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 : 장르, 역사, 매체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 : 장르, 역사, 매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7401049 04680 : \14000
- ISBN
- 9791195624201 (set)
- 소장사항
-
00074194
- DDC
- 791.4309519-21
- 청구기호
- 791.4353 동53ㅎ
- 단체저자
- 동서대학교 편저 임권택영화연구소
- 서명/저자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 : 장르, 역사, 매체 /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연구소 편저 ; 남인영 ; 이승민 ; 정민아 ; 조혜영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Buonbooks(본북스), 2016
- 형태사항
- 266 p : 삽화 ; 23 cm
- 총서명
- 아시아 시네마 컬렉션 ; 0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16-224)과 찾아보기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에 제작된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최신 흐름을 조명한다. 오늘날 다큐멘터리 영화는 객관적 기록물을 넘어 감독 한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담아낸 '조립된 기록물'로 여겨지며, 다큐멘터리 윤리와 양식을 동등하게 고민한다.
- 키워드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 기타저자
- 남인영 지음, 1963-
- 기타저자
- 이승민 [공]지음
- 기타저자
- 정민아 [공]지음
- 기타저자
- 조혜영 [공]지음
- 통일총서명
- 아시아 시네마 컬렉션 ; 09
- 가격
- \12600
- Control Number
- sacl:113443
- 책소개
-
아시아 시네마 컬렉션 9권.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에 제작된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최신 흐름을 조명한다. 오늘날 다큐멘터리 영화는 객관적 기록물을 넘어 감독 한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담아낸 ‘조립된 기록물’로 여겨지며, 다큐멘터리 윤리와 양식을 동등하게 고민한다.
이 책은 이러한 오늘날의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를 1980년대의 ‘계몽적 시기’,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까지의 ‘정체성의 시기’에 이어 ‘미학적 시기’로 명명한다. ‘무엇’만큼이나 ‘어떻게’에 대한 고민이 다양한 양식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디지털의 대중화로 인해 기록의 의미가 달라지고 있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필자들은 이 새로운 흐름을 비평적으로 언어화하고 그 다양성을 지도 그리기 위해 양식, 역사, 매체 등 다각적 관점에서 영화를 읽는다. 이 책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를 비평한 작업의 결과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My Folder
- Demande Première utili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