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수용소 : 정신병 환자와 그 외 재소자들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에세이
수용소 : 정신병 환자와 그 외 재소자들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에세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0000000000000042
- ISBN
- 9788932031057 93330 : \25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소장사항
-
00073880
- DDC
- 362.21-21
- 청구기호
- 362.21 고848ㅅ
- 저자명
- 고프먼, 어빙 지음, 1922-1982
- 서명/저자
- 수용소 : 정신병 환자와 그 외 재소자들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에세이 / 어빙 고프먼 지음 ; 심보선 옮김
- 원표제
- [원표제]Asylums : essays on the social situation of mental patients and other inmates
- 발행사항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8
- 형태사항
- 454 p ; 24 cm
- 총서명
- 우리 시대의 고전 ; 23
- 주기사항
- 찾아보기 수록
- 주기사항
- 원저자명: Erving Goffman
- 초록/해제
- 요약: 정신병원, 교도소, 군대, 기숙학교 등 훈육과 통제가 일상화, 집단화, 전면화된 폐쇄적 공간을 "총체적 기관"이라고 칭하며,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세밀하게 기술한다. 그는 특히 현장 연구를 수행했던 정신병원의 사례에 주목하여 병원에 수용된 이들의 자아가 어떻게 체계적으로 파괴되고 통치의 대상으로 재구성되는지, 구성원들은 강압적으로 적용되는 규칙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분석한다.
- 언어주기
-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키워드
- 제소자 통치
- 기타저자
- 심보선 옮김, 1970-
- 기타저자
- Goffman, Erving 지음, 1922-1982
- 통일총서명
- 우리 시대의 고전 ; 23
- 가격
- \22500
- Control Number
- sacl:113088
- 책소개
-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어빙 고프먼의 대표작 『수용소』(1961)가 사회학자이자 시인인 심보선의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고프먼은, 구조에 초점을 맞춘 거시사회학에 대한 각성이 일기 시작한 20세기 중반, 미시적 행위와 상호작용에 주목한 일련의 연구서들을 발표하며 현대 사회학의 새로운 흐름을 이끌어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고프먼은 이 책에서 정신병원, 교도소, 군대, 기숙학교 등 훈육과 통제가 일상화, 집단화, 전면화된 폐쇄적 공간을 “총체적 기관”이라고 칭하며,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세밀하게 기술한다. 그는 특히 현장 연구를 수행했던 정신병원의 사례에 주목하여 병원에 수용된 이들의 자아가 어떻게 체계적으로 파괴되고 통치의 대상으로 재구성되는지, 구성원들은 강압적으로 적용되는 규칙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분석한다.
추상으로서의 사회가 아니라 미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상황을 분석의 초점으로 삼는 그의 현장 연구 방식과 인터뷰에서 신문, 일기, 문학작품까지 다양한 자료를 풍부하게 활용하는 에세이적인 글쓰기 스타일은 오늘날까지 사회학에서 하나의 전범으로 이야기된다. 『자아 연출의 사회학』(1959), 『스티그마』(1963) 등과 함께 고프먼 사회학의 출발을 알린 이 책은, 연구자들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까지 매혹시키며 사회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