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 : '식민지' 조선의 삶과 근대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 : '식민지' 조선의 삶과 근대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76963307 04910 : \15000
- ISBN
- 9788976963208 (set)
- 소장사항
-
00074617
- DDC
- 951.903-21
- 청구기호
- 95A.072 역51ㅇ 3
- 저자명
- 이준식 지음
- 서명/저자
-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 : 식민지 조선의 삶과 근대 / 이준식 지음 ;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발행사항
- 서울 : 역사비평사, 2014
- 형태사항
- 307 p : 삽화, 초상 ; 21 cm
- 총서명
-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10
- 총서명
- 20世紀 韓國史 Series
- 주기사항
- 권차는 역사 순으로 별도 부여하였음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93-297)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폭풍처럼 들이닥친 근대 자본주의는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것이었나. 시대의 문화와 삶을 들여다보며 식민지를 산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저자 이준식은 식민지 근대에 대해 '근대'에 방점을 찍어 인식하는 일련의 흐름을 경계하면서 '식민지'에 방점을 찍어 조선의 일그러진 근대의 모습을 직시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 키워드
- 식민지 조선역사
- 기타저자
-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통일총서명
- 20世紀 韓國史 Series
- 가격
- \14400
- Control Number
- sacl:114017
- 책소개
-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은 저자 이준식은 식민지 근대에 대해 ‘근대’에 방점을 찍어 인식하는 일련의 흐름을 경계하면서 ‘식민지’에 방점을 찍어 조선의 일그러진 근대의 모습을 직시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특히 일제강점기 영화사는 저자 이준식의 전공분야이기도 하다. 큰 맥락에서 일제시대 전반의 영화산업이 어떻게 탄생하고 왜곡되어갔는지 역사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