제별로 생각해볼 문제와 참고도서를 정리하여 책을 읽으며 토론할 수 있으며, 여성학에 궁금증을 가진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기타서명
- 한국사회, 여성, 젠더
- 가격
- \11700
- Control Number
- sacl:116774
- 책소개
-
1999년 같은 제목으로 출간된 책의 전면 개정판이다. 몇년 간 호주제 폐지, 성매매 방지법 제정 등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저자들은 이렇듯 여성문제, 여성학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를 바라보는 문제의식에 대한 화답으로 개정판을 출간한다고 말한다.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 책은 우선 여성학이란 무엇인지, 페미니즘의 갈래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하며 시작한다. 근래 몇 년 동안 크게 관심을 끌고 있는 문화, 정체성, 몸, 섹슈얼리티, 가족, 여성의 역사 등 좀더 미시적으로 접근한 글들(3장, 4장, 5장, 6장, 7장, 8장)이 두 번째 묶음을 이룬다.
세 번째로 여성을 둘러싼 거시적인 환경이라 할 수 있는 노동, 법, 국가정책을 다룬다(9장, 10장, 11장). 최근 괄목할 만큼 변화하고 있는 여성 관련 법과 정책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여성운동사, 북한 여성사, 세계 여성운동사를 다루어, 여성학의 큰 흐름을 읽을 수 있게 했다.
detalle info
- Reserva
- No existe
- Mi carpeta
- Primera solicit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