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외국어 전파담 : 외국어는 어디에서 어디로, 누구에게 어떻게 전해졌는가
외국어 전파담 : 외국어는 어디에서 어디로, 누구에게 어떻게 전해졌는가
- 자료유형
- 단행본
- 000000000000000031
- ISBN
- 9791196363208 03900 : \20000
- DDC
- 410-21
- 청구기호
- 410 파67ㅇ
- 저자명
- 파우저, 로버트 지음
- 서명/저자
- 외국어 전파담 : 외국어는 어디에서 어디로, 누구에게 어떻게 전해졌는가 / 로버트 파우저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혜화1117, 2018
- 형태사항
- 353 p : 20 cm
- 주기사항
- 원저자명: Robert J. Fouser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348-353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오늘도 우리는 외국어를 공부한다! 인류는 언제부터, 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기 시작했을까? 언어의 전파 과정을 통해 바라보는 인류 문명의 또 하나의 문화사. 외국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언어는 무엇일까. 아마 대부분 영어라고 답할 것이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영어가 외국어의 대명사가 되었을까.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외국어의 대명사는 영어가 아니었다. 고대 문명의 발상지에서 등장한 문자들이야말로 다른 언어 학습 대상의 원조였다.
- 키워드
- 외국어
- 기타저자
- Fouser, Robert J. 지음
- 가격
- \18000
- Control Number
- sacl:112442
- 책소개
-
외국어 전파 과정을 통해 들여다보는 역사의 이면!
학습자이면서 교수자로서 오랜 세월 외국어와 함께 살아온 로버트 파우저의 『외국어 전파담』. 다른 언어권의 언어를 배운다는 것이 어디에서 어떻게 유래되었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인류의 문화사에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에 대해 흥미진진하게 서술하고 있다. 외국어 전파의 역사를 오늘의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고, 많은 사람이 열심히 배우고 있는 외국어란 과연 어떤 의미인가에 관해 이야기한다.
르네상스 시대 도시국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상업주의와 무역의 발전에 따라 외국어라는 개념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살펴보고 17~18세기 근대국가의 형성과 식민주의, 19세기 산업혁명과 제국주의를 거쳐 20세기 전쟁의 시대와 그 이후 글로벌화와 디지털 혁명까지 포괄하며 외국어 전파의 과정과 그 변화를 살피고자 한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