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문화콘텐츠학개론 - [알라딘 전자책]
문화콘텐츠학개론 - [알라딘 전자책]
상세정보
- 자료유형
- 전자책
- 180120214220
- ISBN
- 9788984996915 93300 : \14400
- DDC
- 700.103-21
- 청구기호
- 306 박716ㅁ
- 저자명
- 박장순 , 1955-
- 서명/저자
- 문화콘텐츠학개론 - [알라딘 전자책] / 박장순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알라딘전자책)
- 형태사항
- 전자책 1책 : 천연색
- 주기사항
- 유저수: 1 copy
- 주기사항
- 전자책대체, 2017
- 서지주기
-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애니메이션, TV드라마, 영화, 게임, 모바일콘텐츠 등 이질적 소재영역으로 구성된 문화콘텐츠가 주체적 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야 하는 논거를 제공하며, 주체와 객체를 기본 구성요소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툴이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이들 소재영역들을 바라보고, 전체를 3부로 나누어 개념의 ‘뿌리 찾기, 정의, 진화를 위한 학문적 기초 다지기’의 순서로 기술한다. 제1부는 문화콘텐츠의 개념적 선사시대로 문화콘텐츠라는 용어의 탄생 이전, 그 뿌리가 되었던 문화수출 중심 소재영역들을 등장 시기별로 나누어 기술하고, 제2부는 다양한 문화수출 소재영역들을 문화콘텐츠로 통칭(通稱)해서 부르게 된 시대 배경과 ‘문화와 기술’의 결합이 야기한 개념의 혼선을 막기 위해 이들 소재영역으로부터 공통의 개념적 단서들을 찾아내고, 이를 통합적 신개념 구축의 요소로 활용해 문화콘텐츠를 새롭게 정의한다. 제3부는 이를 기초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대상,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문화콘텐츠학 연구의 기본 틀을 문화콘텐츠학원론(原論)·문화콘텐츠사(史)·문화콘텐츠 감상비평론 등 세 분야로 나누어 다룬다.
- 원본주기
- 원본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2006
- 기금정보
- 2006학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 지원을 받아 출간된 연구물임
- 시스템정보
- 접근방법: 서울예술대학교 알라딘 전자책
- 기타형태저록
- 문화콘텐츠학개론. 9788984996915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원문정보보기
- 가격
- \25920
- Control Number
- sacl:111139
- 책소개
-
애니메이션, TV드라마, 영화, 게임, 모바일콘텐츠 등 이질적 소재영역으로 구성된 문화콘텐츠가 주체적 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야 하는 논거를 제공하며, 주체와 객체를 기본 구성요소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툴이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이들 소재영역들을 바라보고, 전체를 3부로 나누어 개념의 ‘뿌리 찾기, 정의, 진화를 위한 학문적 기초 다지기’의 순서로 기술한다.
제1부는 문화콘텐츠의 개념적 선사시대로 문화콘텐츠라는 용어의 탄생 이전, 그 뿌리가 되었던 문화수출 중심 소재영역들을 등장 시기별로 나누어 기술하고, 제2부는 다양한 문화수출 소재영역들을 문화콘텐츠로 통칭(通稱)해서 부르게 된 시대 배경과 ‘문화와 기술’의 결합이 야기한 개념의 혼선을 막기 위해 이들 소재영역으로부터 공통의 개념적 단서들을 찾아내고, 이를 통합적 신개념 구축의 요소로 활용해 문화콘텐츠를 새롭게 정의한다.
제3부는 이를 기초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대상,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문화콘텐츠학 연구의 기본 틀을 문화콘텐츠학원론(原論)·문화콘텐츠사(史)·문화콘텐츠 감상비평론 등 세 분야로 나누어 다룬다.
MARC
008070207s2013 ulkad 001a kor■00120180120214220
■00520180129135049
■007 cr
■020 ▼a9788984996915▼g93300▼c\14400
■040 ▼a211037
■082 ▼a700.103▼221
■090 ▼a306 ▼b박716ㅁ
■1001 ▼a박장순▼d1955-
■24510▼a문화콘텐츠학개론 ▼h[알라딘 전자책]▼d박장순 지음
■256 ▼a전자 데이터
■260 ▼a서울▼b커뮤니케이션북스▼c2013▼f알라딘전자책
■300 ▼a전자책 1책 ▼b천연색
■500 ▼a유저수: 1 copy
■500 ▼a전자책대체, 2017
■504 ▼a색인수록
■516 ▼aPDF
■520 ▼a애니메이션, TV드라마, 영화, 게임, 모바일콘텐츠 등 이질적 소재영역으로 구성된 문화콘텐츠가 주체적 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야 하는 논거를 제공하며, 주체와 객체를 기본 구성요소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툴이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이들 소재영역들을 바라보고, 전체를 3부로 나누어 개념의 ‘뿌리 찾기, 정의, 진화를 위한 학문적 기초 다지기’의 순서로 기술한다. 제1부는 문화콘텐츠의 개념적 선사시대로 문화콘텐츠라는 용어의 탄생 이전, 그 뿌리가 되었던 문화수출 중심 소재영역들을 등장 시기별로 나누어 기술하고, 제2부는 다양한 문화수출 소재영역들을 문화콘텐츠로 통칭(通稱)해서 부르게 된 시대 배경과 ‘문화와 기술’의 결합이 야기한 개념의 혼선을 막기 위해 이들 소재영역으로부터 공통의 개념적 단서들을 찾아내고, 이를 통합적 신개념 구축의 요소로 활용해 문화콘텐츠를 새롭게 정의한다. 제3부는 이를 기초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대상,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문화콘텐츠학 연구의 기본 틀을 문화콘텐츠학원론(原論)·문화콘텐츠사(史)·문화콘텐츠 감상비평론 등 세 분야로 나누어 다룬다.
■530 ▼a책자형태로 간행 : ISBN 9788984996915
■534 ▼q원본▼c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2006
■536 ▼a2006학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 지원을 받아 출간된 연구물임
■538 ▼a접근방법: 서울예술대학교 알라딘 전자책
■653 ▼a문화▼a콘텐츠▼a문화콘텐츠산업
■7760 ▼t문화콘텐츠학개론▼z9788984996915
■85640▼uhttp://kebook.seoularts.ac.kr/Content_check.asp?barcode=al-126911-E898499691▼y전자책
■9500 ▼b\2592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