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경험으로서 예술. 2 : 2017
내용보기
경험으로서 예술. 2 : 2017
자료유형  
 단행본
 
0014074770
ISBN  
9788930087285 94600(v.2) : \25000
ISBN  
9788930082150(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DDC  
111.85700.1-22
청구기호  
701 듀69ㄱ 2-2017
저자명  
듀이, 존 , 1859-1952
서명/저자  
경험으로서 예술. 2 : 2017 / 존 듀이 지음 ; 박철홍 옮김.
원표제  
[원표제]Art as experience.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6.
형태사항  
353 p. ; 23 cm.
총서명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 번역총서 : 서양편 ; 369.
주기사항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2017
주기사항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2017
주기사항  
2025-1 강의지원자료
주기사항  
찾아보기: p. 341-351.
주기사항  
설명적 각주 수록.
일반주제명  
Aesthetics
일반주제명  
Experience
키워드  
미학 예술론
기타저자  
박철홍.
기타저자  
Dewey, John 지음
기타저자  
John Dewey.
가격  
\25000 - (기증)
Control Number  
sacl:110704
책소개  
‘예술’은 다름 아닌 우리의 ‘삶’ 자체다!

『경험으로서 예술』 제2권. 경험과 예술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일상적 삶과의 관련 속에서 예술의 성격을 새롭게 정립한 예술철학에 대한 저술로, 예술을 통해 전통철학의 이원론을 극복한 듀이 경험철학의 결정판이다. 듀이는 과연 어떠한 논리로 ‘예술은 경험의 산물이며 경험을 통해 가치를 획득한다’는 관점을 발전시켜 관념론과 경험론을 구분하고 관념론을 우위에 두는 전통철학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을까?

듀이는 예술적 경험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질성적 사고’가 인간 사고의 전형이라는 사실을 발견한다. 질성적 사고는 우리로 하여금 경험에서 작용하는 심미적 질성을 포착하게 해주며, 심미적 성격을 가진 예술적 경험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예술적 경험의 특성은 ‘하나의 경험’의 형성 과정에서 잘 드러나며, 이러한 경험에서 포착한 것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때 예술작품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적 경험은 특별한 천재에게만 허용된 특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삶 속에 내재한 특성이다. 인간은 누구나 삶의 모든 순간에서 아름다움을 향유할 수 있으며 이를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길고 긴 사유의 여정 끝에서 만나는 뜻밖의 선물과 같은 이러한 삶에 대한 긍정은 이 책의 요지이자 듀이가 각박한 현대인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009586 701 듀69ㄱ 2-2017 강의지원서가 참고자료 참고자료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00009587 701 듀69ㄱ 2-2017 c.2 강의지원서가 참고자료 참고자료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