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의례 역주. 9 : 색인
의례 역주. 9 : 색인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0014258550
ISBN  
9788984114067 94380 : \22,000
ISBN  
9788984113978 (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chi
DDC  
181.214-22
청구기호  
181 세811ㅇ 9
저자명  
이학근
서명/저자  
의례 역주. 9 : 색인 / [리쉐친 주편 ; 정현 주 ; 가공언 소] ; 김용천 [외] 역주
원표제  
[대등표제]儀禮譯註
원표제  
[기타표제]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Yili"
원표제  
[원표제]儀禮
원표제  
[원표제]儀禮注疏
원표제  
[원표제]十三經注疏整理本
발행사항  
서울 : 세창, 2016
형태사항  
248 p. ; 24 cm
총서명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 514-516-520
주기사항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2017
주기사항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2017
주기사항  
공역주: 박례경, 이원택, 장동우
초록/해제  
초록: '근대의 망루'에서 '예'는 동아시아 근대화를 가로막는 사상적 근원이자 제도적 고착으로서 비판받아 왔다. 근대 자체가 상대화된 이후, 이제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에서 벗어나 그 '예'의 실체가 무엇이었으며 그것으로 지탱되던 전통시대 사회시스템의 실체는 어떠했는지를 객관적으로 구명하고자 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가 되었다. 학문적 차원에서도 조선시대 예송논쟁뿐 아니라 국가전례의 구체적 실상, 조선과 중국의 종묘제론, 종법론, 상복제도 나아가 일반 생활사의 영역에서도 예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새로운 시야가 개척되고 있다.
기금정보  
이 책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세창출판사가 출판, 유통함
언어주기  
본문은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키워드  
유교경전 십삼경 십삼경주소
기타저자  
김용천
기타저자  
박례경
기타저자  
이원택
기타저자  
李學勤
기타저자  
賈公彥
기타저자  
정현
기타저자  
가공언
기타저자  
鄭玄
기타서명  
색인
기타저자  
리쉐친
기타저자  
정 쉬엔
기타저자  
지아 공 옌
가격  
\22000 - (기증)
Control Number  
sacl:110692
책소개  
‘근대의 망루’에서 ‘예’는 동아시아 근대화를 가로막는 사상적 근원이자 제도적 고착으로서 비판받아 왔다. 근대 자체가 상대화된 이후, 이제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에서 벗어나 그 ‘예’의 실체가 무엇이었으며 그것으로 지탱되던 전통시대 사회 시스템의 실체는 어떠했는지를 객관적으로 구명하고자 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가 되었다. 학문적 차원에서도 조선시대 예송논쟁뿐 아니라 국가전례의 구체적 실상, 조선과 중국의 종묘제론, 종법론, 상복제도 나아가 일반 생활사의 영역에서도 예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새로운 시야가 개척되고 있다. 예학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당연히 의식의 구체적 행위 절차를 규정한 의례로의 접근을 선행 조건으로 삼아야 하며, 따라서 엄밀한 학문적 차원에서 의례를 역주하는 작업이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MARC

 008180116m2016        ulk                      001c    kor
■001000014258550
■00520180116043417
■020    ▼a9788984114067▼g94380▼c\22,000
■020    ▼a9788984113978  (세트)
■035    ▼a(KERIS)BIB000014258550
■040    ▼a211004▼c211004▼d211037
■0411  ▼akor▼hchi
■082    ▼a181.214▼222
■090    ▼a181▼b세811ㅇ▼c9
■1001  ▼a이학근
■24510▼a의례  역주▼n9▼p색인  ▼d[리쉐친  주편  ▼e정현  주  ▼e가공언  소]  ▼e김용천  [외]  역주
■24611▼i한자표제:▼a儀禮譯註
■24613▼i기타표제▼a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Yili"
■24619▼a儀禮
■24619▼a儀禮注疏
■24619▼a十三經注疏整理本
■260    ▼a서울▼b세창▼c2016
■300    ▼a248  p.▼c24  cm
■49010▼a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p동양편▼v514-516-520
■500    ▼a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2017
■500    ▼a대한민국학술원  기증,  2017
■50000▼a공역주:  박례경,  이원택,  장동우
■520    ▼b'근대의  망루'에서  '예'는  동아시아  근대화를  가로막는  사상적  근원이자  제도적  고착으로서  비판받아  왔다.  근대  자체가  상대화된  이후,  이제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에서  벗어나  그  '예'의  실체가  무엇이었으며  그것으로  지탱되던  전통시대  사회시스템의  실체는  어떠했는지를  객관적으로  구명하고자  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가  되었다.  학문적  차원에서도  조선시대  예송논쟁뿐  아니라  국가전례의  구체적  실상,  조선과  중국의  종묘제론,  종법론,  상복제도  나아가  일반  생활사의  영역에서도  예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새로운  시야가  개척되고  있다.
■53610▼a이  책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세창출판사가  출판,  유통함
■541    ▼a대한민국학술원▼c기증
■546    ▼a본문은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3    ▼a유교경전▼a십삼경▼a십삼경주소
■7001  ▼a김용천
■7001  ▼a박례경
■7001  ▼a이원택
■7001  ▼a李學勤
■7001  ▼a賈公彥
■7001  ▼a정현
■7001  ▼a가공언
■7001  ▼a鄭玄
■7400  ▼a색인
■90011▼a리쉐친
■90011▼a정  쉬엔
■90011▼a지아  공  옌
■9501  ▼b\22000▼c(기증)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lle info

    • Reserva
    • No existe
    • Mi carpeta
    • Primera solicitud
    Material
    número de libro número de llamada Ubicación estado Prestar info

    * Las reservas están disponibles en el libro de préstamos. Para hacer reservaciones, haga clic en el botón de reserva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