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낯선 중세 : 잃어버린 세계, 그 다채로운 풍경을 거닐다
낯선 중세 : 잃어버린 세계, 그 다채로운 풍경을 거닐다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20190015995
- ISBN
- 9788932033990 03920 : \23000
- 소장사항
-
00075674
- DDC
- 940.1-23
- 청구기호
- 940.1 유98ㄴ
- 저자명
- 유희수 , 1953- , 柳喜洙
- 서명/저자
- 낯선 중세 : 잃어버린 세계, 그 다채로운 풍경을 거닐다 / 유희수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8
- 형태사항
- 496 p : 삽화 ; 21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474-486)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고대는 "서양 문명의 원형을 제시한 창조적 시대"요, 근대는 시민사회를 이루고 물질적으로 개선된 "진보의 시대"라는 긍정적 평가가 일반적인 데 반해, 중세는 "암흑기"에서부터 "황금기"에 이르기까지 "극단적인 평가"가 오간다. 하지만 여전히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중세적 마녀사냥" 혹은 "봉건적 가부장제"와 같이 중세에 대한 이미지는 "척결해야 할 낡은 폐습"과 같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정말 그럴까?실상을 보면, 중세는 천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지속된 만큼 다양하고 이질적인 요소들이 결합된 문화를 이룩했다. 비톨트 쿨라가 말한 것처럼 모든 시대가 "비공시성(非共時性)의 공존 (coexistence d'asynchronismes)"을 보이듯이 "중세도 빛과 어둠, 아름다움과 추함이 뒤섞인 복합적인 시대"다. 또한 "로마적.게르만적 다양성을 기독교적 단일성으로 묶어 유럽을 탄생시킨 시기"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러한 중세의 다양한 면을 소개하며, 낯설게 느껴지는 중세인들의 삶을 생생히 보여줌으로써 그 실체에 흥미롭게 근접해간다.
- 기타서명
- 잃어버린 세계, 그 다채로운 풍경을 거닐다
- 가격
- \20700
- Control Number
- sacl:116459
- 책소개
-
복합적이면서 다채로움으로 가득한 서양 중세의 매력의 재발견!
서양사의 다른 시대에 비해 역사적 관점과 해석의 스펙트럼이 가장 넓고 다양한 시대인 중세는 암흑기로 보는 관점에서부터 황금기로 보는 관점까지 극단적인 평가가 존재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다양한 중세는 사실 시대와 역사가들이 만들어낸 것인데, 저자는 『낯선 중세』에서 중세 문화의 신비를 푸는 열쇠가 되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큰 이야기에서부터 작은 이야기까지 일상의 작은 경험 세계와 그것을 에워싸고 있는 큰 테두리를 서로 관련지으면서 중세의 낯선 풍경을 보여주고자 한다.
MARC
008190125s2018 ulka 001a kor■001UB20190015995
■00520190212191627
■020 ▼a9788932033990▼g03920▼c\23000
■040 ▼a211037▼c211037
■0490 ▼l00075674
■08201▼a940.1▼223
■090 ▼a940.1▼b유98ㄴ
■1001 ▼a유희수▼g柳喜洙▼d1953-
■24500▼a낯선 중세 ▼b잃어버린 세계, 그 다채로운 풍경을 거닐다▼d유희수 지음
■260 ▼a서울▼b문학과지성사▼c2018
■300 ▼a496 p ▼b삽화▼c21 cm
■504 ▼a참고문헌(p. 474-486)과 색인수록
■520 ▼a고대는 "서양 문명의 원형을 제시한 창조적 시대"요, 근대는 시민사회를 이루고 물질적으로 개선된 "진보의 시대"라는 긍정적 평가가 일반적인 데 반해, 중세는 "암흑기"에서부터 "황금기"에 이르기까지 "극단적인 평가"가 오간다. 하지만 여전히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중세적 마녀사냥" 혹은 "봉건적 가부장제"와 같이 중세에 대한 이미지는 "척결해야 할 낡은 폐습"과 같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정말 그럴까?실상을 보면, 중세는 천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지속된 만큼 다양하고 이질적인 요소들이 결합된 문화를 이룩했다. 비톨트 쿨라가 말한 것처럼 모든 시대가 "비공시성(非共時性)의 공존 (coexistence d'asynchronismes)"을 보이듯이 "중세도 빛과 어둠, 아름다움과 추함이 뒤섞인 복합적인 시대"다. 또한 "로마적.게르만적 다양성을 기독교적 단일성으로 묶어 유럽을 탄생시킨 시기"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러한 중세의 다양한 면을 소개하며, 낯설게 느껴지는 중세인들의 삶을 생생히 보여줌으로써 그 실체에 흥미롭게 근접해간다.
■653 ▼a낯선▼a중세▼a세계▼a풍경
■74002▼a잃어버린 세계, 그 다채로운 풍경을 거닐다
■9500 ▼b\207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Buch Status
- Reservierung
- frei buchen
- Meine Mappe
- Erste Aufräumarbeiten Anf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