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재밌어서 밤새 읽는)천문학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천문학 이야기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6900703 03440 : \12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 DDC
- 520-21
- 청구기호
- 520 아11ㅊ
- 저자명
- 아가타 히데히코 지음, 1961-
- 서명/저자
- (재밌어서 밤새 읽는)천문학 이야기 / 아가타 히데히코 지음 ; 박재영 옮김
- 원표제
- [원표제]面白くて眠れなくなる天文學
- 발행사항
- 서울 : 더숲, 2018
- 형태사항
- 206 p : 삽화, 도표 ; 21 cm
- 주기사항
- 아가타 히데히코의 한자명은 '縣秀彦'임
- 주기사항
- 원저자명: 縣秀彦
- 주기사항
- 백형찬 교수 신청도서
- 주기사항
- 감수: 이광식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06
- 초록/해제
- 요약: 교과서에 빠짐없이 나오는 우주, 이제 재밌게 배운다!청소년 과학 필독서 시리즈, ‘천문학 편’ 출간매해 다양한 과학 분야가 출간되고, 각종 추천도서와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되어 청소년 과학 분야의 베스트셀러로 사랑받고 있는 시리즈에서 ‘천문학’ 편이 출간되었다. 더욱이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호의 화성 착륙(2018년 11월 26일),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만든 누리호 실험 발사체의 발사 성공(2018년 11월 28일)으로 인해 국내에서 천문학과 우주 탐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지금, 이번 천문학 편은 학생들은 물론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우주에 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불어넣어줄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현재 일본 국립천문대천문정보센터 소속으로, 대중들에게 천문학을 친근하게 소개하기 위해 강연·TV·라디오 등의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천문학자다. 교육자 출신의 천문학자인 저자는 천문학을 어려워하는 학생이라도 쉽고 재밌게 익힐 수 있도록 이 책을 집필하였다. 여기에 『두근두근 천문학』 『천문학 콘서트』 등을 집필한 국내 대표 천문학 저술가인 이광식 작가가 감수를 맡아 국내 상황에 맞추고 정확성을 더했다. 이 책 한 권만으로도 천문학의 기본 지식을 충분히 접하고 배울 수 있을 것이다.천문학은 고대부터 인류와 함께해온 학문이지만, 요즘 청소년에게는 그저 낯설게 느껴지는 학문 중 하나다. 이 책은 교과서에서 빠짐없이 다루는 천문학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천문학을 재밌게 공부하고 나아가 깊이 있는 공부를 하는 데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 언어주기
-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일반주제명
- 천문학[天文學]
- 기타저자
- 박재영 옮김
- 기타저자
- 縣秀彦 지음, 1961-
- 기타저자
- 현수언
- 가격
- \10800
- Control Number
- sacl:115404
- 책소개
-
교과서에 빠짐없이 나오는 우주, 이제 재밌게 배운다!
청소년 과학 필독서 시리즈, ‘천문학 편’ 출간
매해 다양한 과학 분야가 출간되고, 각종 추천도서와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되어 청소년 과학 분야의 베스트셀러로 사랑받고 있는 시리즈에서 ‘천문학’ 편이 출간되었다. 더욱이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호의 화성 착륙(2018년 11월 26일),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만든 누리호 실험 발사체의 발사 성공(2018년 11월 28일)으로 인해 국내에서 천문학과 우주 탐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지금, 이번 천문학 편은 학생들은 물론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우주에 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불어넣어줄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현재 일본 국립천문대천문정보센터 소속으로, 대중들에게 천문학을 친근하게 소개하기 위해 강연·TV·라디오 등의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천문학자다. 교육자 출신의 천문학자인 저자는 천문학을 어려워하는 학생이라도 쉽고 재밌게 익힐 수 있도록 이 책을 집필하였다. 여기에 『두근두근 천문학』 『천문학 콘서트』 등을 집필한 국내 대표 천문학 저술가인 이광식 작가가 감수를 맡아 국내 상황에 맞추고 정확성을 더했다. 이 책 한 권만으로도 천문학의 기본 지식을 충분히 접하고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천문학은 고대부터 인류와 함께해온 학문이지만, 요즘 청소년에게는 그저 낯설게 느껴지는 학문 중 하나다. 이 책은 교과서에서 빠짐없이 다루는 천문학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천문학을 재밌게 공부하고 나아가 깊이 있는 공부를 하는 데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